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자"(으)로 총 3,155건 검색되었습니다.
- (3) 21세기 산업의 핵 인공호르몬과학동아 l1994년 06호
- 기술은 결국 유전자치료와 같은 방안이 등장케 하였다. 결함이 있는 유전자를 정상적인 유전자로 교체하거나 보강함으로써 유전성 질병을 근원적으로 치유하는 요법이다. 결국 유전공학은 호르몬의 생체조절기능과 유전정보의 세포내 전달과정을 이해하는데 종합적이고 구체적인 접근방안을 ... ...
- (2) 면역 호르몬 사이토킨, 암퇴치의 첨병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이루어진다.여러 유전자들이 암 형성에 관여되고 있음이 알려지고 있으므로 그래도 유전자의 변화가 아직 적은 수준인 조기암의 진단이 역시 치료에 중요한것 같다. 앞으로는 분자수준에서의 더욱 예민한 검사법이 개발돼야 암의 진단과 치료에 기여도가 커질 것이다.지금까지 우리가 알고 있던 ... ...
- (1) 세포 상호 의사소통, 생체기능 조절과학동아 l1994년 06호
- 메커니즘을 이해하던 것에서 호르몬이 세포내부의 정보전달, 호르몬의 핵내 수용체 내지 유전자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등으로 연장 확대되어 소위 분자내분비학으로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연구와 여느 분자생물학의 기본 모습은 거의 같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호르몬이라 부르건 다른 ... ...
- 4. 한국인의 뿌리, 아프리카 현생 인류과학동아 l1994년 05호
- 교류는 인간의 다양성을 증진시키고 새로운 환경에 보다 잘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의 유전자를 가진 개체를 나타나게 할 가능성이 많다.인간은 자연의 일부로서 진화해 왔지만 그 진화의 결과로 자연을 파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유일한 생물이다. 또한 생물은 반드시 자신이 가진 능력을 사용하게 ... ...
- 미래를 여는 복잡성 과학과학동아 l1994년 05호
- 질서가 형성되는 반혼돈 특성을 갖고 있다는 아이디어이다. 카우프만은 이러한 질서가 유전자 때문이 아니라 게놈 조절체계의 구조때문에 자연발생적으로 게놈체계 내부에 존재하는 질서라는 의미에서 부존질서 (order for free)라고 명명했다. 부존질서는 자기조직화의 산물에 다름아니다.다윈 이후 ... ...
- 식물, 왜 '근친혼' 싫어하나과학동아 l1994년 05호
- 와서 수분이 일어나야 한다. 이 때 형성된 종자는 잡종 종자일 수밖에 없다. 이 키메라 유전자는 유채에서도 웅성불임을 나타내도록 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배현숙 박사와 골드버그 박사의 연구결과는 앞으로 유용한 작물에 응용되면 수작업에 의하지 않고 자연적으로 잡종종자를 생산할 수 있는 ... ...
- 미남·미녀기준 서구형으로 대변신과학동아 l1994년 05호
- 볼 얼굴을 현대 한국인은 왜 부정적 인상으로 평가하고 있을까? 더욱이 그것이 자신들의 유전자에 보편적으로 자리잡혀 있는 한국인의 주요한 형질의 하나인 데도 말이다.한국인이 한국인 자신의 얼굴에 호감을 느끼지 못하면 이는 매우 불행한 일이다. 자신의 얼굴모습이 자신들이 바라는 모습으로 ... ...
- PARTⅢ 의료·유전공학·에너지 분야서 2천년대 국가 경쟁력 좌우과학동아 l1994년 04호
- 있다.유전공학연구의 성과로서는 작물의 유용유전자 분리증식기술, 살충, 살균성 유전자개발, 살충성 및 바이러스 내성 담배개발 등을 들 수 있다. 이 연구성과로 인해 유전공학 기초기술의 정착단계를 앞당기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돌연변이 육종은 1960년대 후반부터 연구가 시작되어 많은 ... ...
- X 염색체 가진 정자는 Y 염색체 가진 정자보다 크다과학동아 l1994년 04호
- 에 이들이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여성 유전자 정보가 든 X염색체를 가진 정자는 남성 유전자 정보가 든 Y염색체를 가진 정자보다 크고 길다는 것. 이 크기 차이를 이용하면 아들 딸을 골라 낳는 기술의 하나가 될지도 모른다. 성별을 정하는 것은 정자가 가진 성염색체인데, 정자의 크기와 관련한 ... ...
- 1 생물의 모든 변화현상 매개하는 생명의 근본과학동아 l1994년 04호
- 효소의 성능을 개량하는 기술이 확립되게 되었다.효소공학(Enzyme Engineering)이란 효소의 유전자를 이용하여 일정한 위치의 아미노산을 바꿈으로써 활성부위 아미노산을 변경시키는 것이다. 이로써 능력개선, 흡착능력의 향상을 통한 효소반응속도의 급속한 증가, 안정성 향상, 단백질 분해효소에 ... ...
이전2802812822832842852862872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