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이언스 시간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1호
- 속으로1993년 6월 4일국내 첫 과학 로켓 서해안에서 발사‘과학 1호’는 우리 기술로 만든 최초의 과학 관측 로켓이다. 이 로켓은 무게 1.3톤, 지름 42㎝, 길이 6.72m의 1단 로켓이다. 발사 후 39㎞ 고도까지 올라가 한반도 상공의 오존층을 관측하는 등 여러 과학실험을 하며 3분 동안 비행한 뒤 서해로 ... ...
- 현미경 속 열대어, 찹쌀 도넛, 네잎 클로버과학동아 l2007년 11호
- ‘연화화생’(蓮華化生)을 포착했다. 꽃잎처럼 붙어 있는 것은 모기의 털. 올해 국내 최초로 개발한 전자현미경으로 찍었다. 배율은 300배.생명의 화원 바이오기술상·일반부김남진·서울대 농생명공학부 ‘빨강 꽃 노랑 꽃 꽃밭 가득 피어도~’ 노래 ‘사계’가 절로 생각난다. 주사전자현미경에 ... ...
- 땅이 둥근지 몰랐던 옛사람, 경위도 개념 있었다과학동아 l2007년 11호
- 1735년 존 해리슨이라는 영국인 기술자가 24시간에 불과 수초의 오차밖에 나지 않는 최초의 크로노미터를 만들었다. 1761년 그는 156일의 항해에 54초의 오차가 생기는 정밀한 크로노미터를 완성했다. 그뒤 크로노미터는 해리슨을 비롯한 시계 제작자들의 손을 거쳐 더 정밀해졌고, 1700년대 후반에는 ... ...
- 세계 최초 OLED TV 등장과학동아 l2007년 11호
- 세계 최초로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TV를 판매했다. 다른 평면 디스플레이와 달리 OLED는 별도의 빛 발생 장치인‘백라이트’가 필요 없어 두께가 3mm밖에 안 될 정도로 얇다. 전력소모량도 다른 평면 디스플레이보다 몇 배나 적다.면역(免疫)담당세포의 하나 탐식(貪食)세포라고도 불리우며 ... ...
- 2. 암모니아 합성 과정, 원자 수준에서 보는 고체표면화학과학동아 l2007년 11호
- 하지만 오랜 세월 동안 한 분야를 꾸준히 연구해 표면화학의 현대적 방법론을 최초로 개발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는 고체표면화학을 현대적 방법으로 연구하기 위해 직접 실험 장비를 만들었다. 백금-수소 반응을 연구할 때 수소가 백금 표면과 반응하며 진동하는 현상이 나타났는데, 그 의문을 ... ...
- 2세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과학동아 l2007년 11호
- 운영하는 ‘링크나우’(www.linknow.kr)는 직장인과 전문가에 초점을 맞춘 SNS 사이트다. 국내 최초로 친구의 친구의 친구, 즉 3촌까지 찾을 수 있는 강력한 ‘인맥검색엔진’을 도입해 순식간에 방대한 인맥을 구축할 수 있게 해준다. 회원이 프로필을 통해 자신의 경력과 전문성을 알리고 필요한 사람을 ... ...
- 로보카, 무인자동차 대회 출격 준비 완료!과학동아 l2007년 11호
- 이지만 제조공정의 어떤 단계에서 유동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고분자화합물의 일종이다 최초의 플라스틱은 1909년 배클란드가 발명한 페놀포르말린 수지이며, 이것이 외관상 송진과 비슷했기 때문에 합성수지라고도 불렀다 어원은 그리스어의 plastikos(성형하기 알맞다는 뜻) 플라스틱은 대개 석유 ... ...
- 1. 하드디스크 소형화 일등공신 거대자기저항과학동아 l2007년 11호
- 응용해 ‘스핀밸브’구조를 만들고 이를 하드디스크의 헤드에 응용해 세계 최초로 GMR 하드디스크를 만든 사람이기 때문이다.파킨 박사는 올해 수상 업적인 GMR 효과가 학계 및 산업계에서 주목받도록 했으며 GMR 효과의 발견자인 알베르 페르 교수와 페터 그륀베르크 박사가 노벨상을 수상하도록 ... ...
- 말레이시아 첫 우주인 ISS 입성과학동아 l2007년 11호
- 예정이었다. 휘슨은 앞으로 6개월 동안 ISS의 모든 임무를 책임진다. 그는 출발 전 ISS 최초의 여성 선장이 된 기념으로 러시아우주국으로부터 카자흐스탄 전통 말회초리를 선물 받았는데, “우주에 머무는 동안 동료들에게 회초리를 사용하는 일이 없길 바란다”며 너스레를 떨었다.10월 13일 ... ...
- PART1 한국 줄기세포 논문의 피와 땀과학동아 l2007년 11호
- 인간 배아줄기세포가 임상에 적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예정대로 진행될 경우 세계 최초의 사례가 된다. 우여곡절 겪은 국제 공동연구 “브록스마이어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시작했을 때는 영광스러웠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우여곡절을 겪을 줄이야….”배아줄기세포의 특성을 규명하는 연구를 하는 ... ...
이전2792802812822832842852862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