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d라이브러리
"
그림
"(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1. 백조가 더 이상 여자일 수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왜 춤을 추기 시작했을까. 원시춤은 없다춤은 흔적이 남지 않는다. 동굴 벽에 그려진
그림
이나 조각으로 원시시대 춤의 파편을 찾을 수는 있지만 그보다 훨씬 이전부터 이미 인류는 춤을 췄을지 모른다. 그러니 고고학 발굴로 춤의 기원을 밝혀내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많은 무용학자들은 ... ...
이공계를 선택하면 행복해집니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자연계로 갈까, 인문계로 갈까. 자연계로 간다면 어느 학과를 선택해야 될까.진로 선택에 고민이 많은 청소년들에게 이공계에 대한 궁금증을 속 시원히 풀 ... 실려 있다. 청소년이 쉽게 볼 수 있도록 꾸민 시원한 편집과 페이지마다 들어 있는 톡톡 튀는
그림
과 화려한 사진이 눈길을 끈다 ... ...
5. 춤을 위한 테크노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일종의 전광판인 셈. 인터넷이나 근거리통신장치를 이용해 사용자들끼리 새로 만든
그림
을 교환할 수도 있다. 자기표현극대화장치라는 이름이 붙은 픽스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면서도 소속감을 느끼고 싶어하는 신세대를 겨냥했다.몸치 탈출을 돕는 첨단 기술소니가 개발한 플레이스테이션2용 ... ...
2. 무한 복제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복제동물이었다. 돌리 이후 ‘스너피’까지 복제동물은 모두 13종으로 늘었다(100쪽
그림
참조). 한국에서 태어난 복제동물도 1999년 복제소 ‘영롱이’를 시작으로 5종이나 된다. 앞으로 과연 어떤 복제동물이 태어날까.한국에서 가장 주목 받는 복제동물 후보는 호랑이다. 멸종동물을 되살린다는 ... ...
뇌의 미로에서 출구를 찾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신 박사가 센터의 ‘두뇌’를 맡게 된다. 국내외 뇌 전문가들을 영입해 뇌 연구의 밑
그림
을 그리고 하나씩 색칠해나가는 것이 그의 몫. 몸과 마음의 관계 비밀 밝힐 것10년 뒤 그는 뇌의 비밀을 얼마나 벗겨낼까. 최근 그는 뇌에서 뜨겁다, 차갑다, 아프다 등 감각을 조절하는 기작과 이로 인해 ... ...
실종된 사진가 마구마구 치코토치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될 수 있을까? 비워 둔 다음 사진은 무엇인가? 암실 책상 서랍을 열어 보니 아래
그림
처럼 몇 장의 사진이 들어 있었다. 사진은 같은 장면을 부분부분 나누어 찍은 것이었다. 사진들은 책상 서랍 속에 순서대로 놓여 있었으나 중간에 한 장이 비어 있었다. 그런데 다행히 빈 곳에 어울리는 사진이 ... ...
내 귀에 도청장치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아니라 도청 여부도 금방 들통 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양자암호기는 ‘
그림
의 떡’이다. 가장 큰 문제는 광자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짧다는 점이다. 광케이블로도 광자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는 60km를 넘지 않는다.광자라는 작은 입자를 제어하는 기술도 미진한 상태다. ... ...
폐암 토막상식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대류 모델을 세 변수만을 고려해 푼 비선형동력학 방정식을 위상공간에 표시한
그림
동력학을 일반화시켜 재정립한 해밀턴(1805∼1865)은 동력학계의 상태를 위치와 운동량(질량×속도) 좌표로 나타냈다 해밀터니언계는 동력학에서 전체 에너지를 정의하는데 매우 유효하게 사용되고 있다단위 시간당 ... ...
아인슈타인 뇌에 담긴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비밀이 있다는 뜻이었다. 박사의 집에는 조그만 연구실이 있었고 그 안에는 커다란
그림
같은 것이 있었다.“아인슈타인 박사의 뇌 조각을 자세히 관찰해 보니, 무슨 미로 같은 것이 나왔답니다. 그 미로는 어떤 알파벳 문자를 가리키지요.”아인슈타인의 뇌 속에 미로가? 그 미로 끝에 있는 문자는 ... ...
미술로 풀어보는 수학 이야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연결한 뒤 그 사이에 캔버스가 오도록 한다. 3차원 세계에서는 평행한 직선을, 2차원
그림
에서는 ‘소실점’이라는 한 점에서 만나는 것처럼 그려야 한다.이처럼 미술의 원근법과 관련되는 수학은 퐁슬레가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다. 그가 제시한 ‘사영(射影)기하학’에서는 그 이전까지 기하학이 ... ...
이전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