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도덕과학
도덕
문화과학
문화
보존과학
보존
뉴스
"
과학
"(으)로 총 28,771건 검색되었습니다.
자폐증 어린이, 장내 미생물 다르다…"조기 진단에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자폐증의 심각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 결과물을 냈다”고 설명했다.
과학
자들은 그동안 자폐증의 생물 지표를 찾기 위해 인간 게놈, 병력, 뇌 스캔 등을 조사해왔지만 활용도가 제한적인 상태다. 자폐증 아동은 다른 사람과 눈을 맞추기 힘들어한다는 점에서 미국 식품의약국 ... ...
"
과학
자 꿈 위해 자퇴합니다"…서울대 이공계 1학년 자퇴생 매년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2021년 기준 교수 대 학생 비율이 13.32대 1, 칼텍은 약 3대 1이다. 한 대학 교수는 "
과학
자를 직업으로 삼고 싶은 학생들은 학부 시절 역량을 빨리 쌓아 학계에 진출하고 싶을 것"이라며 "이들의 욕구는 당연한 것이며 한국에서도 충분히 세계적인 경쟁력을 키울 수 있다는 신뢰를 줄 수 있게 ... ...
'썩은 달걀 냄새' 나는 외계 행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속도로 바람이 부는 등 '악천후'로 유명하다. ROBERTO MOLAR CANDANOSA/JOHNS HOPKINS UNIVERISTY 제공
과학
자들이 목성과 비슷한 외계 가스 행성에서 달걀 썩은 냄새의 원인 물질인 황화수소(H2S)의 존재를 확인했다. 태양계 밖에서 황화수소가 발견된 것은 처음이다. 행성의 크기와 구성물질의 관계를 밝히는 데 ... ...
"몸집 커진다고 뇌가 커지는 것은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수준에 이르면 더 이상 커지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는 설명이다. 벤디티 교수는 “
과학
자들은 뇌의 크기가 몸집의 크기와 비례해 커진다는 ‘선형적 관계’를 가정해왔다”며 “하지만 뇌와 몸 크기 사이의 관계는 비선형적이며 몸집이 큰 동물들이 예상보다 작은 뇌를 갖고 있다는 의미”라고 ... ...
[과기원NOW] DGIST "
과학
영재학교 설립 교두보 마련"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DGIST 부설
과학
영재학교’를 설립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게 된다고 설명했다. ■ 광주
과학
기술원(GIST)은 우주공학 학생 동아리인 지스트 행성탐사연구소(GIST GPERI)가 '2024 한국추진공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전국대학교로켓연합회 우수발표논문상을 수상했다고 8일 밝혔다. GPERI는 2년간 개발한 GSLV ... ...
미리보는 노벨상 '울프상'에 RSA 개발자·광유전학 권위자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미국 피츠버그대 및 프랑스 소르본대 교수와 보톤드 로스카 스위스 바젤 문자 및 임상 안
과학
연구소 교수는 의학 부문 울프상을 수상했다. 이들은 2021년 광유전학을 통해 수십 년 만에 시각장애인 환자의 시력을 회복하게 한 연구로 큰 주목을 받았다. 광유전학이 인간을 대상으로 한 시험에서 실제 ... ...
[화보] 이글거리는 '태양 항해하는 고래'…올해의 천문사진 후보작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모습이 담겼다. 태양 흑점과 필라멘트가 분출하며 추상적인 패턴을 만들었다. 최근
과학
자들은 올해 말 태양의 활동이 극대기에 다다르며 지구에 영향을 주는 태양 폭풍이 지금보다 더 자주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하고 있다. 슈테판 리버만 제공 '버려진 집'이라는 제목의 사진은 ... ...
7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사용철·김태정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기여한 김태정 하멕스 대표이사가 7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2024년 7월 수상자로 사 연구위원과 김 대표이사를 선정했다고 8일 밝혔다.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은 산업현장의 기술혁신을 장려하고 기술자를 ... ...
새 중력파 찾으러 중성자별·우주배경복사 이용하는
과학
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교수는 "펄사를 이용하면 nHz(나노헤르츠) 단위의 중력파를 검출할 수 있다"면서 "
과학
자들이 지난 20년 동안 펄사 관측 데이터를 쌓고 있고 앞으로 이를 분석해 10년 내에 우주에 있는 대다수 초거대질량 중력파의 중첩 현상을 관측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우주에 존재하는 전자기파가 ... ...
"해상 풍력 발전, 상어 생존에 부담 안줘"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진동, 전자기장 등을 일으켜 바다 생태계에 피해를 입힐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됐다.
과학
자들이 전기에 예민한 상어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해상 풍력 발전이 상어의 성장이나 생존을 방해하지는 않는다는 분석 결과를 내놨다. 쥘리 뤼카 프랑스 국립자연사박물관 연구원 연구팀은 해상 풍력 ... ...
이전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