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그라미
원형
대양
원양
서클
화성
일치
d라이브러리
"
원
"(으)로 총 4,985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저 2만리 보물선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7호
세기 화산 폭발로 아름다운 신전과 도시가 바다에 가라앉았다.지중해 알렉산드리아기
원
전 332년 최고의 무역항. 100m가 넘는 등대가 있었지만 지진으로 하룻밤 새 물에 잠겼다.아프리카 난파지역인도와 동양의 보물을 실은 네덜란드 동인도회사 선박과 포르투갈 범선이 아프리카 남동부 연안의 거친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5호
과거 속으로 1744년 8월 1일용불용설을 주장한 라마르크 출생프랑스 과학자 라마르크는 진화의
원
리에 대해‘용불용설’을 주장했다. 용불용설은 ... 전시하기도 하고, 10만
원
권 등 비싼 지폐의 위조를 막기 위해 쓰일 수도 있다. 또 3차
원
홀로그램으로 된 교실에서 특별한 수업을 받을 수도 ... ...
1시간 30분의 짜릿한 우주 관광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있을 거예요. 그건 그렇고 한 번 관광에 얼마나 하는지 아세요? 우리 돈으로 2억5000만
원
이랍니다.우주 관광 떠나고 싶은 친구 여러분, 일단 공부 열심히 해서 돈을 많이 벌어야 해요. 헤헤 ... ...
12월이 빨리 지나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붉은색
원
을 본 시간이 검은색
원
을 본 시간보다 2배 길었다고 대답했다. 사실 붉은
원
도 똑같이 1초 동안 머물렀다. 피터 체 교수는 “놀라면 뇌가 흥분하고 흥분한 뇌는 주의력을 높인다”며 “주의력이 높아진 뇌는 정보를 더 많이 받아들이고, 뇌는 늘어난 정보를 처리하면서 시간이 더 오래 ... ...
보이지 않는 위험, 디지털 질환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나와 사용을 줄이려고 노력한 적이 있다.□수업(또는 근무)시간에도 휴대전화의 전
원
을 끄지 못한다.□수업(또는 근무)시간이라도 문자메시지가 오면 바로 답장을 한다.□골치 아픈 일을 잊기 위해 문자메시지를 보내거나 휴대전화 게임을 한다.□새 전화기로 바꾸거나 휴대전화 요금을 내기 위해 ... ...
노행운 씨의 마파도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꼭 알아야 한다. 배로 바다를 항해하거나 해양구조물을 세워 석유와 천연가스와 같은 자
원
을 채취할 때 파도가 어떤 영향을 주는지 모른다면 더 많은 돈이 들거나 예상치 못한 사고를 당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즉, 파도에 의해 배가 얼마나 저항을 받는지, 파도를 헤쳐나가는 데 어떤 모양이 ... ...
'특별한 가족'을 맞이한 국제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유럽연합이 10년이 넘는 준비 끝에 ‘국제우주정거장’(ISS) 에 합류했다. 이탈리아에서 만든 ‘하모니’는 ISS에 6년 만에 추가되는 모듈이다. 하 ... 별이 6등성이다 그후 1등성과 6등성의 밝기는 약 1백배 차이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망
원
경을 사용하면서 6등성보다 어두운 별도 발견됐고, ... ...
천문학자의 '청계천 연가'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정
원
씨는 그동안 천문대에서 밤낮으로 피땀 흘려 새로 제작한 수신기를 곧 망
원
경에 부착해 테스트할 예정이다. 결과가 잘 나와야 할 텐데. 그래야 고대하던 박사학위를 거머쥘 뿐 아니라 우주에서 별이 탄생하고 죽어가는 과정의 신비를 한꺼풀 벗기는데 일조할 수 있을 테니까 ... ...
차세대 초대형 여객기 A380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밀러가 유레이 교수의 지도로 환
원
성대기를 이용한 실험장치를 개발했다몬순이란 말은
원
래 아라비아어로 계절을 의미하는 머심(mausim)에서 유래했다 아라비아해에서는 여름 반년에 부는 남서풍과 겨울 반년에 부는 북동풍을 몬순이라 불렀다 요즘에는 단순히 계절풍이란 뜻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 ...
암정복 꿈꾸는 '생명설계도' 지킴이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열심히 연구에 매진했죠.”3년 뒤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다음 3년의 연구지
원
여부를 결정하는 평가기간 동안 최 교수는 가슴을 졸였다. 하지만 연구단을 시작하기 전부터 쌓아뒀던 연구 성과와 앞으로의 가능성을 인정받아 2단계 창의연구단에 선정됐다.고비를 넘기자 연구 성과가 봇물 ... ...
이전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