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앞발
주먹
도움
손바닥
약혼
sone
so’n
d라이브러리
"
손
"(으)로 총 5,212건 검색되었습니다.
“눈동자만 움직여도 현란한 영상과 소리 펼쳐져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아트가 됩니다.” 디지털 시대에 맞게 아날로그 예술이 진화했고, 이제는 첨단 과학과
손
까지 잡는다는 얘기다. 예술과 과학이 어떻게 만났기에 춤을 추거나 눈동자를 움직이는 행위만으로도 영상과 소리가 탄생하는 걸까. 지난 9월 16일, 자세한 이야기를 듣기 위해 이 교수의 연구실을 찾아갔다 ... ...
나를 말해주는
손
가락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지금 책을 쥐고 있는 자신의 오른
손
을 펴보자. 그리고 자를 이용해 두 번째
손
가락인 검지와 네 번째
손
가락인 약지의 길이를 mm 단위까지 정확하게 재보자. 길이는
손
바 ...
손
가락만으로 내 모든 것을 알 수 있는 날이 올지도 모른다. 그땐 왠지 남에게 선뜻
손
을 보여주기 어려울 것 ...
가상세계에서 과학실험 맛보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자침에 따라받침대를 놓은 뒤 날짜에 따라 해 그림자를 측정한다.사계절 별자리 투영기
손
과머리 | 7000원별자리를 공부할 수 있는 1인용 플라네타리움을 만들자. 계절에 따라 별자리 선이 있는 것과 없는 것 2종류씩 총 8장의 필름이 들어 있다. 우드락으로 만든 몸체를 접어 끼운 뒤필름을 LED 전구로 ... ...
면발의 힘 글루텐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 세계 곡물 경작지의 30%가 밀밭일 정도로 밀은 곡물 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한다. 연간수확량도 2007년 현재 6억 700만t으로 옥수수(6억 9500만t)와 쌀(6억 3400 ... 들어 있는 음식을 피해야 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Part1. 면발 맛대결 기계 vs
손
면발의 힘 글루텐 맛있는 세계 면류 ... ...
“로봇기술 한계, 사회 갈등은 인지과학으로 푼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보고서를 준비할 때 머릿속으로 정리하려면 뒤죽박죽이 되지만 컴퓨터 자판에
손
을 딱 올려놓고 나면 그때서야 차곡차곡 문장이 돼 나오는 경험, 한번쯤은 했을 겁니다.”이 교수는 이런 현상이 “마음이 인공물에 연결돼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마음? 그거 뇌의 작용 아닌가. 현대 과학에선 ... ...
로드킬, 환경 오염 없는 경춘고속도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추진코가 있고 뒤에서도 압출기가 제작한 상판을 밀어낸다. 마치 튜브에 든 치약을
손
으로 누르면 치약이 끊이지 않고 길게 밀려 나오는 모습과 비슷하다.이 공법은 강 위에서 교량 상판을 제작하지 않아 만드는 과정에서 강이 오염되는 일을 막을 수 있다. 또한 강 위에서 이뤄지는 작업이 적어 ... ...
맛있는 세계 면류 총집합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중국과 일본의 대표 면발 나와라!바늘귀 통과하는 자장면● 중국에서는 일찍부터 수타면을 만드는 법이 발달했다. 양
손
으로 밀가루 반죽의 양 끝을 잡 ... 늘여 먹는 국수의 형태가 탄생하게 됐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1. 면발 맛대결 기계 vs
손
면발의 힘 글루텐맛있는 세계 면류 ... ...
신종 플루 팬데믹 공포, 한반도 피해는 이제 시작!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한다. 불가피할 경우 되도록 마스크를 착용하는 게 좋다. 또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경우
손
수건으로 입을 막아 주변 사람들에게 침이 튀지 않게 하는‘예의’도 필요하다.아무튼 지금으로서는 어떤 방향으로 사태가 전개될지 누구도 짐작할 수 없다. 유럽질병통제예방센터의 보고서의 한 대목처럼 ... ...
언제 어디서나 재잘재잘 twitter 온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소통되는 속도를 높인다. 트위터는 두 사람이 두
손
을 맞잡고 있는 구조가 아니라 한
손
씩은 다른 사람에게 내주고 있는 구조이기 때문이다.복잡계 네트워크 이론의 전문가인 KAIST 물리학과 정하웅 교수는 “트위터는 싸이월드나 마이스페이스보다 조금 더 개방적인 네트워크를 갖고 있다”며“더 ... ...
마음을 울리는 청아한 소리 양금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두껍게 만들어 무게를 싣는다. 양금은 쇠줄로 만들기 때문에 다른 국악기처럼 줄을
손
으로 눌러 음높이에 변화를 주는 연주기법인 ‘농현(弄絃)’을 할 수 없다. 대신 기타에서처럼 위아래 음을 빠르게 반복해 연주하는 트레몰로 기법이 쓰인다. 재밌는 사실은 양금에 피아노의 원형이 숨어 있다는 ... ...
이전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