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측
예기
예견
전망
기대
예보
예감
d라이브러리
"
예상
"(으)로 총 4,038건 검색되었습니다.
1. 시간과의 끝없는 전쟁 기상예측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집중호우 때에도 슈퍼컴퓨터가 한몫을 했다. 슈퍼컴퓨터가 호우 발생 12시간 전에 강수량
예상
도를 계산해내 그 가능성이 파악됐는데, 미리 방재기관에 알릴 수 있어 피해를 줄이는데 상당한 도움이 됐다.오늘날의 기상 예측은 그동안 비약적으로 발전해온 컴퓨터공학과 대기과학 덕분이다. 그렇다면 ... ...
허블 우주망원경 혜성핵 붕괴현상 포착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혜성의 핵이 보이지 않았다. 천문학자들은 혜성의 핵이 산산이 부서진 것으로
예상
했다. 이러한 사실은 허블우주망원경의 관측으로 자세한 내막이 드러났다. 혜성핵 부분에는 마치 불꽃놀이를 하는 것처럼 10여개의 미니혜성들이 꼬리를 드리우고 있었다. 이중에서 가장 밝은 조각은 다른 조그만 ... ...
고대 도시 폼페이의 부활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복원하는 동안 고성능 컴퓨터에 무려 20억바이트의 데이터가 쌓일 것으로 연구팀은
예상
했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향후 여러 아름다운 예술품의 복원뿐 아니라 재창조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한편 단편적인 정보와 상상력으로 과거 역사를 유추하는 고고학자들에게도 슈퍼컴퓨터는 ... ...
우주특실 즈베즈다 도킹성공의 내막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 대신 이 계획에는 1996년까지 10개의 모듈이 추가로 필요했다. 이로써 우주정거장의
예상
질량은 처음보다 두배 이상 증가됐다.우주정거장의 전체구조에 대해 그루만이라는 계약직연구원은 ‘전력타워’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했다. 전력타워구조는 전체적인 모양이 T자형으로 타워를 ... ...
4. 21세기를 여는 통합물리학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된다. 아직 발견되지 않은 힉스 입자는 1백GeV에서 수백GeV 정도의 질량을 가질 것으로
예상
된다. 그러나 아직 정립되지 않은 통일이론에서는 이보다 훨씬 큰 질량이 존재한다. 표준 모형에서 각각의 상호작용의 크기는 다르다. 강한 상호작용은 같은 조건에서 다른 힘들보다 약1백배 정도 강하다. 반면 ... ...
e북의 시대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같은 과목의 경우 다양한 멀티미디어 요소를 담고 있어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
된다.가까운 미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전자책을 시간과 장소를 가리지 않고 즐길 수 있을 전망이다. 더운 여름 전자책 한권을 읽어보는 것은 어떨까. 변화하는 사이버세계의 한 줄기에 함께 ... ...
화성 최근에도 물이 흘렀다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훑은 수만 곳 중에서 겨우 수백 장소에서 발견될 만큼 꽤 드문 지형이기도 하지만 우리가
예상
하기 힘든 굉장히 추운 곳에서 발견된다. 대부분 남반구의 위도 30°-70°지역에 위치하며 크레이터, 골짜기, 침강지형에서도 낮에 햇빛을 가장 적게 받는 경사면에 나타난다.화성은 지구보다 대기가 1백배 ... ...
Ⅰ. 우주는 팽창하고 있다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어렵지만, 이에 관련된 여러 가지 기술을 연구하고 있으므로 21세기에는 가능할 것으로
예상
된다.우주에서 사용할 광학 망원경으로는 미국에서 2009년에 발사할 에정인 차세대 우주망원경(NGST)이 있다.이 망원경은 주경의 지름이 8M로서 우주에서 근적외선을 주로 관측할 예정이다.이 망원경은 주경의 ... ...
3. 유전자가 여는 디스토피아?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개인으로 보면 이는 분명 좋은 일이지만, 사회 전체적으로 보면 노령인구의 증가로 전혀
예상
밖의 사회적 문제가 대두될 것이다. 장수로 인해 야기되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노화 방지는 인간에게 행복의 근원이 아니라 불행의 주범이 될 수 있다. 그래서 정말로 죽을 수 있다는 것이 ... ...
④ 생태 : 백두대간으로 이어진 한 몸의 남과 북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할 것이다.특히 남북 접경지역인 비무장지대의 공동연구가 매우 중요할 것으로
예상
된다. 아직까지 생태조사가 민통선 중심으로 행해졌을 뿐 이 지역에 대해 제대로 이뤄진 적이 없다. 본격적인 남북 교류로 철도와 도로 등으로 남북이 연결되면, 이 지역의 활용에 대한 문제가 제기될 것이다. ... ...
이전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