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중·고생 마라톤 풀코스 완주하지 마라
과학동아
l
200105
뼈는 어른의 뼈와 아주 다른 성질이 있다. 성장기 학생들은 키가 크고 있다. 성장기 뼈의
끝
부분에는 연골세포로 이뤄진 성장판이 있다. 키가 무럭무럭 자라는 때는 성장판의 연골이 더 두텁다. 하지만 매우 약하기 때문에 이때 이곳에 충격이 너무 심하게 가해지면 성장판의 연골세포는 쉽게 파손돼 ... ...
동양산학에 등장하는 수열과 급수
과학동아
l
200105
병졸 8명씩을 거느렸다네.답: 19,173,385명.이 노래의 원문은 7자씩 8행으로 이뤄져 있고,
끝
에 마땅히 덧붙여졌어야 했을 ‘장졸들의 수는 모두 얼마나 되는가?’라는 물음은 생략된 형태로 돼있다. 아무튼 제갈량 군대의 총 인원수를 묻는 문제라고 볼 수 있다. 그러면 초항이 1이고 등비가 8인 수열의 ... ...
② 태양계 내 또다른 종족의 자취
과학동아
l
200105
진입과정에서 호이겐스는 대기의 온도·기압·밀도 등을 탐사하며, 혹한에서도
끝
까지 살아남는다면 낙하와 착륙 장면을 파노라마 형식으로 지구로 보내올 것이다. 착륙후 호이겐스는 액체의 흐름과 성분 등을 조사한다. 특히 작은 마이크가 장착돼 타이탄의 천둥과 바람소리, 착륙할 때 바위 얼음 ... ...
권력자들에게 빼앗긴 서양의 달 이름
과학동아
l
200105
온 말입니다. 아니라고요? 셉템버는 7월이 아니라 9월이라고요? 알고 있어요. 그러니까
끝
까지 읽어보세요. 이게 원래는 일곱번째 달이라는 뜻으로 쓰였다니까요.원래 8월을 뜻하던 ‘옥토버’(October)는 ‘여덟번째 달’을 뜻하는 라틴어 ‘옥토베르’에서 온 말입니다. 또 아니라고요? 옥토버는 ... ...
동물도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0105
암컷은 아예 날개가 없거나 있어도 날아다니며 불빛을 비추지 않는다. 암컷은 대개 풀잎
끝
에 앉아 독특한 무늬를 그리며 날아다니는 수컷의 춤을 감상한다. 마음에 드는 수컷이 가까이 오면 종 특유의 불빛 신호를 보내 자신의 위치를 알린다. 이어 연속적으로 몇번에 걸쳐 서로 바삐 신호를 ... ...
3차원 입체사진, 애너글리프
과학동아
l
200105
찍고자 하는 사물 방향으로 배치시킨다.⑤ 하드보드지의 양면을 ㄷ자 모양으로 덮고
끝
자락의 가운데에 송곳으로 구멍을 뚫은 후 줄로 묶는다.⑥ 하드보드지 구멍을 통해 마주보는 양쪽 거울에 사물이 약간 비켜나게 보이도록 맞춘다.⑦ 하드보드지 구멍에 카메라를 놓고 사진을 찍는다 ... ...
장애아 애덤 킹의 아름다운 시구
과학동아
l
200105
최근 내시경은 기존 것에 비해 훨씬 가늘어져 환자의 불편을 줄여주었다. 또한 내시경
끝
에 수술가위와 같은 간단한 기계가 부착돼 의사는 조직을 채취하거나 간단한 수술까지도 해낼 수 있다. 이때 의사는 내시경과 연결된 모니터로 수술과정을 볼 수 있다. 내시경 수술은 기존 수술보다 적은 ... ...
야심찬 화성 식민지화 프로젝트 - 레드 플래닛
과학동아
l
200105
덜한 연료가 사용되긴 하지만 듣고 보니 이상하군요. 기술적인 문제를 자꾸 탓하면
끝
이 없을 것 같아요. ^^ 영화에서 화성의 풍경이 정말 근사하게 표현되지 않았나요?미경_ 우주 복장도 상당히 간편해진 것 같아요.조박사_ 우주 복장을 언급하니 생각나는게 있군요. 비행사들이 산소를 어떻게 ... ...
③ 생리ㅣ 부작용 없는 치료제 약속하는 인공효소
과학동아
l
200104
모방해, 즉 기질이 들어갈 수 있는 조그마한 주머니 형태의 화합물을 만들고 한쪽
끝
에 작용기를 달아 주머니에 들어온 기질을 변화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제조한 주머니 모양의 화합물은 종류가 그리 많지 않았으며, 따라서 화학반응을 촉진하는 기질의 숫자도 많지 않았다.이를 극복하기 위해 ... ...
로봇공학
과학동아
l
200104
불가능하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인간을 닮은 로봇을 만들려는 인간의 노력은
끝
이 없다.생명공학만큼 힘든 로봇공학 /포항공대 이진수 연구처장포항공대 전 전자전기공학과 주임교수였던 이진수 연구처장을 만나 로봇 산업의 과거와 미래를 들어봤다. 이교수는 미국 LA소재 캘리포니아대(UCLA)에서 ... ...
이전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