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리
대행
대변
대표
대치
대체
대리인
d라이브러리
"
대신
"(으)로 총 4,337건 검색되었습니다.
핸들 잡은 채 자동차 히터켠다
과학동아
l
200110
야기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때문에 영국 던디대 스티븐 맥케냐 박사는 음성인식방식
대신
컴퓨터영상기술을 이용해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차내에 설치한 비디오 카메라가 운전자의 미세한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가능하다.계기판 위에 장착된 조종버튼이 있는 투명한 디스플레이가 ... ...
2 활용 : ② 탄소나노튜브와 원자현미경의 찰떡궁합
과학동아
l
200110
모두 하나의 탐침을 이용하는 경우다. 최근에 필자가 속한 연구팀에서는 하나의 탐침
대신
에 2개의 나노 탐침을 이용한 새로운 SPM을 고안했다. 이름은 나노집게(nanotweezers). 끝이 매우 가는(1백-5백nm) 유리관에 2장의 서로 떨어져있는 금속막을 입힌 후 그 끝에 두개의 탄소나노튜브를 붙인 것이다 ... ...
환경보전기술
과학동아
l
200110
현재 실리콘 박막을 이용하는데, 가격이 너무 비싸 보급이 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리콘
대신
광촉매인 이산화티타늄을 이용하면 대규모로 저렴한 태양전지를 만드는 일이 가능하다.한편 대체에너지 중 주목받는 차세대 주자가 수소다. 이 수소를 만드는 일에도 광촉매가 활약할 것으로 기대되고 ... ...
심심하고 할 일 없어 털다 -주유소 습격 사건
과학동아
l
200110
돈뭉치를 4인조가 눈치채지 않게 사수하며 날이 밝기만을 기다린다. 4인조는 주유원
대신
찾아오는 손님들을 맞으며 기름값을 챙긴다. 손님들과 벌어지는 한바탕 소동이 끊임없이 폭소를 자아내지만, 사태는 꼬리에 꼬리를 물며 눈덩이처럼 커진다. 결국 동네 폭력배 수십명과 뒤늦게 출동한 ... ...
2 활용 : ① 반도체개발 춘추전국시대 제패
과학동아
l
200110
그린다. AFM을 마치 가정에서 많이 쓰는 프린터처럼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단지 종이
대신
에 반도체 같은 고체표면에 인쇄를 할 뿐이다. 기존 프린터의 해상도가 1천4백40DPI 정도인데, 나노펜을 이용한 프린터의 해상도는 2백만DPI에 이른다.실제로 나노펜 프린터을 이용해 금 표면에 문장을 썼다. ... ...
3 교육 : 차세대 나노주자 위한 소우주 여행
과학동아
l
200110
프로젝트 이름은 MICRO(Microscopy In Curriculum Research Outreach).이 프로젝트는 IN-VSEE와 달리 SPM
대신
전자현미경을 교육도구로 사용한다. 전자현미경을 통해 중·고생들에게 현재 과학자들이 연구하는 나노세계까지 보여주고 과학적 탐구정신과 관찰 태도를 심어주자는 의미에서 출발했다. 현재 2백여명의 ...
공룡이론의 격전장 쥬라기공원3
과학동아
l
200109
날 수 없었다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이들은 익룡이 날개를 퍼덕이는
대신
글라이더처럼 바람을 타고 하늘을 날았다고 주장했다.그러나 현재는 익룡이 새처럼 날았다는 것이 일반적인 학설이다. 쥬라기공원3에 등장한 익룡들도 이제 더이상 학자들의 눈치를 보지 않고 그 긴 날개를 ... ...
Ⅳ 사인 감독과 주자 그들만의 언어
과학동아
l
200109
같은 작전을 어떻게 펼칠 것인지를 놓고 미리 정한 약속이다. 사인은 야구장에서 말을
대신
하는 그야말로 ‘제2의 언어’라고 할 수 있다.실제로 언어는 사인과 같은 제스처에서 기원했다는 이론이 제기되고 있고 이를 뒷받침하는 실험결과도 발표된 적이 있다. 일부 과학자들은 인간의 뇌가 ... ...
여성이 남성보다 뛰어난 6가지 이유
과학동아
l
200109
대부분 염기 한두개가 바뀌는 점돌연변이가 많다. 반면 여성 유전자는 잘 바뀌지 않는
대신
한번 바뀌면 수십개의 염기가 없어지거나 삽입되는 형태의 ‘왕창돌연변이’다. 점돌연변이는 대부분 자녀에게 유전돼 전달되지만, 왕창돌연변이는 자녀에게 잘 유전되지 않는다. 태어날 아이가 ... ...
분자소재연구실 기능성 분자로 돌돌 말린 디스플레이 실현
과학동아
l
200109
수 있다. 흔히 페트병에 쓰이는 재료와 비슷하게 만들 수 있다는 말이다. 기존의 유리판
대신
이를 이용해 발광 디스플레이를 만들면 접거나 둘둘 말아 갖고 다닐 수 있는 모니터가 가능해진다.사실 유기물질에 전기를 흘렸을 때 빛을 내는 발광 현상은 1960년대에 처음 발견됐다. 하지만 실용성이 ... ...
이전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