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생각하기"(으)로 총 2,970건 검색되었습니다.
- [KAIST 명물] 한국에 푹~빠진 KAIST 공학도,데니스를 만나다!KAIST l2013.05.08
- “한국인은 진짜 매력 있어요! 한국도, KAIST도!” 노란 머리, 파란 눈을 가진 라트비아인이지만 한국인보다 더 한국인 같은 데니스 구자노우(Denis Guzanou).건설및환경공학과 4학년에 재학 중인 26세의 KAIST 학생이다. 출중한 한국어 실력과 훤칠한 외모로 공중파 TV 프로그램 출연은 물론 스마트TV 광고 ... ...
- 분자생물학의 거성(巨星) 떨어지다동아사이언스 l2013.05.07
- “대장균에서 맞는 사실은 코끼리에서도 맞는 사실이다.” - 프랑수아 자콥 분자생물학의 개척자인 프랑수아 자콥이 올해 4월 20일 93세로 타계했다. 1965년 노벨상을 받은 직후인 45세 무렵의 모습이다. - 노벨재단 제공 20세기 중반 분자생물학을 개척한 과학자들 중 두 사람이 짝을 이룬 경우 ... ...
- 채식의 배신? 가공식품의 배신! KISTI l2013.05.06
- 채식의 배신? 가공식품의 배신! - KISTI 과학향기 제공 2013년 2월 ‘채식의 배신’이란 책이 출간되며 채식에 대해 우려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책의 저자인 리어키스는 20년간 채식을 했는데 오히려 건강이 좋지 않았다고 밝히며 자신의 사례를 들어 채식의 단점을 적나라하게 드러냈기 때문이다. ... ...
- 우주 과학을 탄생시킨 사상 최대의 기술이전KOITA l2013.05.06
- 세 번의 시도 끝에 나로호가 비로소 발사에 성공했다. 비록 두 번의 실패가 있었지만 이에 굴하지 않고 끈질기게 도전한 끝에 낳은 값진 성과다. 일부 여론에서는 난항을 겪던 나로호 프로젝트 자체에 대한 회의론도 만만치 않았지만 따지고 보면 세 번 만의 성공은 나름 준수한 성적이다. 우주강국 ... ...
- 새 정부 5년, 과학기술계가 바라는 복지는?과학기술인공제회 l2013.05.03
- 우리나라는 빠르게 저출산, 고령화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 특히 '한강의 기적'을 이룬 과학기술인 1세대가 본격적으로 퇴직을 시작하는 나이가 되면서 '과학기술인 복지'가 시대의 화두가 됐다. 새 해를 여는 2013년 1월호에서는 민철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 ...
- 인기 좋은 팔방미인의 비결은?과학기술인공제회 l2013.05.03
- 신용현 대한여성과학기술인회 회장에게는 묘한 매력이 있다. 한없이 부드러운 갈대같으면서도 묵묵히 여성과학기술인으로서 선구자적인 행보를 이어나가는 발걸음에는 거침이 없다. 작년 취임한 대한여성과학기술인회 회장직은 물론,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우주기술기반 신기술융합사업단장, 국 ... ...
- 세계 초일류 융복합 연구중심대학 세울 것과학기술인공제회 l2013.05.03
- 지난 2013년 2월 15일, 대구 달성군에서 18명이 꽃다발과 축하를 받았다. 2003년 제정된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법에 의거하여 오랜 시간 준비를 갖추어 온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이하 DGIST)이 첫 졸업생을 배출한 것이다. 이번 졸업생 배출은 여러 모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 10년에 이른 대장정이 낸 첫 결 ... ...
- 세상은 여성 과학기술인을 기다린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3.05.03
- 우리나라의 남녀 불평등은 많이 나아지고 있는 추세다. 2011년 유엔개발계획(UNDP)은 성불평등지수(GII) 발표에서 우리나라에 세계 146개국 중 11위라는 높은 성적을 부여했다. 이전 해의 20위에 비해 많이 상승한 수치다. 그러나 세계경제포럼(WEF)이 경제, 정치, 교육, 보건 상황을 종합해 매년 발표하는 ... ...
- 로봇 장인이 꿈꾸는 진정한 공존은?과학기술인공제회 l2013.05.03
- 이제 막 고단한 하루 일과를 마치고 집에 돌아온 K양. 아무도 없는 집이지만 저녁 식사가 외롭지 않다. 식탁에 저장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를 작동시키자 실시간으로 고향에 계신 부모님과 같이 식사를 나눌 수 있기 때문이다. 단순히 얼굴을 보고 화상채팅을 하는 수준이 아니라 같은 공간에서 서 ... ...
- KAIST Presidential Fellowship_장학생 김세엽 학생 인터뷰KAIST l2013.05.03
- KAIST는 매년 약 900명 내외의 학생들을 선발하여 많은 혜택과 함께 학교에서 공부할 기회를 주어 미래의 인재로 양성하는데 힘을 쓰고 있다. 한편, KAIST에 합격하는 900명의 학생 중에 탁월한 역량을 갖추었다고 판단되는 약 20명 정도의 학생들이 KAIST Presidential Fellowship 장학생(이하 KPF 장학생)으로 선 ... ...
이전2792802812822832842852862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