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름다움
한가운데
중심
중앙
복판
중도
중추
뉴스
"
미
"(으)로 총 4,436건 검색되었습니다.
심해 산호초, 너마저!
동아사이언스
l
2018.08.06
26%, 최대 51%까지 줄었다고 지난달 26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수심이 4m
미
만인 곳에서 가장 심했지만 10m 이상 깊이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는 것이다. 지구온난화 외에도 심해 산호초를 괴롭히는 것은 또 있다. 필리핀 바우안 해역에서는 150m 깊이에서도 페트병과 낚싯줄, ... ...
화성 이주 현실화하려면?...“화성에 온실가스 CO2 농도 높여야”
동아사이언스
l
2018.07.31
1 ㎠당 100g 정도의 CO2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계산됐다”며 “하지만 화성 표면에는 수
미
터에서 약 10m 정도 두께의 점토층뿐이라 더 깊은 층을 시추해야 하는데, 우주 환경에서 이런 설비를 구축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표면에서 약 8km 이상 깊은 곳에 이 같은 점토 ... ...
[써보니] 싼 가격에 가려진 '샤오
미
홍
미
5' 의 놀라운 매력들
2018.07.27
사면 되지’라는 반쯤 농담 섞인 마음으로 대했다. 지금 반년을 돌아보고 남은 것은 샤오
미
의 제품에 대한 신뢰가 가장 크다. 이 보다 더 공들여서 만드는 플래그십은 어떤 경험을 줄까?
미
8에 자꾸 눈이 가는 이유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소의 비밀스러운 삶’에 나오는 소들의 다채로운 모습이 그런 예가 아닐까. 이 책 말
미
에서 저자는 엄격한 동물복지시스템 도입이 시급함을 강조하고 있다. “소비자가 100% 풀만 먹고 자란 방목 유기농 동물복지 육우를 적극적으로 선택한다면, 동물을 기르는 방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12~16). 깃편모충류와 동물의 공동조상인 후편모류(Opisthokonta)가 변곡점임을 주목하라. - ‘
미
국립과학원회보’ 제공 그래프를 보면 3단계는 증가에서 감소로 가는 변곡점에 해당한다. 깃편모충류와 동물류의 공동조상으로 아직 단세포생물이면서도 다세포성에 필요한 유전자가 여럿 만들어졌다는 ... ...
인류, 태양의 속살 들여다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09
태양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을 규명하기 위한 프로젝트다. 탐사선 이름인 ‘파커’는
미
국 천문학자 유진 파커 시카코대 물리학과 명예교수(91)의 이름에서 따온 말이다. 그는 ‘태양의 코로나는 태양 표면의 작고 무수한 나노 플레어(폭발)에 의해 가열돼 발생하는 현상’이라는 현 천문학계의 ... ...
[표지로 읽는 과학]美 FDA, 신약 허가 과정 이면의 숨겨진 거래
동아사이언스
l
2018.07.07
발표했다. 신약이 최종 승인을 거쳐
미
국시장에 시판되려면 꼭 거치는 일이다.
미
국 식품의약국(이하 FDA) 소속 자문그룹 위원을 불러 놓고 약에 대한 발표를 한 다음 투표로 결정한다. 수 백억에서 수 조원까지 드는 신약 개발의 성과가 이때 갈리는 것이다. 매해 수십 건 이상 이와 같은 작업이 ... ...
[여기에 과학]
미
FDA 대마 약효 첫 인정...마약 정의 다시 내려야 할까요?
동아사이언스
l
2018.07.06
예비보고서에서 이 성분이 인체에 무해하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여기에 지난 5월
미
국과 캐나다 독일 등에서 25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 시험에서 효과가 검증되면서 대마를 약으로 바라보기 시작한 겁니다. 하지만 이번 승인으로 인해 마약 자체를 재정의할 필요는 없을 것같습니다. ... ...
‘현
미
경의 난시’ 고쳤다… “모든 광학·전파 장비 설계 바뀔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06.27
사진 = pixabay 제공 과학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장비 중 하나가 현
미
경이다. 수백배가 넘는 배율로 조그마한 물질을 정밀하게 들여다봐야 ... 모든 기술의 설계가 바뀔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미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6월 13일 수요일자에 게재됐다. ... ...
“그래핀 이용해 DNA 분석할 수 있다” 美 연구팀 주장
동아사이언스
l
2018.06.27
양자잔주름이 생긴 것을 확대했다. -Brown University 제공
미
국 브라운대 공대 나노
미
세공학실험실 김경숙 교수팀은 그래핀층 측면에서 횡압력을 주면 표면에 톱니 모양의 비틀림이 생기며, 여기서 전자가 양자화돼 강력한 전기 전하가 생성되는 현상을 발견했다고 26일(현지시각) ... ...
이전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