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으)로 총 8,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야동, 이제 웹하드엔 없어요과학동아 l2015년 04호
- 프록시 서버를 생산해주는 프로그램이나 웹페이지 자체를 차단해버리면 기술적으로 충분히 방어할 수 있다. 현재 엑스키퍼도 이런 방법으로 청소년들을 음란물로부터 ‘보호’하고 있다.하지만 이번에 개정된 법에는 프록시 서버에 변지민규정이 따로 없다. 정일선 방송통신위원회 사무관은 ... ...
- [Knowledge] 유로파를 향해 떠나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추진 로켓의 상상도. 원자력 발전소와 같은 원리로 열을 생산한 뒤 액체수소를 가열해 분사한다. 안전성 등 논의가 많이 필요해 아직은 실현되지 않았다. 미래엔 어떨까.]새로운 출발 - 먼 우주를 향하여2045년 3월, 나는 드디어 ‘2040 우주거북선 호’ 안에 앉아 있다. 10년 전 초짜 우주인 주제에 겁 ... ...
- [지식] 수학으로 내다보는 황사수학동아 l2015년 04호
- 뒷받침돼야 하는 이유다.μg/m³★ 농도의 단위로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1m인 공간에 1만 분의 1g의 먼지가 있다는 뜻. 올해 황사는 보통 수준올봄의 황사는 어떨까. 국립기상과학원 황사연구과의 김정은 연구사는 “지난 겨울에 강한 황사가 관측됐다는 것은 중국 지역에 덮여 있던 눈이 녹아 황사가 ... ...
- Part 2.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유입되는 물은 줄어드는데 농촌의 지하수 사용량은 제대로 관리조차 되지 않는다. 덕분에 지하수의 최종 종착역인 하천은 메마르고 있다.지금도 앞이 깜깜한데 앞으로 한반도는 더 큰 위기에 빠질 전망이다. 기후변화에관한정부간패널(IPCC) 5차보고서는 2050년까지 우리나라 평균기온이 3.2℃ ... ...
- [Knowledge] 천국보다 낯선, 고독보다 낯선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이 역시 그렇지 않다. 내향적인 사람과 외향적인 사람에게 각각 처음 보는 사람들과 몇 분간 적극적이고 활발한 모습으로 대화를 나누게 했더니 둘 다 비슷한 수준으로, 때로는 내향적인 사람이 더 즐거워했다. 성격이 외향적이든 내향적이든 낯선 이와의 짧은 대화로 누군가를 만나게 된다는 것은 ... ...
- [Knowledge] 길고 짧은 건 '단위'로 재봐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공유하게 된다.약 200년이 지난 1960년까지 이 방식으로 1m를 정의했다. 측정 오차가 약 100만분의 1에 불과할 정도로 상당히 정확했다. 우리나라에도 프랑스에서 가져온 표준미터원기가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 고이 모셔져 있다. 우리나라는 1964년 1월 1일부터 국제 표준 단위인 미터법을 공식적으로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시스템의 현대차, 재료의 도요타”과학동아 l2015년 04호
- Q 원래는 조선공학을 전공했는데.학부 때 전공은 조선공학이 맞습니다. 그런데 막상 유학을 가려니 조선공학을 할 수 있는 곳이 몇 곳 없었습니다. 게다가 미국 학 ... 가르쳐 주지 않아요. 오직 자신의 실패와 다양한 활동으로부터 배울 수 있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도전하고 실패하세요 ... ...
- [Hot Issue] 류현진, 네 탓이 아니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절반에 가까운 44%고, 투수의 책임은 28%밖에 안됐다. 이만하면 실점으로(자신의 잘못이 4분의 1뿐인!) 모든 걸 평가받던 예전의 투수들이 불쌍할 지경이다.헤이~ 헨리, 현진이한테 왜 그래?이처럼 FIP는 외부적인 요소를 제외한 투수의 순수한 실력을 평가할 수 있다. 만약 평균자책점이 FIP보다 높으면 ... ...
- [교과연계수업] 과학으로 예방하는 화재, 우리 집을 지키자!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급격하게 오르고 공간 전체가 화염에 휩싸이기 때문에, 플래시 오버가 일어나기 전인 4~5분이 화재 골든타임이지요. 이런 화재 골든타임을 연장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 바로 *불연재와 *난연재 사용이에요. 이번 의정부 화재의 피해가 커진 원인 중 하나는 바로 건물의 단열재로 스티로폼을 ... ...
- [과학뉴스] “여기는 탐사선 던, 소행성 세레스 14만 km까지 접근 중”과학동아 l2015년 03호
- 2차 임무 목적지인 세레스를 향했다. 2월 15일에는 세레스에 지구와 달 사이 거리의 6분의 1인 6만8000km까지 접근했으며, 거리가 점점 더 가까워지고 있다. 거리가 더욱 가까워지는 3월 초부터는 주위를 공전하며 천천히 접근할 예정이며, 크레이터 등 상세한 지형을 촬영하고 내부 구조와 자기장 등의 ... ...
이전2772782792802812822832842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