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기
순풍
욕구
소원
바람구멍
구멍
구녕
d라이브러리
"
바람
"(으)로 총 3,467건 검색되었습니다.
KAIST 송태호교수가 최초로 밝힌 얼음골의 비밀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이때 공기 속의 수분이 모두 응축해 비를 내린 후에, 산너머로는 메마르고 따뜻한
바람
이 분다.밀양 얼음골 가는길방법 1밀양 시외버스 터미널에서 얼음골에 가는 직행버스를 타면 된다. 약 50분 정도면 밀양군 산내면 남명리 버스 종점에 도착한다. 천황산 쪽으로 가면 얼음골 관리사무소가 ... ...
Ⅱ. 묻혀있는 가능성 지오피아를 건설한다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손쉽고 적은 비용으로 조절될 수 있다. 게다가 시설물이 얼어붙는다든지 홍수나
바람
에 의해 피해를 입지도 않는다. 혹 가열이나 냉각이 필요한 시설을 만들어도 14C를 기준으로 온도조절을 하므로 에너지 소비가 적다. 지하공간을 이용한 사무실에서는 냉.난방 시설도 필요없다. 체온, 조명, 기타 ... ...
희생정신 충만한 아마존 왕국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벌어지는 모든 일을 맡아 하는 일꾼들도 모두 여자다. 수캐미들은 번식기에만 태어나서
바람
없고 따뜻한 어느 날 모두 집을 떠나 다른 집 규수들을 만나 짤막한 정사를 가진 다음 서둘러 세상을 떠나는 사뭇 덧없는 삶을 산다.개미사회는 또 여왕을 중심으로 이룩된 하나의 국가로 비유되기도 한다. ... ...
2. 해커로부터 온 편지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생각합니다. 다만 이왕 제도권으로 진입한 만큼 좋은 프로그램을 만들었으면 하는
바람
이지요.해킹을 시작하게 된 동기는 사람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그냥 전자오락 하듯이 재미나 심심풀이로 시작한 사람도 있고 우리들끼리 경쟁하기 위해서 시작한 사람도 있었죠. 또 "산이 있으니까 산을 오른다" ... ...
숙식제공받고 보초선다. 수도머멕스 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이동시키는가하는 문제가 꽃가루를 옮기는 문제만큼 심각하다. 그래서 민들레처럼
바람
에 씨를 실어 보내는 식물이 있는가 하면, 맛있는 열매 속에 씨를 감추어 동물들이 열매를 먹은 후 다른 곳에서 용변을 볼 때 그 속에 섞임으로써 먼 곳으로 씨를 이동시키는 식물도 있다.어떤 식물은 순전히 ... ...
2. 최고급 윤활유 가진 관절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없어진다면 못이나 나사못은 벽에서 미끄러지고 무엇 하나 손에 쥘 수 없으며 조그만
바람
도 결코 멎지 않을 것이다. 또 어떠한 소리도 반사를 계속하면서 사라지지 않는 메아리가 될것이다. 지구의 모양도 들쑥날쑥한 부분이 전혀 없는 완벽한 구가 될 것이다.탐구활동/운동종목마다 신발이 다른 ... ...
공기흐름 막는 액세서리, 달면 손해?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감싸는 방식으로 cd계수를 0.137까지 끌어내려 전투기와 맞먹는 자동차를 개발했다.
바람
과의 싸움이 어디까지 왔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센서기술의 개가 에어백최근 자동차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에어백이 큰 인기다. 미국에서는 지난해부터 시판차량에 에어백 장착을 의무화했으며 ... ...
'과학 싹 잔치' 뒷바라지 큰 보람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과학연극 과학시범 과학토론 등을 개최했다. 이때의 '과학 싹 잔치'는 과학교육에 새
바람
을 불어 넣었던 사건으로 참으로 보람있는 일이었다. 전국에서 모인 수천명의 청소년들을 보살피느라 숨도 작게 쉬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 ... ...
1. 대도시에 지진이 일어난다면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지진의 피해를 크게 입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그러나 지진에 의한 피해는
바람
에 의한 피해와는 많이 다르므로 이런 건물에 대해서도 반드시 내진설계를 통해 지진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63빌딩 많은 사람들이 지진이 발생하면 초고층 건물들은 어떤 피해를 입을지 궁금하게 생각한다. ... ...
1. 힘과 운동-그래프 해석 중요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더 많이 접한다. 일기도를 봐도 등압선 간격이 좁은 곳, 즉 기압의 경사가 급한 곳에서
바람
이 가장 강하게 분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이렇게 늘 겪는 경험과 다르게 보이기 때문에 이 단원을 많은 학생들이 어렵게 생각한다. 이 단원에서 학생들이 가지기 쉬운 오류를 정리하면 (표1)과 같다 ... ...
이전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