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친구"(으)로 총 5,022건 검색되었습니다.
- 정글에서 탈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생생한 동물을 보는 것뿐 아니라 다양한 체험도 즐길 수 있답니다.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 명예기자들과함께 복원 동물이 사는 정글로 떠나 볼까요?진짜야, 가짜야, 동물 만지기살아있는 것 같은 동물을 만질 수 있다. 나도 동물 생태화가!좋아하는 동물을 그림으로 남겨 보자.극지 동물 지켜 ... ...
- [통계이야기 ] 미래 인기 직업, 인구통계로 밝힌다!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지나지 않아서, 우리의 시각은 한정적인 영역에 머물러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매일 친구를 만나 수다를 떨고, 가끔 새로운 사람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우리 삶의 전부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저 멀리 외국에서 본다면 우리는 대한민국 국민이거나, 한 도시의 시민과 같은 하나의 집단으로만 ... ...
- 크리스마스처럼 행복한 수학을 선물한다!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좋았어요. _이태헌(2학년)수학체험전에 참가한 사람들의 반응도 뜨거웠다. 주변 학교 친구들은 물론 지역 초등학생들과 학부모님들까지 300명 이상이 방문해 수학을 즐기는 시간을 가졌다. 전국 규모의 수학, 과학 축전들은 많지만 이렇게 지역 단위의 수학 축전은 흔치 않고, 그 행사를 학생들이 직접 ... ...
- 성층권에 다녀왔습니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했다”는 소감을 밝혔다.프로젝트를 하면서 학생들은 부쩍 성장했다. 처음엔 서먹했던 친구들도 더 친해졌다. 3학년 한찬수 학생은 “팀워크를 통해 성공했기 때문에 기억에 오래 남는 동아리 활동이 됐다”고 말했다. 이 모든 과정에서 학생들에게 조력자 역할을 한 김현정 선생님은 “프로젝트에 ... ...
- 초파리 애벌레가 찾아낸 촉각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수상돌기 끝에 이 단백질이 가득 달려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거죠. 단백질을 떼어낸 제 친구는 아무리 문질러도 반응을 보이지 않았지만, 단백질을 그대로 둔 저는 문지르는 감각에 바로 반응을 보였답니다. 즉 NOMPC가 부드러운 촉각을 느끼는 필수 물질이라는 사실을 알아낸 거예요.그런데 그 ... ...
- 달려라 달려! 2013 런닝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뱀인 저도 잘 몰랐던 친구들을 많이 만날 수 있어서 즐거웠답니다.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 2013년 런닝뱀과 함께 힘차게 뛰어 봐요. 참! 그리고 앞으로 우리 뱀들에게도 많은 관심 부탁해요~. 안녕~ ... ...
- 2013 눈길을 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떠오르는 해를 보며 행복한 새해 맞게 해달라고 소원을 빌었답니다.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행복한 2013년 맞이하세요~! 한 걸음 더 !하늘 길도 눈부터 치워야 한다고?땅에서만 눈을 치우는 게 아니라는 사실! 하늘 길에서 눈 밟고 ‘미끄덩~’ 하면 정말 큰일 나요! 항공기나 우주선이 하늘로 ... ...
- 뱀, 수학자를 사로잡다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친구를 도와 주는 선행이 그려져 있는데, 그 행동을 해야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뱀에는 친구를 괴롭히는 악행이 그려져 있으며, 해당하는 벌칙을 받아야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이렇게 뱀과 사다리를 이동하며 칸을 돌다가 100에 먼저 도달하는 사람이 이긴다.그런데 뱀과 사다리에서 누가 이길지 ... ...
- [현장취재] 톡톡! 개그수학콘서트 개그 더하기 수학은?수학동아 l2013년 01호
- 강연을 시작했다.“어떻게 휴대전화 사진을 다른 사람에게 전송하는지 생각해 본 친구들 있나요?”박 교수는 사진 전송과 동영상 통화는 수학 덕분에 가능해졌다고 설명을 이어갔다.“휴대전화는 화면을 수백만 조각으로 나눈 뒤, 각 조각에 해당하는 밝기와 색깔 정보를 0과 1로 이루어진 2진수에 ... ...
- [박형주 교수의 수학자 이야기] 20세기 수학의 흐름을 바꾼 힐베르트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수론과 수리물리 학, 상대론 등에 업적을 남겼다. 순수수학에만 몰두하던 힐베르트는 친구인 민코프스키가 45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하자, 민코프스키가 몰두하던 물리학 공부를 시작했다. 그 결과 일반상대성 이론과 양자역학의 수학적 토대를 만드는 데 큰 기여를 하게 된다. 아마도 지적 호기심이 ... ...
이전2782792802812822832842852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