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고등학교
중고
d라이브러리
"
등학교
"(으)로 총 3,707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인미답의 산을 오르는 화학자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독학을 통해 그는 19세기 독일 유기화학에 관한 백과사전적인 지식을 갖게 됐는데, 고
등학교
졸업 당시 그의 수준은 이미 전문가의 단계였다고 한다.그는 두 번의 월반을 거쳐 16세에 MIT에 입학을 했다. 대학에 입학한 우드워드는 이미 몇 년 동안 그래왔던 것처럼 수업에 참가하지 않고 실험실과 ... ...
오감을 뛰어넘는 초감각 지각 ESP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텔레파시, 투시, 그리고 예지. 오감 이외의 수단을 이용해 외부의 정보를 얻는 능력이다. 사람은 과연 먼 곳에서 벌어지는 일을 '감으로' 알아낼 수 있을까. 미래의 불길한 사건을 예감하는 능력은 무엇일까.어느날 오후 다방에 앉아 친구를 기다리고 있었다. 카운터의 젊은 여자는 만화책을 열심히 ... ...
변화무쌍한 얼굴색의 정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쉽다. 그런데 빈혈 증세가 있을 때 안색뿐 아니라 머리카락의 색이 변하기도 한다.고
등학교
에 다니는 한 여학생이 머리카락이 이상하다며 찾아온 적이 있었다. 자세히 살펴보니 각 머리카락마다 부분적으로 흰 부분과 검은 부분이 반복해 나타났다. 별다른 원인이 밝혀지지 않아 그녀가 빈혈 증세를 ... ...
20세기 하늘을 연 라이트형제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1903년 12월 17일 오전 10시 35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키티호크 해안에서는 인류 최초의 비행기가 이륙했다. 자전거가게를 운영하던 36세의 윌버 라이트(1867-1912)와 32세의 오빌 라이트(1871-1948)가 만든 플라이어호가 12초 동안 36m를 나는 순간이었다. 이날 플라이어호는 59초 동안 2백90m를 나는 첫 기록을 ... ...
97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 윌리엄 필립스 박사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주변에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들에 대해 어린이들은 '왜?'라는 질문을 입에 달고 다닌다. 그러다 어느 순간 입을 다물고 무감각한 표정을 짓는다. 그러면서 이런 말을 한다. '과학은 너무 어려워!' 과학은 정말 어려운 것일까. 이에 대해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어려울 뿐이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 그 ... ...
멘델레예프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항상 "육체만을 위해 사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강조했다.멘델레프의 아버지는 고
등학교
교장이었는데, 멘델레프가 태어나자마자 심한 눈병을 앓아 실명하고 결국 직장을 떠났다. 아버지의 실직으로 집안이 기울기 시작했다. 연금이 나왔지만 대가족이 생활하는데 턱없이 부족했다.이때부터 ... ...
② 잠 때문에 괴로운 사람들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잠자리가 개운치 않은 이유는 매우 다양하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 숨이 턱턱 막히기도 하고, 스트레스 때문에 좀처럼 잠이 들지 않는 경우도 허다하다.몇주간 계속되는 불면의 밤 - 10명 중 1명 중증잠자리가 두려운 사람들이 있다. 간밤에 잠을 설친 일을 생각해 일찌감치 잠자리에 들어도 정신이 말 ... ...
영재교육 뿌리내릴 것인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주 대상이 초등학생이라는 점이 다른 대학과의 차이다. 공교육 체계의 1단계인 초
등학교
에 서부터 과학영재교육을 시작해야 영재교육에서 중요한 영재의 조기 발굴과 연속성을 이뤄낼 수 있다는 것이 청주교육대 정병훈 교수의 설명이다. 충북대학교가 중등영재교육을 담당하는 컨소시엄 형태로 ... ...
시험 전날에 먹는 찹쌀떡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요즈음 중고생들 사이에 입시를 앞두고 성패를 점치는 ‘분신사마 놀이’가 유행하고 있다. 혼령을 부르는 소질이 있는 친구가 영매가 돼 혼령을 부른 다음, 의뢰자와 혼령간의 대화를 주선하고 의뢰자의 미래를 알아보는 놀이다.영매와 의뢰자가 볼펜을 함께 잡고, 영매가 주문을 외우면 혼령이 ... ...
2. 과학분야 노벨상 궁금증 이모저모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썼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8세 되던 해에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의 외국인학교에서 고
등학교
까지 마치고, 대학공부를 위해 미국으로 건너갔다. 오하이오주의 대이튼 대학과 MIT 대학원을 거처 듀폰사의 연구소에서 학문활동을 했다. 그의 아버지가 노르웨이인이기 때문에 보통 그를 노르웨이인으로 ... ...
이전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