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같은시간"(으)로 총 9,560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남극탐험가 섀클턴의 위대한 실패과학동아 l2015년 01호
- 0“나는 앞으로 다가올 겨울 내내 인듀어런스 호의 발이 묶이고 말 것을 확신할 수 있었다. (중략) 물개들도 사라졌고 새들도 우리를 떠났다. 맑은 날에는 멀리 수평선 너머로 육지가 보였지만, 지금 현재로서는 우리가 도저히 도달할 수 없는 곳이었다. 배를 정박시킬 만한 장소를 지나쳤던 것에 대 ... ...
- 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아인슈타인조차 일반상대론이 품고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다 알지는 못했다. 그래서 처음에는 팽창하는 우주와 블랙홀을 부정했고, 중력파를 부인하는 논문을 제출하기도 했다. 일반상대론은 창시자가 죽은 뒤인 1960~1970년대에 와서야 황금기를 맞는다. 일반상대론은 아인슈타인만의 것이 아니며, ... ...
- [Knowledge] 최초의 섹스, 판피어의 은밀한 사생활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한국의 과학동아 독자 여러분은 혹시 ‘판피어(placoderm)’라는 물고기를 아시나요? 약 4억 3000만~3억6000만 년 전 고생대 데본기에 번성했던 원시 물고기입니다. 최초로 턱에 뼈가 생겨난 물고기 (유악류)로, 지금은 멸종해 화석으로만 만날 수 있지요. 머리와 몸통은 마치 갑옷처럼 생긴, 뼈로 된 판에 ... ...
- [화보] 작은 겨울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눈 내리는 겨울이다. 맨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세상에도 겨울이 찾아왔다. 현미경 렌즈를 들여다보니, 세포나 곤충의 표면 등 의외의 곳에서 겨울 풍경이 눈앞에 펼쳐졌다. 현미경 속 작은 겨울은 어떤 모습일까?여기가 북극인가요?한파가 몰아치는 북극이 우리 가까이에 있다. 현미경으로 몇 천배 ... ...
- [생활] 입소문이 만들어낸 맛, 허니버터칩수학동아 l2015년 01호
- 과자 하나 먹자고 온 나라가 난리다. 대형 마트 앞에는 이른 아침부터 과자 한 봉지를 사러온 사람들로 가득하다. 편의점에는 허니버터칩이 없으니 제발 그만 물어봐 달라는 호소문이 붙어 있다. 도대체 어떤 맛이기에 이럴까 싶어 방방곡곡 과자를 찾아 다니지만, 부스러기는커녕 포장지조차 볼 ... ...
- [참여] 수학으로 그려 본 나의 미래 KAIST 수리과학과 & 국가슈퍼컴퓨팅연구소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독자 기자가 대전으로 출동했다. 목적지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수리과학과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국가슈퍼컴퓨팅연구소! 독자 기자의 뜨거운 탐구 열기로 추운 날씨마저 한풀 꺾였다는 소문이 돌던데…. 그곳에선 과연 무슨 일이 벌어졌을까?독자 기자를 가장 먼저 맞이한 ... ...
- [Hot Issue] 상공 528km, 한반도에 ‘밤눈’이 생기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인공위성을 직접 만나기 위해서는 꽤나 까다로운 과정을 거쳐야 했다. 머리와 옷, 신발에 방진복을 덧씌우는 것은 기본이었고, 촬영장비는 모두 알코올로 닦았다. 위성을 멋지게 촬영하기 위해 SUV 차량에 가득 채워온 장비는 아무것도 반입할 수 없었다. 모든 채비를 마친 뒤에는 소독부스에 들어가 ... ...
- [Knowledge] 우주 면역력, 비타민이 필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문을 들어서자 정돈이 잘 된 작은 진료실이 눈에 들어왔다. 그런데 그곳에서 나를 맞이하고 있던 것에 흠칫 놀랐다. 하우스 박사가 매서운 눈으로 나를 노려보고 있었다!“아니, 킴선. 얼굴이 피곤해 보이네? 설마 아직 적응을 못했나?”하우스 박사는 내 이름 김선홍을 늘 헷갈려 짧게 두 글자로 킴 ... ...
- PART1. 일반상대성이론 낳은 ‘기적의 10년’과학동아 l2015년 01호
- 1905년 가을,위대한 발견 후 다시 일상으로아인슈타인은 1905년 논문 세 편을 연달아 발표했다. ‘광양자 가설(3월)’ ‘브라운 운동 설명(5월)’ ‘특수상대성이론(6월)’ 모두 놀라운 논문이었다. 특히 빛의 속도가 일정하다는 사실에서 출발해 시간과 공간의 상대성을 밝힌 특수상대성이론은 물리학 ... ...
- INTERVIEW. “21세기는 일반상대성이론의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많은 이들에게 일반상대성이론은 ‘선문답’에 가깝다. 공간과 시간이 어떻게 구성되고 변하는가에 대한 아인슈타인의 생각은 지난 100년 동안 세계 최고 수준의 지식인들에게도 충격과 낙담, 그리고 질문을 안겨줬다. 옥스퍼드대 천체물리학 교수이자 일반상대성이론 전문가인 페드루 페레이라 ... ...
이전2782792802812822832842852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