d라이브러리
"기술정보"(으)로 총 4,669건 검색되었습니다.
- 로또 공 무게를 엄격히 규제하는 이유과학동아 l2003년 03호
- ‘인생대역전’의 꿈을 추구하는 로또의 열기가 대단했다. 지난 2월 10일에 추첨한 제 10회차의 경우 복권의 판매액은 2천6백억원으로, 1등 당첨금은 8백35억원이었다. 13명이 공동 1위로 각각 64억원이라는 막대한 돈을 거머쥐게 됐다. 1등은 45개의 공에서 6개의 공을 무작위로 뽑는 경우의 숫자를 모두 ... ...
- 컬럼비아호 참사와 관련된 내열타일과학동아 l2003년 03호
- 2만개 이상의 내열타일은 지구 대기권에 진입하는 동안 발생하는 극심한 열로부터 동체와 날개를 보호한다. 타일이 느슨해지거나 손상을 입거나 사라진다면 우주왕복선의 공기역학이 바뀌고, 열로 인해 알루미늄 기체가 뒤틀리거나 녹기 때문에 인접한 타일이 연쇄적으로 떨어지게 된다. 컨트롤 ... ...
- 4. 고대인이 개척한 광통신 소재과학동아 l2003년 03호
- 중남미의 고대 유적에서는 경이로운 유물이 많이 발굴됐다. 그 중에서 고고학자들은 잉카문명지에서 발굴된 그릇, 장식품의 색채를 보고 감탄을 금치 못했다. 빨강, 보라, 파랑 등 영롱한 색감이 이 세상의 빛이 아니었던 것이다.과학자들이 유물을 분석해본 결과, 금과 같은 금속이 나노 크기의 입 ... ...
- 인터넷 대란 또 올 수 있다과학동아 l2003년 03호
- 지난 1월 25일 전세계를 강타한 인터넷 불통 사태로 나라 전체가 패닉상태에 빠졌다. 세계 최고의 인터넷 강국인 한국에게는 체감 충격이 더욱 컸다. 정부업무와 금융권이 휴무상태였던 토요일 오후였기에 망정이지 평일이었다면 상상하기조차 힘든 심각한 상태로 이어졌을 것이다.세계적으로 실추 ... ...
- 미국의 이라크 전에 대한 각국의 지지도과학동아 l2003년 03호
- 미국이 국제연합(UN)의 승인 없어도 이라크를 공격할 수 있는가?(2월 11일 조사) 지구형행성, 위성, 기타 암석질 천체의 표면에 운석충돌에 의해 생긴 구덩이 전체적으로 오목하게 생긴 함몰지형으로, 대체로 둥근 가장자리 부분은 외부표면보다 더 높이 솟아올라 있고 중앙에는 뾰족하게 솟아오른 ... ...
- 장거리 여행객 위협하는 이코노미클래스 신드롬과학동아 l2003년 03호
- 비행기로 장거리를 여행하는 승객의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는 이코노미클래스 신드롬이 최근 화제가 되고 있다. 현재 피해자들은 브리티시항공과 델타항공, 아메리칸 에어라인 등 30여개 항공사들을 상대로 거액의 손해배상 소송을 청구한 상황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패킷인 작은 덩 ... ...
- ②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3인방과학동아 l2003년 02호
- 2003년 브라운관(CRT) 발명 1백5년, TFT-LCD(Thin-Film Transistor Liquid-Crystal Display) 발명 30년이 되는 해다. 몇년 전만 해도 디스플레이 시장의 주류를 이뤘던 브라운관은 이제 LCD와 PDP에 그 주도권을 내놓아야 할 형편이다. 실제로 2002년의 브라운관 시장은 전체 디스플레이 시장의 50%이하이며, ...
- 반도체 나노소재기술과학동아 l2003년 02호
- 최근 전세계적으로 나노기술 태풍이 불고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 일본 등 여러나라가 앞다퉈 나노기술을 21세기 신기원을 가져다줄 유망한 분야로 정하고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사실 나노기술에 대한 관심은 1990년대부터 시작됐다. 당시 반도체 분야에서 마이크로미터(μm, 1μm=${10}^{-6}$m) ... ...
- 인간 생명을 구하는 억대 인형 더미과학동아 l2003년 02호
- ‘인형’(人形) 하면 인간의 형상을 본따 만든 어린아이들의 장난감이 떠오른다. 그런데 다큰 어른인 과학자도 인형을 갖고 논다. 한명도 아닌 수십명 과학자들의 보살핌을 받는 그 인형은 가격만도 1억원이 넘는다고 한다. 인형의 이름은 더미(dummy)다. 여기서 더미는 ‘말 못하는’이란 뜻을 지닌 ... ...
- 데이터 저장의 새로운 매체, 박테리아 게놈과학동아 l2003년 02호
- 앞으로는 CD나 반도체 메모리가 아니라 박테리아 게놈에 데이터를 저장하게 될 날이 올지도 모르겠다.미 국립 북서태평양 연구소의 왕백충 박사는 지난 1월 3일 ‘뉴사이언티스트’에 발표된 보고서에서 특정 메시지를 인공DNA 형태로 만들어 박테리아 게놈에 저장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 ...
이전2812822832842852862872882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