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세히 보면 더 예쁘다! 아주 작은 동물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2호
느릿느릿 달팽이 두 마리가 언덕을 기어가다가 서로 마주친 순간! 어머나! 뒤에 핑크빛 하트가 뿅~ 생겨났어요. 여기에 미세한 물방울이 ... 때문에 이렇게 아름다운 사진들이 탄생할 수 있었겠죠? 나다브 바김 작가의 사진을 더
보고
싶은 친구들은 홈페이지(www.aimishboy.com)로 놀러가 보세요 ... ...
응답하라~! 남극 세종과학기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2호
기상을 연구하는 임재환 연구대원이에요. 우리나라는 남극에 세종과학기지와 장
보고
과학기지, 북극에 다산과학기지를 갖고 있지요. 그 중 하나인 세종과학기지는 서울에서 출발해 비행기를 총 3번 갈아타며 약 32시간을 비행해야 올 수 있을 만큼 먼 곳이에요. 참! 여긴 지금 밤 11시 30분이라 다른 ... ...
수학자 열전 한국 근대 수학의 뿌리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그러던 중 기회가 찾아왔어요. 미국공보원에서 수학 잡지를 보다가 눈에 띈 논문을
보고
부족한 점을 지적하며 이 대학에서 공부하고 싶다고 편지를 보냈는데, 장학금을 주겠다며 공부하러 오라는 거예요. 전 신이 나서 당장 가겠다고 답을 했고,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에서 수학을 공부했어요 ... ...
가상 체험으로 보는 미래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아니라 탐구관과 상상관도 있습니다. 여기서 더 많은 체험을 하며 미래 기술을 상상해
보고
정보통신기술의 원리를 탐구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상상하는 기술이 정말 실현될 수 있을지 궁금하네요!디지털 터치 스크린에 공을 던져 멸종위기 동물을 구하는 게임을하고 있다 ... ...
우리도 복돼지처럼 웃어보아요~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일반부김미정(기초과학연구원) 투과전자현미경돼지가 환하게 웃는 모습을
보고
있자니 절로 복이 들어올 것 같다. 막걸리를 한 잔 걸친 듯 얼굴도 불그스레하다. 주위에는 반짝반짝 별도 떠 있어 돼지가 초롱초롱한 눈으로 밤하늘의 은하수를 바라보는 듯 하다. 이 사진은 대식세포를 ... ...
제2의 교토의정서 나올까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영국 브리스톨대 마크 런트 교수는 수소불화탄소에 대한 조사가 충분하지 못했기 때문에
보고
된 온실가스 배출량과 실제로 대기에 존재하는 온실가스 농도에 차이가 발생한다는 논문을 올해 4월 ‘미국국립과학원회(PNAS)’에 발표했다. 각 나라가 제출한 온실가스 감축안인 국가자발적감축목표(INDC ... ...
폐허 위에서 품은 희망 네팔 지진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한 번도 춤을 춰 본 적 없는 아이가 용기를 내서 자신의 감정을 춤으로 표현하는 것을
보고
놀랐다”며 감탄했다 .일주일 안팎의 짧은 기간 동안 심리치료로 할 수 있는 일은 많지 않다. 하지만 한국 봉사단이 마을 주민들과 아이들에게 보여준 ‘진심’은 그 어떤 치료 프로그램보다 효과적이었다. ... ...
[파충류의 속사정 7] 가을은 독사의 계절?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홈은 독을 사용하지 않는 다른 동물에게서도 나타나는 특징이기에, 단순히 이빨만
보고
시노르니토사우루스가 맹독성 공룡이었다고 추정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정말 치명적인 독을 가진 공룡이 있었을지 여부는, 이 글을 읽고 있는 여러분들이 풀어야 할 수수께끼일지도 ... ...
“거북선은 3층, 큰 대포는 앞에만”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채연석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교수이순신 장군의 거북선을 복원하려는 시도는 많았다. 하지만 설계와 무기의 배치를 두고 해석과 주장이 분분했다. 특히 내부 설계는 알려진 것 ... 것이다. 만약 기회가 된다면 거북선과 거북선에 실린 대포를 복원해 직접 포격 실험을 해
보고
싶다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국립수산과학원. 기자는 사람 키보다 높은 수조에 올라섰다가 그 안에 있는 생명체를
보고
깜짝 놀랐다. “허허, 횟집에서 보던 넙치와는 차원이 다르죠? 육종 기술로 개발한 킹넙치입니다.” 기자를 안내하던 박진일 연구협력과 연구사가 말했다. 수조 안에는 국립수산과학원 거제육종센터에서 ... ...
이전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