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세포가 프랙탈 모양이면 암 위험!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프랙탈은 단순한 모양이 끊임없이 반복되는 기하학적 구조로, 작은 부분을 확대해도 계속 전체와 똑같은 모양이 나오죠.미국 터프츠대 생명공학과 이고리 소콜로프 교수팀은 일반인 6명과 암환자 6명에게서 각각 정상세포와 암세포를 얻어 세포의 표면을 단계별로 ... ...
- [지식] 수학으로 내다보는 황사수학동아 l2015년 04호
- 길이가 4cm인 정육면체의 겉넓이는 96(=4×4×6)cm²다. 이 정육면체를 한 모서리가 2cm인 8개의 작은 정육면체로 자르면, 표면적은 192(=2×2×6×8)cm²이 된다. 이를 다시 한 모서리가 1cm인 64개의 정육면체로 자르면, 표면적은 384(=1×1×6×64)cm²가 된다.표면적이 크면 바람의 영향을 그만큼 많이 받기 때문에 . ...
- [수학뉴스] 수의 크기를 아는 병아리수학동아 l2015년 04호
- 몇 마리 있는지 파악해야 생존에 유리하기 때문이에요. 그리고 어떤 수를 기준으로 작은 수는 왼쪽에, 큰 수는 오른쪽에 있는 것이 익숙해요.혹시 다른 동물도 수 개념을 이해하고 있나요?전문가들은 캐나다에 사는 산갈가마귀, 인도 북부에 사는 레서스 원숭이도 왼쪽부터 수를 센다고 생각해요. ... ...
- [지식] 네 번째 요리 누구보다 빠르게 남들과는 다르게, 로그와 햄버거수학동아 l2015년 04호
- 말입니다.문제는 계산이야!계산기가 없던 옛날에는 어땠을까요? 그땐 지금보다 작은 숫자만 썼을 테니, 연필과 종이로도 충분했을까요? 그렇진 않았습니다. 아주 오래전부터 큰 숫자에 시달려온 분야가 있었으니, 바로 천문학입니다. 지금도 ‘천문학적’이라는 단어는 ‘엄청나게 크다’라는 ... ...
- 화산 오늘도 뜨겁게 부글부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어떻게 이동하는지 대해 자세한 정보를 전하는 임무를 갖고 있지요. 볼케이노봇1보다 작은 볼케이노봇2도 화산을 향해 출동할 중비를 마쳤다고 하네요. 볼케이노봇 같은 탐사 로봇이 발전하면, 지진파나 굳은 용암을 통해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밖에 없었던 화산 폭발에 대해 더욱 자세히 알 수 있을 ... ...
- 제왕나비는 왜 추운 곳에서 겨울을 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이용해 제왕나비를 잡아요. 그런 다음 고유번호, 연구자 연락처 정보가 적혀 있는 작은 태그를 나비의 날개에 붙이고 풀어 줘요. 운이 좋으면 이 제왕나비는 다른 곳에 있는 일반 시민이나 멕시코에 있는 연구자들에게 다시 발견돼요. 그러면 태그를 붙인 장소와 발견한 장소를 이용해 이주경로에 ... ...
- [지식] 자유를 사랑한 수학자 로랑 슈와르츠 탄생 100주년수학동아 l2015년 03호
- 무한이 아니고 적당한 무한이라는 뜻이니, 정말 골치 아픈 놈일 수밖에 없다. 큰 무한과 작은 무한을 비교하는 일은 독일의 수학자 칸토어 이후 많은 진전이 있었지만, 어쨌든 다루기 까다로운 건 여전하다.프랑스 최초의 필즈상슈와르츠는 이런 골치 아픈 녀석을 포함하는 새로운 수학적인 대상을 ... ...
- [Photo] 외로운 왕, 늑대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평균 5마리에서 9마리로 천차만별이었다. 흥미롭게도, 먹이가 클수록 무리도 커졌다. 작은 사슴류를 먹는 무리보다는 엘크를 먹는 무리가 구성원 수가 많았고, 그보다는 바이슨을 사냥하는 무리가 컸다. 무리에 들지 못하는 외톨이 왕도 있었다. 홀로 돌아다니는 이런 떠돌이 왕은 전체 개체의 10~15%를 ... ...
- [Info] 지리산에 과학 단비가 내리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동아리를 만들었는데, 이 현미경은 자그마치 50년이 지난 것이다. 권 양은 “나뭇잎이나 작은 생물을 보는 데는 문제가 없다”라고 웃었다.졸업을 앞둔 권 양에 이어 도서관을 맡은 후배학생들은 이구동성으로 ‘새 과학도서’를 외쳤다. 지리산고 도서관은 전적으로 외부의 책 기부를 통해서 ... ...
- [Life & Tech] 식중독 바이러스가 면역력 높인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쥐’로 만들었다. 무균 쥐는 특정 면역세포를 충분히 만들지 못하고 영양분을 흡수하는 작은창자의 융모가 비정상적으로 얇다. 그래서 몸도 삐쩍 마르고 질병에 약하다. 연구팀은 이 무균쥐에게 ‘쥐 노로바이러스’를 투여했다(쥐 노로바이러스에는 구토와 설사를 일으키는 종류와 증상 없이 감염 ... ...
이전2802812822832842852862872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