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보"(으)로 총 8,054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수학동아 l2014년 09호
- 길을 건널 수 있게 되거나, 정해진 알약을 먹으면 위 속에서 천천히 녹으면서 환자의 정보를 수집해 약 먹을 시간을 자동으로 알려 줄 수도 있다.이러한 사회적 흐름 속에서 구글 부사장 수잔 보이치키는 “만약 당신이 코딩으로 새로운 기술을 창조할 수 있다면, 당신은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 ...
- 2014 가을 달이 빛나는 밤에수학동아 l2014년 09호
- 깊이를 표현했다. 이 사진은 과학자들에게 충돌 당시 어떤 일이 있었는지에 대한 3차원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이 밖에도 달 정찰 궤도 탐사선이 찍은 예술적인 달 사진들을 감상해 보자.LRO가 찍은 가장 예술적인 달 사진은? 달, 얼마나 알고 있을까?지구의 유일한 위성이자 지구에서 ... ...
- [시사]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영광의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전세계 수학자들의 축제,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가 지난 8월 1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렸다. 개막식에서는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필즈상 수상 ... 손쉽게 얻을 수 있게 됐기 때문일 거예요. 인터넷과 책, 대화를 통해서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많이 쌓는 것이 창의성을 기르는 방법이 아닐까요 ... ...
- 색칠게임 했더니 뇌지도가 쓱쓱~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있다”고 밝혔다. KT는 현재 영어로 제공되고 있는 이 게임을 우리말로 제작하고 필요한 정보통신 인프라와 빅데이터 서비스도 제공하기로 했다.승 교수가 참여한 커넥톰 프로젝트는 인간 두뇌에 있는 1000억 개 신경세포(뉴런)의 연결 구조와 활동 원리를 파악해 뇌지도를 완성하는 국제 연구다. ... ...
- 독도에 풍덩 천국문이 활짝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생겼구나 하고 한 눈에 알 수 있는 생태지도를 만든 거죠.” 생태지도 한 장에 담긴 정보를 다 보려면 영상이나 사진을 몇 십 배 봐야 한다. 또 하나 이유는 청소년과 어린이에게 독도를 알리기 위해서다. “말레이시아가 인도네시아에게서 시파단이라는 작은 섬을 지켜낸 뒤 사진과 생태지도가 담긴 ... ...
- “집은 살기 좋은 작품”과학동아 l2014년 09호
- 1인당 면적은 어느 정도 필요할지 정하는 ‘계획’ 단계가 있지요. 이렇게 수집한 정보를 종합해서 구체적으로 방의 모양과 크기, 재료를 결정하는 것이 ‘디자인’입니다. 여기까지가 건축학이 다루는 영역입니다.‘구조’ 분야에서는 어떻게 하면 창의적인 모습을 하면서도 무너지지 않는 튼튼한 ... ...
-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컴퓨터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최적화시키는 문제만을 풀도록 만든 특수 계산기다. 사기업이 개발하다보니 모든 정보가 공개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것이 정말 양자컴퓨터인지 많은 논란이 있다. 지난 6월 20일자 과학잡지 ‘사이언스’에는 디-웨이브를 테스트한 실험결과가 발표됐다. 기사에는 양자컴퓨터가 보여야하는 ... ...
- 야구공 뇌는 어떻게 칠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이 실험을 열흘 동안 반복해서 점점 능숙하게 만들었어요. 그랬더니 느는 건 감각 정보를 받아들이는 쪽이 아니었어요. 경험 쪽이었죠. 저 선수도 아마 사라진 공의 궤적을 경험적으로 추정해서 ‘이 위치에 와 있겠다’ 하고 생각한 덕분에 찾았을 거예요.Y 야수가 공을 보고 쫓아가는 데에는 ... ...
-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알 수 있다. 고층 빌딩 사이에서는 GPS신호조차 이용하기 어렵다. 그래서 필자는 제한된 정보만으로 스스로 군집을 이루 는 시스템을 향후 연구할 계획이다. 군집로봇은 지금부터 시작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뭉치면 강하다 군집로봇INTRO - 거대로봇과 새떼로봇이 싸운다면?PART1 - 영화 속 ... ...
- 양자컴퓨터 최강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말할 수 있는 자 누구인가작년 3월, 미국 학술지 ‘사이언스’는 양자정보처리 특집을 마련했다. 양자컴퓨터의 기초 기술 중 가장 ‘핫’한 세 분야를 나란히 소개한 기사였다. 바로 이온트랩, 초전도, 반도체(정확히는 반도체 기반의 스핀트로닉스)였다. 모두 한국이 기초 연구를 하고 있는 분야다 ... ...
이전2782792802812822832842852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