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 천재 이렇게 탄생했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집합론에서 가장 기묘한 발견이라 할 수 있는 ‘선택공리’가 숨어있다. 선택공리는 20
세기
초 독일의 어니스트 체르멜로가 발견한 것으로 지금도 수리논리학 분야의 큰 주제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선택공리가 참이라면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면서 $f(x)=\frac{16}{1998}x$가 아닌 이상한 함수를 만들 수 ... ...
이온결합과 공유결합의 연속성에 대한 오해?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사이의 힘을 설명하는 연구로 발전한다. 그 역사를 따라가 보자. 원자끼리만 반발한다?19
세기
초 돌턴은 기체를 가열하면 압력과 부피가 커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돌턴은 이를 원자들이 서로 반발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원자들이 반발한다는 가정만으로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만약 ... ...
태양을 3차원으로 관측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크기가 일정하고 방향은 자유)를 가진 원자로 이루어진 계(系)에 일정한 방향으로 균일한
세기
E의 전기장을 걸었을 때, 계 전체의 전기장 방향의 쌍극자모멘트는 1원자당 pL(pE/kT)가 된다(k는 볼츠만 상수, T는 절대온도)L(x)는 x가 작을 때는 x/3와 거의 같고, x가 커질수록 1에 가까워진다암석의 주요 ... ...
PART2 엘니뇨 사냥꾼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적중했고 그해 겨울 엘니뇨로 노던일리노이대는 50만달러의 난방비를 줄일 수 있었다.“20
세기
마지막 엘니뇨가 발생했던 지난 1997~1998년 겨울을 기억하세요? IMF의 칼바람 속에 그나마 다행이었던 건 겨울이 평년보다 따뜻했다는 점이에요. 엘니뇨도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저는 엘니뇨의 악몽 따윈 ... ...
행복한 엔지니어 이달우 회장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한다고 언급하면서 “대개 탁월한 기술이나 실력이 있어야 리더를 하는 것으로 알지만 21
세기
의 리더는 화합을 유도하고 봉사할 줄 알아야 한다”고 말한다.세월의 무게만큼 패인 주름살을 훈장으로 여기는 행복한 엔지니어 이달우 회장. 그는 시린 듯 파란 겨울 하늘을 보며 한마디 남긴다. ... ...
맛있는 빛의 요리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이번 단원에서는 빛을 자유자재로 요리하는 방법을 공부해 보자. 빛을 좇는 뉴턴17
세기
뉴턴은 빛의 굴절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었다. 프리즘을 통과한 빛은 다양한 색으로 분해되고, 그 빛들을 합치면 다시 백색광-가시광선의 모든 파장의 빛이 균일하게 섞여 있는 빛-으로 돌아갔다. 백색광이 여러 ... ...
어과동과 함께 월드컵 역사 속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별명이 붙었다.무적함대 스페인지금은 유럽에서 가장 부강한 나라가 아니지만 16
세기
스페인은 세계의 바다를 지배했다. 그 원동력이 되었던 것이 막강한 해군인‘아르마다(무적함대)’였는데 세월이 지나 축구국가대표팀의 별명이 되었다.불굴의 사자 카메룬1990년 8강에 오른 카메룬은 아프리카 ... ...
휴전선 감시하는 군인로봇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전체구조단위수에 대한 비율 지도투영도법(地圖投影圖法)의 하나 다면체도법은 19
세기
말부터 20
세기
중엽에 걸쳐 각국의 지형도(地形圖)에 많이 이용되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도 예전의 5만분의 1 지도는 이 투영법에 따르고 있었는데, 현재는 이에 대신하여 횡축(橫軸)메르카토르도법이 사용되고 ... ...
마을숲은 한국형 생태도시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붙었다. ‘물건리숲’이라고도 불린다. 천연기념물 150호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19
세기
말 숲의 일부를 벌채했다가 폭풍으로 큰 피해를 당한 뒤부터 더욱더 철저히 보호하고 있다. 이 숲을 해치는 사람은 쌀 5말을 마을에 바치기로 약속하고 온 마을이 힘을 합쳐 숲을 지킨 결과 1933년 남해안에 큰 ... ...
특집Ⅲ 2006 노벨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2.73K인 차가운 흑체복사로 존재한다.매더 박사팀은 코비를 이용해 우주배경복사의
세기
를 여러 파장(1~20cm)에서 측정했다. 그 결과 우주배경복사가 2.73K인 흑체복사의 스펙트럼을 정확히 따른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매더 박사는 코비가 관측을 시작한 처음 9분 동안의 자료를 바탕으로 얻은 이 ... ...
이전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