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의 연결고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것이다.KRS는 유방암 등의 세포에서 대량 생성된다. 세포에서 분비되는 KRS의 농도를
측정
하면 암이나 면역 질환을 진단할 수 있는 표지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김 교수의 연구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에 주요논문으로 게재됐다.김 교수의 연구는 그가 택한 ‘네트워크’라는 단어처럼 ... ...
사람 냄새 풍기는 디지털 액터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활용하는 기법을 많이 쓴다. 실제 인간의 모습과 디지털 액터의 모습이 많이 다르더라도
측정
데이터가 자연스럽게 적용되도록 하는 것이 이 기술의 핵심이다. 대부분의 디지털 액터는 부분적으로라도 이런 방식을 활용한다. 골룸이나 킹콩은 몸에 60여개, 얼굴에는 130여개의 마커(Marker)를 ... ...
바닷속 누비는 우리 수중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조종실에 연결되어 있다. 무려 8500m나 된다.소나초음파를 쏘아 다시 반사되는 초음파를
측정
해 현재의 깊이와 장애물, 바닷속 지형을 알아내는 음파탐지기.로봇팔한쪽은 길고 한쪽은 짧은 로봇팔은 여섯 개의 관절을 가지고 있다. 팔 끝부분에 손 역할을 하는 도구를 무엇으로다느냐에 따라 물체를 ... ...
줄어드는 북극해의 얼음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의해 상당히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생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반응 등 생리활동을
측정
하고 그 활동을 이해하기 쉬운 정보(情報)로 변환시켜 생체에 전달하는 조작 혈압 · 심장박동 · 피부온도 · 근긴장(筋緊張) 등 자율신경계의 지배를 받는 생리활동이나 뇌파(腦波)는 큰 변화를 제외하고는 ... ...
기획4. 손가락 사이로 물 새듯 관리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한반도 전체를 감시하는 인공위성에서 관측한 숲의 영상데이터를 지상에서 실제로
측정
한 데이터와 비교분석해서 증발산을 비롯한 물 순환 정보를 만들어내려고 한다. 이는 마치 퍼즐을 맞추는 것과 같다. 물 순환 퍼즐은 2차원이 아니라 시간을 포함한 4차원 퍼즐인 셈이다.머지않아 일기예보에서 ... ...
우리의 밤은 당신의 낮보다 밝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자유로울까.필자의 연구팀은 지난해 11월 청계천의 경관조명에 대한 광공해 발생 여부를
측정
해 분석했다.광공해의 원인이 되는 빛은 크게 두 가지다. 조명기구에서 나오는 빛이 조명대상의 영역 밖으로 비치는 ‘새는 빛’과 새는 빛 중에서 빛의 양이나 빛의 방향 때문에 생기는 ‘장해광’이 ... ...
올림픽 하늘에 뿌리는 눈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현미경 사용방법에서 발전하여 시료에 자외선을 대고 거기에서 나오는 형광을
측정
하는 등 현미분광형광 수법을 사용하게 되어 그 목적에 맞는 현미경이 만들어지게 되었다생화학 · 약학 · 결정학 등의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된다중구경 망원경을 몇개 조합하여 하나의 대망원경과 동일한 ... ...
3. 태권V 10대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미세전자기계시스템 (MEMS)을 이용한 3차원 가속도 센서가 적합할 것이다. 3차원 가속도를
측정
하여 적분하면 시간에 따른 속도와 위치의 변화를 알 수 있어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물체를 집거나 뛰기 위해서는 물체 표면이나 바닥의 미끄러움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는 ... ...
기획2. 오늘 마신 물은 어제 내린 비?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대기의 프레온가스 농도가 계속 증가했다. 따라서 지하수의 프레온가스 농도를
측정
하고 대기의 프레온가스가 언제 같은 값을 기록했는지 비교해보면 물이 땅속으로 스며든 시기를 알 수 있다. 최근 필자의 연구팀은 이와 같은 방법들로 제주도 지하수의 나이를 조사했다.제주도 지표 부근 ... ...
24년 터울 커플, 허긴스와 마거릿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항성에 적용하면 항성의 성분 또한 알아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분광
측정
을 천문 분야에 적용할 생각을 해낸 것은 놀랍게도 오직 그 뿐이었다. 그가 아마추어 관측자였기 때문에 새로운 발상을 할 수 있었던 게 아닐까.허긴스는 스스로 분광기를 만들어 천체망원경에 부착하고 ... ...
이전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