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괄
내포
포섭
포용
함축
함유
내복
d라이브러리
"
포함
"(으)로 총 6,574건 검색되었습니다.
청정 원자력 발전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문제들을 꿰뚫어보는 안목이 필요하다. 과학뿐 아니라 법, 정치같은 인문·사회과학을
포함
한 폭넓은 분야에 관심을 두는 점은 이 분야만의 매력이다. 힘겨운 연구 과정이 수반됨에도 핵재료 분야에서 많은 연구원들이 땀흘려 몰두하는 이유다.필자는 박사과정을 마무리하고 벨기에 원자력 연구원 ... ...
지식과 논리 갖춘 창의력이 관건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수에 비해 2단계 응시자 수가 적은 이유는 2010년부터 영재학교로 전환된 경기과학고를
포함
해 한국과학영재학교에 복수지원한 뒤 2단계 전형을 타 영재학교에 응시했기 때문이다. 2011학년도에는 영재학교가 모두 4개로 늘어나며 입학 인원도 크게 늘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영재학교를 지망하는 ... ...
2030년 한반도 하늘과 땅 손금 보듯 살핀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적진을 감시하고 통신 중계를 하는 것 외에 위성을 보호하고 적 위성을 공격하는 임무도
포함
한다. 한국은 현재 차량 종류를 식별할 수 있는 수준인 가로세로 1m 크기의 물체를 구별하는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 2호를 보유하고 있다.2011년과 2013년에 각각 발사될 아리랑 3호와 3A호는 가로세로 0.7m ... ...
판다는 원래 ‘육식성’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반면 특유의 고기 맛인 ‘우아미’를 느낄 수 있게 하는 T1R1 유전자가 염기서열에
포함
돼 있었다. 연구진은 이와 함께 판다가 포유류 가운데 개와 유전적으로 가장 가깝다는 사실을 알아냈다.베이징유전체연구소의 왕준 부소장은 “육식성 유전자를 가진 판다가 풀을 먹는 이유는 T1R1 유전자가 ... ...
새해 첫 천문이벤트 금환일식을 즐기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천체사진가들이 참여했다. 천문연구원 연구원들이 촬영한 희귀한 천체 사진도 상당수
포함
됐다. 또 전국 62개 주요 천문대 위치와 연락처, 홈페이지 정보를지도와 함께 수록했다 ... ...
Part 2. 뼈대있는 스키 가족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코스를 따라 내려오는 경기야. 최대 속도가 시속 140km를 넘기도 하고 점프도 2번
포함
돼 있어 보기만 해도 가슴이 떨릴 지경이야. 이에 비해 회전경기는 200m 높이에서 내려오면서 50~70개의 기문 사이를 지그재그로 통과하는 경기야. 촘촘한 기문 사이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지나느냐가 중요해. 두 경기 ... ...
그림 속 숨은 과학찾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예술이 하나의 전문 분야로 인정받기 전에는 어떤 그림이 그려졌을까요? 과학을
포함
한 학문 분야와 예술이 하나의 그림 속에 숨겨져 있는 그림이 있어요. 바로 500년 전 이탈리아 화가 라파엘로가 그린 이라는 *프레스코화예요. 여기에는 로마시대의 건축 모양을 본뜬 크고 멋진 아치 ... ...
몸이 느끼는 편안함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속한 사람 가운데 80%가 만족하는 환경을 뜻한다. 환경에는 온도, 습도, 바람의 세 가지가
포함
된다. 온도가 높을수록 습도의 영향이 커지고 온도가 낮을수록 바람의 영향이 커진다. 여름에는 습도가 높을수록 불쾌지수가 높지만 겨울에는 습도의 영향이 크지 않다. 반면 겨울에는 바람이 세게 불수록 ... ...
[수학 통조림] 경우의 수를 따져라~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모두 몇 번 해야 합니까?”라는 물음에 “4번”이라고 답하는 학생이 있다. 나를
포함
한 5명 중에서 나와 팔씨름을 하는 사람은 모두 4사람 이고 서로 한 번씩 경기를 하니까 자기 입장에서는 총 4번의 경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교과서에서는 게임에서 5명의 학생 각자가 한 ... ...
수를 알면 수학과 영어가 보인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짐작해 보면 수를 이용해 개수를 세고 합계를 내는 일을 했음을 알 수 있다.모든 수를
포함
하는 가장 큰 수 체계를 우리는 복소수라고 한다. 복소수는 영어로 complex number라고 하며 complex는 ‘둘러싸다’, ‘껴안다’ 의미를 갖는 라틴어 complexus(콤플렉수스)에서 유래했다. 또 라틴어 completere ... ...
이전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