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d라이브러리
"
기존
"(으)로 총 4,79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암 발생 20년 전에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살아남아 암을 재발시킨다. 때로 암은 치료 10년 뒤에도 재발한다.재발할 때는
기존
방법으로도 치료하기 어려운 다른 형질의 암세포가 된다. 불행히도 아직까지 정상줄기세포와 암줄기세포를 구별하지 못한다. 현재는 유전자를 검사해 유전성 대장암의 발병확률이 높다면 대장내시경 검사를 자주 ... ...
당신도 '프로슈머'입니까?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UGC라는 용어를 널리 쓰기 시작했다.아직까지 사용자가 생산하는 콘텐츠의 85% 이상이
기존
의 콘텐츠를 가져온 것이고 순수하게 창작한 콘텐츠는 15% 미만에 그친다는 점에서 UCC보다는 UGC라는 표현이 더 적합하다. 한편 UGC를 많이 만들어 적극적으로 자기표현을 하는 사람들을‘퍼블리즌’(PUBLIZEN, ... ...
나노 스프레이로 얼음 녹인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스프레이를 뿌린 뒤 12V의 전기를 흘렸더니 2분 안에 성에가 모두 녹았다”고 말했다.
기존
방식은 열선을 유리 안에 심기 때문에 유리 전체로 열이 고르게 전달되지 않을 뿐 아니라 일단 어느 부분이 끊어지면 열선 전체를 교체해야 했다. 그러나 이 스프레이 방식은 유리 전체로 열이 고르게 전달될 ... ...
변신의 귀재 탄소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지름이 0.7nm(나노미터, 1nm=10-9m)이므로 풀러렌은 축구공을 1억배쯤 축소했다고 보면 된다.
기존
의 축구공보다 1억배 작고 탄소 원자로만 이뤄진 분자 축구공. 자연의 신비라고 밖에 말할 수 없다.흑연을 태웠을 때 탄소로만 이뤄진 분자량 720의 물질이 만들어진다는 사실은 당시 화학자에게 ... ...
2. 선폭 줄이면 매트릭스 세상이 온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된다. 커즈와일은 “인간의 뇌 활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면, 컴퓨터가
기존
의 컴퓨터 알고리즘과는 전혀 다른 인간 뇌의 알고리즘을 흉내 낼 것”이라고 말한다. 결국 매트릭스의 세상으로 가는 시나리오다.자기조립으로 진화하는 세상예측한 미래가 현실이 되려면 넘어야 할 ... ...
펨토초 레이저에서 탄생한 X선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머지않아 펨토초 레이저 기술은 병원에서도 사용될 전망이다. 수술용으로 사용하던
기존
의 레이저는 대부분 열을 이용하기 때문에 세포에는 치명적이다. 신경세포 하나의 크기가 10㎛도 되지 않는 작은 크기여서 자칫 레이저를 사용하다 주변 조직까지 타버릴 수 있기 때문. 하지만 펨토초 레이저가 ... ...
문어 피부에 숨은 '3D 세포'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가장 아래쪽에서 색이 없고 반투명한 단백질을 발견했다. 한론 교수는 “이 단백질은
기존
에 발견된 적이 없는 새로운 단백질인 ‘루코포어스’로 문어가 받은 빛을 반사하는 역할을 한다”고 밝혔다.또 연구팀은 여러 파장의 빛을 각도를 바꾸면서 이 단백질에 비추자 모든 빛을 반사했다. 예를 ... ...
4. 나는 꽃미남이 좋아요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활동이 뛰어나다는 뜻이고 그에 따라 건강을 상징하기 때문에 더 매력적일 것이라는
기존
의 생각을 뒤집는 결과다. 남성적인 얼굴을 선호하는 경우는 여성의 배란기 때 두드러졌을 뿐 그 외에는 여성적인 남성이 매력적이었다.배란기 여성은 생식을 위해 남성적인 얼굴에 끌리지만 그때가 지나면 ... ...
걸어 다니는 신분증, 얼굴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3차원 레이저를 이용해 얼굴을 입체적으로 스캔한 정보를 이용하는 기법이 등장했다.
기존
에는 얼굴을 정면으로 찍은 평면 사진을 사용했다면 3차원 인식기술은 카메라를 두 대 이상 사용해 서로 다른 각도에서 얼굴을 입체적으로 읽어낸다. 얼굴에서 변하지 않는 뼈 구조를 기반으로 수치를 ... ...
괴짜들이 만났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때문에 최근 들어 인간이 모여 사는 도시도 생태계로 보는 학자들이 많이 생겼다. 도시를
기존
의 ‘생태학’(Ecology)이 아니라 새로운 ‘생태공학’(Ecological Engineering)으로 해석하는 것이다.도시에서 인간이 배출하는 오염물을 습지에 서식하는 식물이나 조류, 미생물이 흡수, 분해하도록 한다거나 ... ...
이전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