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렬
큰
이음보
뉴스
"
대형
"(으)로 총 3,209건 검색되었습니다.
일상 단어 1000개로 최신 우주이론을 설명한다고?
2015.10.18
일상에서 쓰는 단어로 풀어냈다. 외계행성은 ‘멀리 있는 행성’, 유럽입자물리연구소의
대형
강입자충돌기는 ‘커다란 고리형 시설’이라고 쓰는 식이다. 최신 우주이론을 설명하기 위해 풀어쓴 단어 수도 1000개에 달한다. 용어는 쉽지만 내용은 충실하다. 종종 볼 수 있는 천문현상인 ... ...
[뉴스 분석] 슈퍼 엘니뇨로 인한 대가뭄, 4대강으로 막기엔 역부족
2015.10.15
댐만 10개가 넘는다. 4대강 사업으로 설치된 16개 보 가운데 세종보를 제외한 15개의 보가
대형
댐에 속한다. 댐이 많은 만큼 이로 인한 피해도 더 클 수밖에 없다. 기후변화 대응책으로 꼽힌 4대강 사업이 오히려 기후변화에 부채질을 하고 있는 셈이다. 한편 정부가 확대하겠다고 한 해수담수화 ... ...
[2015 노벨상 분석]“한국 노벨 과학상은 20년 뒤에나…”
동아사이언스
l
2015.10.08
정순찬 단장은 “일본 정부는 이번에 노벨 물리학상을 배출한 ‘슈퍼가미오칸데’처럼
대형
실험시설을 구축하기로 일단 결정한 뒤에는 기간이 오래 걸리고 예산이 많이 투입돼도 기다리고 격려한다”고 말했다. KEK는 2008년 고바야시 마코토(小林誠) 명예교수가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는 등 ... ...
[2015 노벨 물리학상, 왜 그들이 받았나] 중성미자에도 질량 있습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0.06
미쳤습니다.>> 2000년대에 들어서던 즈음에 가지타 다카아키 일본 도쿄대 교수는 일본의
대형
체렌코프 우주소립자 관측 장치인 ‘슈퍼가미오칸데’를 통해 지구의 대기권에서 중성미자가 뮤온과 전자의 두 상태 사이에서 계속 변환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중성미자의 세 가지 형태인 ... ...
신토불이 과학연구 노벨상 거머쥐다!
2015.10.06
아팠다. 결국 1967년 새로운 말라리아 치료제를 찾는 ‘프로젝트 523’이 출범했다. 이
대형
프로젝트에는 500명이 넘는 과학자와 의사들이 동원됐는데 연구에 전념할 수 있게 많은 혜택을 받았다. 당시는 문화대혁명 기간으로 지식인들도 삽과 괭이를 들고 들판으로 달려가던 때였다. 프로젝트의 ... ...
미래에는 산불 더 잦아진다
2015.10.06
제공 최근 전 세계적으로 계절을 불문하고 초
대형
산불이 자주 발생하면서 산불이 범국제적 재난으로 떠올랐다. 산불은 전 지구적 식생의 변화로도 이어질 수 있어 위험하다. 산림청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연평균(2005~2014년) 384건의 산불이 발생해 매년 631ha(헥타르·1ha는 1만 m²)의 산림이 소실된다. ... ...
롯데월드타워 첨탑부에 다이아무늬 새겨진 비밀은?
2015.09.25
경우 순간 초속 80m 바람까지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됐다. 또 대각선을 이룬
대형
강관은 건물이 받는 연직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킨다. 김 교수는 “다이아그리드 공법은 댓살을 교차시키며 엮은 죽부인과 원리가 비슷하다”며 “죽부인이 내부가 비어 있지만 사람이 베고 누워도 댓살 구조를 ... ...
1953년 스탠리 밀러의 초기 지구 조건에서 아미노산 합성 실험
과학동아
l
2015.09.20
에서 비롯됨을 시사한다. 1969년 호주 빅토리아주 머치슨에 떨어진 무게 100kg짜리
대형
운석은 1953년 밀러의 실험을 다시 부각시켰다. ‘머치슨 운석(Muchison meteorite)’이라고 불리는 이 탄소질 콘드라이트(주로 각섬석과 휘석으로 된 콘드룰로 이뤄진 운석)는 지구에는 존재하지 않는 암석이다. ... ...
‘스마트(SMART)’ 원자로 해외 수출 첫 걸음 내 딛는다
2015.09.02
대형
원전과 스마트 원자로를 비교한 모습. - 동아일보DB 제공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개발한 중소형 원자로인 ‘스마트(SMART)’의 상세설계 협약이 현지시간으로 2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체결됐다. 이번 체결은 3월 박근혜 대통령이 중동 순방 기간에 서명한 ‘스마트 파트너십’ 업무협약(MOU) ... ...
역대 가장 무거운 입자로 표준모형 대칭성 확인
2015.08.27
물리학과 교수 등 국내 6개 연구기관 소속 연구원 24명은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서의
대형
이온충돌실험(ALICE)에 참여해 중수소와 헬륨3의 입자와 반입자의 물리적 특성을 정밀 측정함으로써 대칭성을 확인했다고 27일 밝혔다. 물리학에서의 대칭성이란 전하, 공간, 시간이 반전돼도 상관없이 ... ...
이전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