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이화여대 뇌·인지전공장학생 정지원 - “진로 정한 뒤 ‘올인’”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한 가지 정보에서 여러 감각을 느끼는 ‘공감각’ 능력을 가진 사람을 주제로
발표
하는 등 모든 활동에 뇌과학을 연결시켰다. 그는 “‘스펙’을 만들기 위해 억지로 활동하기보다는 진로에 대한 열정을 녹여낼 수 있는 활동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정 씨는 뇌·인지과학전공이 ... ...
Part 3. 우주 망원경으로 외계행성을 찾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7호
하지만 지난 3월 NASA는 연료가 고갈돼 케플러가 머지않아 수명을 다 할 것이라고
발표
했답니다. 차세대 외계행성 사냥꾼, TESS 우주망원경NASA는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뒤를 이을 새로운 우주망원경도 준비 중이에요. 바로 올해 4월 16일 이후 발사 예정인 ‘테스(TESS)’지요. 현재 케네디 ... ...
Part 1. 세상에서 가장 섬뜩한 분해 작업 ‘소인수분해’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않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혹자는 페르마가 수학적 아이디어를 떠올린 뒤 증명을 못해서
발표
하지 못한 것이라 의심하기도 한다. 진실은 알 수 없지만 페르마가 남긴 업적이 상당해 그의 수학적 능력을 부정할 수 없는 것 또한 사실이다. 페르마 수는 모두 소수라는 이 간단한 추측은 페르마가 죽을 ... ...
[영재교육원 탐방 6] 기초 교육을 탄탄하게, 연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미국 하버드대학교 수학과 김동률 씨는 2017년에 유럽의 저명한 조합론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
했다. 아직 학부생인 걸 감안하면 대단한 성과다. 김 씨는 2012년 제53회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에서 개인 순위 2위를 차지하며, 우리나라가 최초로 종합 1위를 하는 발판을 마련하기도 했다. 이후에도 ... ...
[과학뉴스] 남극 대륙 빙붕, 60년 만에 18% 얇아져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해빙의 두께를 수십 년간 관측해 분석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6월 13일자에
발표
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1950년대 이후 남극 대륙에서 약 3만 4000km2 면적에 해당하는 빙붕이 사라졌다. 또 남극 대륙 서쪽지역에서는 바닷물의 온도가 올라가면서 얼음이 줄어들었고, 그 결과 아문센 해역과 ... ...
[과학동아 X KRISS] 아보가드로 상수로 더 명확해진 몰(Mol)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10년이 넘는 연구 끝에 2015년 아보가드로 상수를 NA=6.022 140 76×1023 mol-1이라고
발표
했다. 여기서 한 가지 재밌는 사실은, 처음에 실리콘의 동위원소 농축작업은 아보가드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지 않은 러시아에서 맡았다는 점이다.러시아는 핵폭탄의 주원료인 우라늄-235를 농축하는 고도의 ... ...
[Culture] 천둥번개 치며 비 오는 날이 무서워요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답했습니다. 2001년 캐런 오버럴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박사가 ‘미국수의학회지’에
발표
한 연구에 따르면 소음공포증을 가진 개의 약 75%가 천둥번개공포증도 갖고 있습니다.doi:10.2460/javma.2001.219.467결국 소음공포증을 겪고 있는 개가 매우 많다는 얘기입니다.필자의 경험에 비춰 보면 한국에서도 ... ...
[이투스교육] 봉사활동 제대로 하는 세 가지 팁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합격자의 학교생활기록부 중 각 영역에서 최고와 최저 수치를 보여준다. 한양대에서
발표
한 합격자 사례를 통해 학생부종합전형에서는 봉사활동 시간의 많고 적음이 합격을 판가름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학생부종합전형에서는 봉사활동에서 무엇을 ... ...
[통합과학 교과서] 새로운 능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연구팀은 바다의 산성화가 전체 해양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
했어요. 연구팀은 산성도가 2100년 예측치와 비슷한 해양 생태계와 현재의 평균적인 해양 생태계를 비교 분석했지요. 3년 간에 걸친 조사와 해양 실험을 한 결과, 산성도가 높은 해양 생태계에서는 한두 종의 ... ...
[과학뉴스] 별 집어삼키는 초거대 블랙홀의 ‘트림’ 포착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10년 동안 제트 현상을 관찰한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6월 14일자에
발표
했다. 이 현상은 ‘Arp 299’로 알려진 서로 충돌하는 두 은하 중 하나에서 관측됐다. 은하의 중심에 위치한 블랙홀은 질량이 태양의 2000만 배에 이르는 거대한 크기다. 이 블랙홀이 태양보다 두 배 무거운 별을 ... ...
이전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