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페이지 뉴스] 북해 아래 잠든 빙하기 땅이 드러났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정밀한 3차원(3D) 지도로 구현해 국제학술지 ‘지질학’ 9월 8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30/G49048.1 연구팀은 북해 해수면 3m 아래에 지진파 발생 장치를 설치해 얻은 고해상의 3차원 지진파 반사 데이터를 분석해 3차원 지형 지도를 제작했다. 자기공명영상장치(MRI)로 인체 내부를 3차원 스캔하는 ...
- [그래픽뉴스] 전 세계 나무종의 30%, 멸종위기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국제 식물원 보존연맹(BGCI)이 9월 1일 발표한 ‘세계 나무 현황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나무종(5만 8497종)의 30%가량인 1만 7510종이 멸종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는 멸종위기에 처한 포유류, 조류, 양서류, 파충류 종을 합친 수의 2배 수준이다. ...
- 글꼴에 세상을 담는 사람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한글 초성, 중성, 종성에 자음과 모음을 조합해 만들 수 있는 총 글자수는 1만 1172자다. 모든 글자를 디자인하려면 최소 3개월에서 최대 6개월까지의 시간이 걸린다.최근 그는 국민대 테크노디자인대학원 박사과정생과 함께 새로운 프로젝트에 도전했다. ‘느린 학습자’를 위한 글꼴을 디자인하고 ... ...
- 반려동물에 채식 권하면 안 되는 이유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효과도 있다”고 말했다. 곤충 사료는 환경 측면에서도 이점이 있다. 소(육우)는 단백질 1g을 생산하기 위해 8g의 사료가 필요하다. 반면 곤충은 단 2g만 있으면 된다. 곤충은 온실가스인 메탄을 방출하지도 않는다. 분뇨 등을 관리하기 수월하고 물도 적게 사용할 수 있다 ... ...
- 슈뢰딩거 고양이의 생과 사, 확률을 계산하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확인할 수 있는 셈이다. 반면 광자의 수가 많아지면 단일 광자를 더해도(예를 들어 광자 1억 개에 단일 광자를 더한다면) 이를 측정으로 구분해내기 점점 어려워진다.단일 광자의 이동 경로를 얼마만큼 구분해낼 수 있는지는 입자성과 파동성에 관련된다. 실제로 데이비슨과 거머의 이중 슬릿 ... ...
- [이공계잡터뷰] 과학의 즐거움을 전하는 크리에이터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있다. 구독자 12만여 명의 유튜브 채널 ‘지식인 미나니’를 운영하는 이민환 PD를 9월 1일 서울 영등포구 스튜디오에서 만나 과학 크리에이터의 삶에 대해 알아봤다. 흔히 크리에이터라고 하면 동영상 플랫폼인 유튜브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을 떠올린다. 하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자신만의 콘텐츠를 ... ...
- [과동프렌즈] 꿈을 찾는 새로운 시작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위해 학교 수업에 집중하는 한편, 수학과 물리 올림피아드에 출전해 수상했다. 중학교 1학년부터 구독하던 과학동아도 입시에 큰 도움이 됐다. 양 군은 “과학 지식뿐만 아니라 사회 트렌드와 이슈를 접할 수 있어 즐겨 읽었다”며 “특히 과학동아에서 읽은 철 비가 내리는 외계행성 ‘WASP-76b’가 ... ...
- [현장취재➊] 지구사랑탐사대 시민과학자들의 새해는 바로 오늘! 지구사랑탐사대 발대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지구사랑탐사대 9기의 시작을 알리며 탐사 활동을 독려했어요. “한 해의 시작은 1월 1일이고, 학교의 시작은 3월 2일이지만, 저의 새해는 지구사랑탐사대가 시작되는 바로 오늘입니다. 이제 4월 미션으로 소리모아와 양서류 탐사가 시작되니, 적극적으로 탐사해 주시기 바랍니다 ... ...
- 어과동이 벌써 400호?! 5월은 파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상상력과 그림 실력을 마음껏 뽐내 보세요. 참여 방법 ●참여 기간 : ~5월 31일➊5월 1일 자 기획 기사를 재밌게 읽는다.➋물곰 이모티콘을 그린다.➌사진을 찍거나 스캔한다.➍홈페이지 ‘쓱싹쓱싹 그림터’ 게시물에 댓글로 올린다 ... ...
- [4컷 만화] 소설이 고분자 물질에 쏙!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허프만 알고리즘●을 통해 632자리의 2진법 숫자로 변환했어요. 즉, 소설의 구절을 0과 1로만 이루어진 632자리의 숫자로 바꾼 거예요. 그리고 이 숫자를 더 압축하기 위해서 16진법 수로 바꾸고, 16진법에 쓰이는 16개의 숫자를 각각 서로 다른 질량을 가진 16종류의 고분자 물질에 대응시켰 ...
이전2762772782792802812822832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