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념
사상
이념
생각
취지
표상
의미
d라이브러리
"
개념
"(으)로 총 3,952건 검색되었습니다.
찔레꽃은 붉지 않고 낮에 나온 달은 하현달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외로이 떴네”라는 구절이 있다. 엄밀성을 추구하는 과학에서는 어떤 사물이나 사실을
개념
적으로 정확히 지시해야 한다. 그러나 일상에서는 비슷한 것들을 뭉뚱그려 한통속으로 표현하는 일이 많다. 반달만 하더라도 과학에서는 그것이 상현(오른쪽 반달)인지 하현(왼쪽 반달)인지 구별해야 한다. ... ...
디지털로 세계를 묶은 인터넷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고민은 1962년 MIT의 리클라이더 박사가 해결해주었다. 그는 오늘날 인터넷의
개념
을 담고 있는 ‘은하 네트워크’(galactic network)를 제안했다. 전세계의 컴퓨터가 하나로 연결되어 어디서나 빠르고 쉽게 접속할 수 있는 방식이다. 그러나 그의 제안은 구상에 불과했던 것이지 실현된 기술은 아니었다. ... ...
Ⅰ. 30억개 문자의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사람의 게놈 설계도가 완전히 밝혀진다. 신비의 영역에 놓여있던 '생명'이라는 막연한
개념
이 이제 구체적인 형태를 갖추고 우리앞에 다가온 것이다. 엄청난 사건임이 분명하다.다른 생물의 게놈 설계도 역시 속속 완성되고 있다. 이미 30여종에 달하는 생물의 게놈 정보가 모두 밝혀졌고, 그 세세한 ... ...
인간 유전자에 특허 매겨진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말은 무슨 의미일까. 김재만 변리사(유미 특허법률사무소)는 “특허를 받았다는
개념
을 마치 집과 같은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는 것처럼 생각하면 간단하다”고 말한다. 어떤 과학자가 유방암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발견하고 이에 대해 특허를 받았다고 가정하자. 병원에서 유방암 진단용으로 ... ...
지진 예측할 수 없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위해 도입된
개념
이 규모(Magnitude)이다. 규모는 1935년에 미국의 리히터에 의해서 제안된
개념
으로 지진계에 기록된 지진파의 최대진폭과 진앙거리(진앙에서 관측소까지의 거리)사이의 관계를 이용해 지진의 크기를 결정하는 방법이다.규모는 진도에 비해서 객관적인 관측장비를 통해서 얻어진 ... ...
노벨상 받은 여성과학자 10명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사실을 알아낸 것이다. 그러나 중성자 발견의 공로는 이 실험결과를 듣고 중성자라는
개념
을 만들어낸 영국의 물리학자 제임스 채드윅(1891-1974)에게 돌아갔다. 그 덕분에 채드윅은 1935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과학계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퀴리의 작은 딸 에브도 꽤 유명한 작가가 됐다. ... ...
99년 영광의 수상자 : 물리학상-호프트와 벨트만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생각하면, 네 가지 힘들을 하나의 힘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개념
이 바로 통일장 이론이다.상호작용을 통합하려는 노력은 전자기력과 약한 상호작용을 결합시키는 것에서 시작됐다. 이것이 글래쇼, 살람, 와인버그에게 1979년 노벨상을 안겨준 표준이론이다. 그러나 ... ...
교과서 실험 이의 있습니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때 유용하다. 또 단순히 물위에 잉크를 떨어뜨렸을 때 관찰할 수 있는 퍼짐이라는
개념
에 갈등을 일으키기 위한 것도 아니다. 한마디로 본 수업의 목적과는 전혀 다른 차원이라는 말이다 ... ...
생물의 최후 천태만상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한 단어로 압축된다. 즉 ‘사람의 힘을 들이지 않은 있는 그대로의 자연’을 의미하는
개념
이다. 장자는 지구가 언젠가는 사람의 간섭을 받아 결딴이 날 것이라는 점을 예견한 듯하다. 또 장자는 현대 생태학의 이론인 ‘물질순환’ 원리를 이미 터득하고 있었음이 분명하다. 죽으면 먹히고 썩어서 ... ...
인터넷PC 꼼꼼 분석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생활계획표 작성, 글쓰기 등을 익힐 수 있다.예를들어 일기쓰기의 경우 일기라는 기본
개념
에다 잘한 일, 잘못한 일 반성하기, 내일의 계획 등을 생각의 가지로 구성하고, 다시 잘한 일에 여러가지 내용을 적어가는 방식이다. 작성한 마인드 맵 문서는 여러가지 그림파일을 덧붙여 인터넷으로 쉽게 ... ...
이전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