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의 이웃사촌 익룡과 어룡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길이가 몸의 길이보다 더 길다. 이 골즐은 어떤 용도로 쓰였을까. 공기역학적으로 볼 때
하늘
을 날면서 방향을 조정하는 방향타 구실을 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브라질의 산타나지층에서 발견된 안행구에라(Anhanguera)와 트로페오그나투스(Tropeognathus)는 골즐이 주둥이 앞부분에 발달해 있다. 이 ... ...
병 속에 담은 배와 비행기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주스병 속에 바다와
하늘
을 만든 후 종이로 만든 구름과 배.그리고 비행기를 띄워보자.왜그럴까?모든 분자들은 그 분자의 전기적 성질에 따라서 극성분자와 비극성분자로 나뉜다. 분자가 극성결합으로 이루어지면 분자내의 전자 분포가 달라진다. 분자 내에서 (+)전하를 띠는 부분과 (-)전하를 띤 ... ...
2. 슈퍼금속들의 화려한 변신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가능하게 한 비행기는 많은 부분이 철계 합금보다 비싼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뤄진다.
하늘
에 떠야 하므로 가벼우면서 강한 합금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만약 알루미늄 합금이 등장하지 않았다면 어땠을까. 육중한 몸체를 띄우기 위해 엄청난 힘을 지닌 엔진과 많은 연료를 필요로 했을 것이다. ... ...
지구는 얼마나 클까?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것은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것이다.2월 15일 전후로 저녁 9시 경에 남쪽
하늘
을 나타낸 그림이다. 위도가 37도 34분인 서울에서는 카노푸스가 지평선 아래에 있어 볼 수 없지만 위도가 33도 15분인 제주도의 서귀포에서는 바다 위 4도 높이에 살짝 떠 있는 카노푸스를 볼 수 있다.해보기 2. ... ...
달의 바다가 어둡게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이 동쪽 지역은 보름 직후에 관찰하는 것이 좋다.■ 월령 4일-6일달은 일몰 때 남서쪽
하늘
높이 올라와 있다. 4일 경에는 ‘위기의 바다’와 ‘풍요의 바다’가 환히 빛나며 ‘감로주의 바다’도 드러난다. 남쪽 가장자리에서 거대하고 내부가 복잡한 크레이터 얀센(지름 1백90km)과 길이가 1백80km, ... ...
전통민속놀이로 배우는 과학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바람을 타거나 바람이 없으르 때는 뛰면서 연을 살짝 띄운다.이때 실을 감으면 연은 점점
하늘
로 온라간다.2.연의 위아래 위치를 바꾸는 방법이 있다.연실을 게다가 얼레의 머리 방향을 앞으로 내밀어 짧은 시간에 많은 줄을 풀어주면 된다(튀김).갑자기 줄을 풀면 양력이 순간적으로 사라져 중력에 ... ...
공룡은 멸종하지 않았다. 지금도
하늘
을 날고 있을뿐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새의 조상으로 알려진 시조새는 공룡과 어떤 관계일까.최근의 연구결과는 두발로 걷는 공룡으로부터 시조새가 진화했다는 점을 강력하게 시사하고 있다.두발 보행 ... 공룡은 오늘날에도 포유류보다도 더 많은 종(種)을 가지고 중생대에 육지를 지배했듯이
하늘
을 지배하고 있는 것이다 ... ...
1월 1일 0시의 자오선 찾기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2003년 8월 하순에는 물병자리 속에서 15년마다 생기는 대접근 현상을 보여준다. 이때는 전
하늘
에서 가장 밝게 빛나고(-2.9등급) 겉보기 크기도 토성보다 커서(25.1초) 작은 망원경으로도 화성의 표면 모습을 자세히 볼 수 있다. 5. 수성과 금성의 태양면 통과(수성 2003년 5월 7일, 금성 2004년 6월 8일 ... ...
Ⅲ. 민속학/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퍼져나간 보편적인 신앙임을 암시한다. 솟대의 발생은 이른바 우주나무(Cosmic Tree)와
하늘
새(Sky-Birds)의 결합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우주나무가 뚜렷한 하나의 신앙 관념으로 자리잡고 강화되는 것은 북아시아 샤머니즘의 수직적 우주관과 관계된다. 곧 각 우주층을 연결시킬 수 있는 ... ...
용, 아홉가지 동물의 키메라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주부들이 물동이를 이고 서로 먼저 우물에서 물을 긷기 위해 경쟁한다. 상진일 새벽에
하늘
에 사는 용이 내려와 우물 속에 알을 낳는데, 가장 먼저 이 우물물을 떠다 밥을 지으면, 그 해에 운수가 좋고 풍년이 든다고 한다. 올해 경진년은 공교롭게도 음력 1월 1일(양력 2월 4일)의 일진이 임진(壬辰 ... ...
이전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