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담화
대화
야그
얘기
대담
회화
스토리
d라이브러리
"
이야기
"(으)로 총 6,132건 검색되었습니다.
2014 말의 해 멸종 대신 사람을 선택한 말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없는 얘기란다. 일본 미신이 잘못 전해진 것이라고도 하는데, 말띠에 대한 이런저런
이야기
는 대부분 과학적으로 근거가 없어. 이런 얘기는 재미로만 받아들이고 사실로는 생각하지 마렴.하나 더. 말띠는 항상 짝수 해에만 만날 수 있어. 내년에 만날 양띠는 홀수 해, 그 다음해 원숭이띠는 짝수 ...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여행 0을 찾아서!
수학동아
l
2014년 01호
바로 ‘무한소’★다. 무한소가 중요한 이유는 현대 사회에서 수학을 빼놓고
이야기
할 수 없게 만든 학문인 미적분학의 주요 원리이기 때문이다. 즉 0과 무한의 만남을 통해서 인류 최대의 무기인 미적분학이 탄생한 셈이다.지금부터 미적분에서 무한소의 개념이 어떻게 쓰이는지 살펴보자 ... ...
인류가 토끼와 비슷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세계인의 영양단계 평균값은 2.23이었어요. 육식동물보다 초식동물에 훨씬 가깝다는
이야기
지요. 이 값은 50년 전보다 0.06 높은데, 같은 기간 동안 한국인의 영양단계는 무려 0.17이나 올라갔답니다. 한국인의 육식 성향이 많이 강해졌기 때문이에요 ... ...
2014 결정학의 해 물질의 비밀 푸는 열쇠, 결정!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보자!결정을 들여다 보다, X선 결정학X선으로 찰칵! X선 결정학결정을 연구하는 박사님께
이야기
를 들어 보니 결정을 연구하는 방법 중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바로 X선을 이용하는 방법이래. 뭔지 쉽게 설명 해 달라고? 그래 그래, 난 친절한 케플러니까 말이야. 사람의 몸은 X선으로 찍으면 밀도가 ... ...
[김민형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자의 여행
수학동아
l
2014년 01호
동네의 시냇물 등 얘기가 끊이지 않았다. 그러며 나에게 “먼 데서 온 분들을 만나서
이야기
도 하고 도와 드리는 것만큼 즐거운 일은 없지요. 은퇴할 때까지 연구소에서 일해야지요.”라고 말했다.그날 나는 오후 늦게 바이에른 특산 나무인형 몇 개를 사가지고 나른한 시냇물 길을 따라 자그마한 ... ...
[매스미디어] 중간 세계를 구하라! 호빗 스마우그의 폐허
수학동아
l
2014년 01호
된다.이번에 개봉한 ‘스마우그의 폐허’는 호빗과 난쟁이들의 모험을 담은 두 번째
이야기
로, 외로운 산까지 가는 험난한 여정을 담고 있다. 그리고 빌보와 난쟁이족들이 모험 과정에서 엘프족과 인간종족을 만나 갈등하고 협력하는 모습을 보여 준다. 이를 통해 전편인 에서 호빗과 ... ...
하이에나의 ‘SNS’는 미생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3호
남긴 시큼한 덩어리 속에 있는 미생물들에 따라 덩어리가 전달하는 정보가 달라진다는
이야기
지.미생물에 의존하지 말고 언어를 배우는 게 어때?인간도 마찬가지면서 뭘 잘난 척을 하는 거유? 인간마다 똥에서 사는 미생물이 다 다르기 때문에 똥만 보고도 주인이 누군지 바로 알 수 있다고 합디다. ... ...
새로운 공룡이 쿵쿵쿵! 다이노소어 어드벤처 3D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3호
안녕? 난 7000만 년 전 알래스카에서 온 파키리노사우루스 파치라고 해. 친구들이 알고 있었던 것과는 조금 다른 새로운 공룡을 소개해 주려고 왔단 ... 100명에게 영화 ‘다이노소어 어드벤처 3D’도 보고 허민 공룡 박사님께 직접 공룡에 대한
이야기
를 들을 수 있는 기회를 준다고! 서둘러~ ... ...
애기장대가 알려 준 장수의 비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2호
척척 대응하는 만능 모델로 사랑받고 있어요.두해살이풀이면 두 해만 살 수 있다는
이야기
아니니? 장수 연구에 쓰이면서 오래 살지도 못한다니….오래 살아도 닥터 그랜마의 지구 정복은 못 볼 것 같은데요…. 으악! 뽑지 말고 식물 말 좀 들어요! 평균 수명보다 오래 사는 돌연변이종도 있다고요~! ... ...
치르치르의 응답하라 외계생명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1호
은하 너머 우주까지 방문할 수 있어요. 마침외계행성 부근에서 출발한 빛을 만나서
이야기
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외계행성은 빛으로 찰칵외계행성은 스스로 빛을 내는 항성 주변을 도는 지구나 화성 같은 행성이야. 중심 이 되는 별이 태양이 아니니 외계행성이라고 하지. 1988년 최초의 외계행성을 ... ...
이전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