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뉴스
"
작은
"(으)로 총 5,57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딸기가 지구를 한 바퀴 돈 사연
2019.03.19
F. x ananassa)가 태어난 것이다. 파인애플딸기가 한국에 소개된 건 100여 년 전이다.
작은
야생 딸기(흰땃딸기의 직계조상)가 수백만 년 전 시작한 여정이 수많은 세대를 거치며 지구를 한 바퀴 돌아 큼직한 재배 딸기가 돼 먼 조상의 고향으로 돌아온 셈이다. 숲딸기 게놈이 우세 수많은 딸기 ... ...
나방 눈 구조 모방해 비가 오나 해가 뜨나 전기 생산하는 유리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나방의 눈에는 굵기가 수십nm(나노미터. 1nm는 10억 분의 1m)이고 길이는 약 100nm인
작은
돌기가 무수히 약 100nm 간격으로 무수히 나 있다. 이를 ‘나노필라’ 구조라고 하는데, 돌기 크기가 가시광선의 파장보다 짧아 빛이 그냥 통과하고 반사하지 않는다. 연구팀은 이 구조를 흉내 내 약 200nm 간격으로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⑥ 쉬운 것은 어렵고, 어려운 것은 쉽다
2019.03.19
사람이 쓴 교재에서 유래됐다. 사진은 당시의 필기 버전. "Hello world!"를 출력하면 코딩의
작은
역사가 시작됐다고 말할 수 있다. 위키피디아 제공 대신 엔트리를 이용한 전통적인 방식의 코딩 교육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기로 했다. 당장 세 번째 교육부터 그렇게 진행했는데, 예상한 바와 같이 ... ...
[전문의가 본 당뇨병] 심장 큰 혈관과 신장
작은
혈관까지 합병증
동아사이언스
l
2019.03.18
여기로 혈류가 지나가면서 체내에 필요한 혈구와 단백질 등을 남기고 수분과 크기가
작은
입자만 내보낸다. 배출된 물질들은 재흡수와 분비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소변이 된다. 당뇨병으로 인해 만성 신장질환이 생기면 사구체의 여과 기능이 떨어져 혈뇨나 단백뇨가 배출될 수 있다. ... ...
[주말N수학]쇼미 더 매스! 수학과 랩의 만남
수학동아
l
2019.03.16
예정”이라고 말했다. 웩은 “수학과 생물 랩을 만들어서 ‘물화생지수학’을 걸고
작은
콘서트를 진행하는 게 최종 목표”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수학동아 3월호. 쇼 미더 매스! 수학과 랩의 만남 ... ...
美록히드마틴, 지구 달 중간기지 프로토타입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3.15
적용됐따. 빌 프랫 NextSTEP 프로그램 매니저는 “달 뒷면을 넘어 화성까지 가는 것은
작은
임무가 아니다”며 “달 주변을 도는 최초의 기지가 될 곳에 우주 로봇 임무를 수행하며 얻은 경험을 녹여냈다”고 말했다. 프로토타입 내부 전체의 모습. 주거공간과 과학실험 공간 등 여러 공간이 담겼다. ... ...
버려지는 에너지 모아주는 '돋보기 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14
밝혔다. 메타 물질은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빛의 파장보다 매우
작은
크기로 만든 금속이나 유전물질로 설계된 메타 원자의 주기적인 배열로 이뤄졌다. 자연적인 물질들이 할 수 없는 방식으로 빛과 음파를 상호작용하도록 설계해 투명망토, 고성능 렌즈, 초민감 감지기 같은 ... ...
쌀알보다 작지만 민감도 1000배 높아진 '나노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3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검출 속도는 수 초 이내로 빨랐다. 특히 이 기술을 가늘고
작은
미세유체채널과 연동해 사용하면 기존의 검출기보다 약 1000배 더 민감하게 화학 물질을 탐지할 수 있었다. 강태욱 교수는 ”식품 안정성 평가 등 현장에서빠르게 유해물질을 검사할 때 활용할 수 있을 ... ...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웨이퍼세정장비 국산화주도 오래택 수석…중기부문 김인호 소장
동아사이언스
l
2019.03.11
확보한 공로가 인정됐다. 반도체 집적 회로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실리콘 웨이퍼에
작은
불순물이라도 들어가면 불량품이 된다. 반도체 공정 미세화에 따라 티끌만한 불순물도 불량품을 만들어낼 수 있다. 오래택 연구원은 10나노 공정 반도체에서도 19나노미터(1나노미터는 100만분의 1m) 크기의 ... ...
[블랙홀 그림자 공개 임박]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
2019.03.10
3년 찬드라 X선 우주망원경이 우리 은하 중심에서 발견한 초대형 블랙홀 ‘Sgr A*’의 모습(
작은
사진). 우리가 지금까지 봐온 블랙홀과 관련 이미지는 이와 같이 뿌연 형태다. 올해 4월 초 공개될 EHT 프로젝트의 연구결과에서 실제 블랙홀의 선명한 모습을 볼 수 있을 전망이다. NASA 블랙홀의 사건의 ... ...
이전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