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간
기한
음량
척도
표준
기준
깊이
d라이브러리
"
길이
"(으)로 총 4,932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강에 모인 새 박사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조류를 관찰할 수 있다. 쌍안경의 배율은 9~18배로 다양하다. D 조류도감새의 학명과 몸
길이
, 색깔, 서식처 같은 특징을 정확히 묘사한 조류도감은 야생조류연구회 회원들의 필독서. 낯선 새를 발견하면 도감을 뒤지며 이름을 찾는다. E 필드스코프조류 관찰용 망원경. 양궁 경기에서 선수가 화살을 ... ...
위성 격추하는 미사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위쪽의 암층균열을 따라 상승하여 이를 밀어올려서 생기는 반구형 지붕 모양의 구조이다
길이
또는 두께의 측정량을 지침의 회전으로 바꿔 눈금판에서 읽도록 만든 계기 스핀들형에서는 돌출한 스핀들의 끝을 측정하려는 물체에 접촉시켜 그 변위를 랙(rack)과 피니언(pinion) 및 평톱니바퀴를 써서 ... ...
우리은하 향해 돌진하는 거대한 가스구름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합성했다. 그리고 구름의 크기와 이동방향, 속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스미스구름은
길이
가 1만 1000광년에 너비가 2500광년에 이르며 우리은하를 향해 45° 각을 이루며 초속 240km로 돌진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록맨 박사는 “스미스구름은 혜성과 비슷한 모습으로 꼬리를 흩날리며 우리은하를 ... ...
남극 녹아내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만드는 원자에 편의적으로 일정한 반지름을 가정하고 그 합으로 공유결합의
길이
가 근사적으로 드러날 수 있게 한 것중심원자와 배위원자 사이의 결합종류에 따라 착물을 분류할 때 쓰이는 말의 하나 이온결합착물에 대응하는 용어공유결합 원자가전자(原子價電子)의 수 예를 들어 유기화합물 내의 ... ...
수천 년 사랑받은 영구불변의 상징 몸값 치솟는 금의 세계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늘어나고 쉽게 펴지기 때문에 공예가가 자유자재로 주무를 수 있다. 1g의 순금만 있으면
길이
가 3km 이상인 금선을 뽑아낼 수 있다(연성). 또한 얇게 펴면 두께가 0.00025mm 이하인 얇은 금박을 만들 수 있다(전성). 이 정도 두께면 반쯤 투명한 금박이 빛을 통과시킬 정도다. 학교나 사무실에서 우리가 ... ...
지혜 담긴 집 한옥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범하는 법이 절대 없다.또한 바람 길은 하나가 아니다. 이쪽에도 바람 길, 저쪽에도 바람
길이
다. x축과 y축이 이루는 십(十)자 구도를 기본으로 여러 개의 사선이 교차한다. 한옥의 바람 길을 열어주는 것은 창과 문이다. 한옥의 창문은 아무렇게나 난 것 같지만 사실 그렇지 않다. 창과 창 사이로 ... ...
주사바늘의 고통이여, 안녕~!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빛을 흡수해 재료가 굳어지는 성질을 이용했다. 연구팀은 “이번에 만든 주사바늘은
길이
0.8mm에 지름이 0.15~0.3mm지만 이 기술로 다양한 크기의 주사바늘을 만들 수 있다”고 밝혔다 ... ...
기네스북에 오른 괴물 포켓나이프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논할 때 쓰이는 말이다 중심을 지나는 평면에 의한 단면은 타원이 되고 장축과 단축의
길이
는 그 평면을 파면으로 하는 두 빛의 광선속도에 비례하며 또 장축과 단축의 방향은 대응하는 빛의 전기장벡터의 진동 방향을 정한다비슷한 것에 굴절률타원체가 있다 등속운동을 하는 모든 관측자(좌표계 ... ...
노벨문학상 수상자 암 치료한 차가버섯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여름 산행에서는 나뭇잎이 우거져 아무리 찾으려 해도 꼭꼭 숨어 있던 버섯들이 서너
길이
넘는 나무둥치나 가지 위에 바가지를 엎어 놓은 듯, 쪽박을 붙여 놓은 듯 말간 하늘 아래 나타난다. 우산처럼 생긴 보통 버섯과 달리 대가 없는 모습이 신기하다.이들은 살아있는 나무에 마치 한 몸인 양 ... ...
수성을 스쳐 지나간 메신저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절대온도에 비례(마이어페리의 실험)하므로 일정한 하중 하에서는 온도의 상승에 따라
길이
가 축소되며 단열적으로 늘어날 때 발열한다 이 사실을 열역학적으로 설명하면 신장할 때의 엔트로피 감소가 탄성력의 기원임을 뜻하고 보통의 고체탄성이 내부에너지의 변화에 따르는 것과 전혀 내용이 ... ...
이전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