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려"(으)로 총 3,948건 검색되었습니다.
- 2. 1백년 후 한국인 얼굴과학동아 l1999년 10호
- 인상을 더욱 강하게 풍길 것이다. 이 자료를 기초로 삼고 최근까지의 변화 속도를 고려해 1백년 후의 한국인 얼굴을 복원한 조각이 현재 민속박물관에 보관돼 있다.그러나 한가지 커다란 변수가 있다. 바로 컴퓨터다.현대인이라면 아이나 어른 모두 컴퓨터 앞에서 장시간 앉아있는 일이 흔하다. ... ...
- 서리 맞은 단풍은 꽃 보다 붉지 않다과학동아 l1999년 10호
- 은 그지 없어라먼 강물 하늘에 닿아 푸르고,서리 단풍잎(霜楓) 하늘에 붉다고 읊었다. 고려 때의 학자인 이장용(李藏用, 1201-1272) 또한한 이파리 바스락 지는,밤 소리에 깜짝 놀라,천산(千山)의 푸른 숲들,문득 서리 내린 아침에 상기됐네라고 했다. 모두들 가을 정취의 대명사인 단풍을 노래한 것이다. ... ...
- 공룡 몸집이 커진 이유과학동아 l1999년 09호
- 계산이 옳다면 “새로운 공룡을 발견할 수 있을까”라는 걱정은 앞으로 2백년 후에나 고려해 볼 문제이다.공룡 이름을 어떻게 발음해야 하나학명은 라틴어 또는 라틴어화된 글로만 쓰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학명은 원칙적으로 라틴어의 원래 발음대로 읽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유감스럽게도 ... ...
- 교과서 실험 옴부즈맨과학동아 l1999년 09호
- 일에너지로 전환되는 문제로 중요한 것은 일에너지를 계산할 때 마찰력과 중력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다. 여기서 조건은 M>>m, f>(M+m)g로 '마찰력은 실험 중 일정하다고 본다'는 말이 들어 있어야 한다.우선 충돌 직전의 에너지는 Mgh, 충돌 후 M, m이 이동하며 한 일에너지는 W = FxS = [f-(M+m)g]S이다 ... ...
- 피라컵 세계 로봇 축구대회 한국 우승과학동아 l1999년 09호
- 8월 9일 브라질 캄피나스에서 6개국 14개팀이 참가한 피라(FIRA) 로봇월드컵에서 우리나라 고려대의 로보티스(하인용, 김병수)팀이 우승했다. 로봇 3대가 한팀을 이뤄 가로 1.3m 세로 1.5m의 경기장에서 전후반 각각 5분씩 경기를 벌이는 피라컵에서 로보티스팀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우승함으로써 2연패를 ... ...
- 히말라야를 오르는 과학과학동아 l1999년 09호
- 안되며 최대산소섭취량(1분간 1kg의 신체가 받아들이는 산소의 양)도 해수면의 40% 정도다. 고려대 체육교육과 김기형 교수에 따르면, 5천2백m보다 높은 곳에서는 아무리 오래 머물러도 고소적응이 되지 않으며 신체의 건강상태가 나빠질 뿐이라고 한다. 충분한 식량과 장비를 가지고 있더라도 8천m의 ... ...
- 인간과 더불어 사는 신세대로봇과학동아 l1999년 09호
- 필요가 없다. 또 스스로 자기복제를 할 수 없으므로 생식기관도 불필요하다. 이런 점을 고려한다면 휴머노이드 로봇이 갖출 기능은 크게 인간처럼 움직이는 운동기관, 인간의 감각을 닮은 감각기관, 그리고 인간처럼 판단하고 사고하고 느낄 수 있는 지능으로 나눌 수 있다. 이게 바로 휴머노이드 ... ...
- 한국형 SF영화 용가리 1998과학동아 l1999년 08호
- 컴퓨터 그래픽스로 바뀌었을 뿐, 실제 동물들의 움직임을 고려한 자연스러움은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용가리’는 관객에게 어떤 메시지를 전해줄까. 대체로 SF 장르에서 괴물은 과학이 빚어낸 창조물로 설정돼 있다. 프랑켄슈타인 박사가 만들어낸 괴물이나 핵방사능 오염으로 발생한 돌연변이 ... ...
- 2. 망가진 생체리듬이 병을 부른다과학동아 l1999년 08호
- 경우 역시 햇빛을 쪼이는 시간을 미리 조절하는 것이 좋은 방책이다. 현지 도착 시간을 고려해 한국에서 미리 수면-각성 주기를 앞당기거나 뒤로 늦추면 도움이 된다. 만일 그럴 여유 없이 현지에 도착했다면 병원에서 광(光)치료를 받는 것이 효과적이다.의사의 적절한 처방 아래에서 약제로 개발된 ... ...
- 운주사 천불천탑의 비밀과학동아 l1999년 07호
- 사람들에게 천불천탑에 대한 오도된 생각을 퍼트렸다. 이제 운주사를 찾는 이들이 고려시대의 불탑을 앞에 두고 오리온자리와 시리우스 별을 연결시키는 코미디를 봐야 할지도 모른다. 개인적인 견해로 남았어야 할 섣부른 주장이 방송을 통해 공개적으로 보도된 대가다. 이 왜곡된 관념을 ... ...
이전2782792802812822832842852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