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자"(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 04. 디지털의 화려한 플래시댄스과학동아 l2005년 06호
- 한 진행 방향으로 계속 발전한다. 발전 주기를 시간으로 놓고 증가량을 거리로 생각해보자. 통신 스피드가 1년에 2배씩 빨라진다는 길더의 법칙이나 메모리반도체의 용량이 1년에 2배씩 는다는 황의 법칙은 발전의 속도를 의미한다. 무어의 법칙에 비하면 황의 법칙은 속도가 2배로 빨라진 것이다 ... ...
- CSI의 추억 혈의 누과학동아 l2005년 06호
- 조선시대 살인사건 기록문서인 ‘검안’에 남아있는 실제 수사 모습을 통해 확인해보자. | 사인을 속이려 주검에 창을 꽂았다 |‘혈의누’ 첫 살인사건에서 시체를 검시하던 원규는 신주무원록 하권 10장의 내용을 바탕으로 소견을 밝힌다. 사람이 죽어 심장이 멈춘 후라도 몸에 깊은 상처를 내면 ... ...
- 나는 기억한다, 고로 존재한다과학동아 l2005년 05호
- 기억의 베일을 벗기는데 발벗고 나섰다. 그들이 안내하는 기억의 세계에 빠져보자.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나는 기억한다, 고로 존재한다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3 배움에도 때가 있다 4 TV, 기억을 ... ...
-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과학동아 l2005년 05호
- 과목이라도 어떤 내용을 배우느냐에 따라 관여하는 뇌 영역이 다르다. 어학을 예로 들어보자. 대화할 때 우리는 상대방이 호의적인지 아닌지, 내 의견에 찬성하는지 반대하는지를 직접 듣지 않고도 짐작할 수 있다. 이 같은 말의 뉘앙스나 문맥을 파악하는 것은 주로 우뇌의 역할이다. 반면 문법, ... ...
- 닥터 두리틀이 되고 싶나요?과학동아 l2005년 05호
- 그 동물이 잘 따라할 수 있는 소리가 무엇인지 알고, 지속적으로 비슷한 소리를 건네 보자. 그 종만의 특이한 언어로 소통해왔던 동물들이 우리에게도 말을 걸어올 것이다. 까복이가 사람의 음성으로 “까”하고 응답했듯이 ... ...
- 밤하늘의 방랑자, 소행성과학동아 l2005년 05호
- 알아주는 이 없이 우주 공간을 떠돌아다니는 소행성. 이번 달에는 소행성에 관심을 가져보자.세레스의 첫 발견천문학의 역사에서 하나의 새로운 기점이 마련된 사건을 들라면 아마 윌리엄 허셀의 천왕성 발견을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행성은 오직 5개만 존재한다는 불변의 진리를 여지없이 ... ...
- 독야청청한 우리 독도과학동아 l2005년 05호
- 이전의 환경을 아직까지 지키고 있다. 우리 국토의 막내인 독도의 바다 속으로 들어가 보자. 관상어의 낙원차가운 동해 해역에 한 줄기 따뜻한 물덩어리가 독도를 에워싼다. 가을철 독도주변 바다는 수온이 약 18℃로 같은 위도의 동해안 수중생태계보다 남해안의 제주도와 더 닮았다. 독도는 ... ...
- 남북극점 지나 세계일주 도전하는 거스 매클라우드과학동아 l2005년 05호
- 벌써 두 번째 시도다. 이번에도 실패하고 말 것인가.남극점이 바로 저기다. 조금만 더 가 보자. 하지만 착륙하라는 안 박사의 외침이 아직도 귓전에 생생하다. 빙하에 가까이 갈수록 얼음 폭풍은 거세지고, 반디는 착빙을 견디지 못해 고도를 잃고 추락한다. 한 치 앞을 내다보기 힘든 남극 상공에서 ... ...
- 보이는 대로 믿지마과학동아 l2005년 05호
- 12개로 구분되며, 이 중 8개가 눈으로 연결돼 있다.시각이 형성되는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자. 우리 눈 뒤쪽에는 망막(retina)이 있다. ‘그물’이란 뜻을 가진 라틴어 ‘레투스’(retus)에서 온 말이다. 망막은 영화관의 스크린과 비슷하며 눈으로 들어온 빛이 선명한 이미지를 맺는 곳이다. 빛에 민감한 ... ...
- 그림자 마왕 '네가 머래도 다비처'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05호
- 만들어 버리겠다!” 썰렁 홈즈의 정답첫 번째 문제의 답겹쳐진 그림자를 잘 살펴보자. 문제에는 네 번째 사람의 그림자가 빠져 있다. 정답은 4번두 번째 문제의 답그림자의 모양들이 비슷해서 조금은 헷갈리지만 작은 부분들을 꼼꼼히 관찰해 보면 정답을 찾아 낼 수 있다. 세 번째 문제의 답 ... ...
이전2792802812822832842852862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