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d라이브러리
"
태양
"(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러시아 유인 달 선회 비행 L-1 계획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결과 소유즈의 3개 모듈중 궤도모듈과 비상사태를 대비한 여분의 추진장치가 제거됐으며
태양
전지판의 크기도 줄어들었다. 그 대신 복잡한 대기 진입법을 실현할 자동항법장비와 자세조정 엔진이 부가됐고 하강모듈에는 진입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열을 견딜 수 있도록 방열막이 강화됐다.1967년 ... ...
중학생 30개팀 토론축제 한마당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물이 존재할 조건과 그때 물의 상태를 묻는 지구과학 문제를 발표했다. 지구 이외의
태양
계 행성에 물이 있을 가능성과 상태를 꼼꼼히 다뤄 좋은 평가를 받았다. 또 인천과학영재팀은 진바모노팀이 구름이 일정한 높이에 떠있는 이유 문제를 발표했을 때 반론을 맡아서 끝까지 물고 늘어져 관객들의 ... ...
태양
빛 이용해 나서는 달 탐사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지수 스위스 취리히의 천문대장 R 볼프가 고안했기 때문에 볼프 상대흑점수라고도 한다
태양
면 위에 g개의 군으로 분리된 f개의 흑점이 관측될 때, 상대흑점수 R는 R=k(10g+f)로 정의된다 형태와 구조면에서 거의 같은 염색체가 있어 쌍을 이룰 수 있는 염색체 감수분열에서 상동염색체가 접합하면 그 ... ...
1 태풍잡는 사나이로 변신한 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빔 사이를 비행기가 지나간다면 어떻게 될까. 이 문제는 마이크로파 빔을 쏘아주는 우주
태양
광발전소의 레이더가 이를 탐지해 비행기가 완전히 지나갈 때까지 빔을 정지시키는 것으로 해결된다.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날씨 제어의 또다른 문제는 지구 위 저 높이 떠있는 위성이 그런 강력한 ... ...
전갈의 심장에서 찾은 최고령 행성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벗어났고, 행성의 원래 별은 나이를 먹어 백색왜성이 됐다. 현재 이 행성은 우리
태양
에서 천왕성이 위치하고 있는 거리 정도에서 중성자별과 백색왜성을 돌고 있다.최고령 행성과 별은 처음 중성자별을 만났을 때 또다른 동반별과 경쟁을 벌였던 것이다. 마치 전갈자리의 안타레스처럼. 안타레스 ... ...
열대 무더위에 견디도록 단련된 인체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인간은 나름대로 잘 적응하며 살고 있다. 사막의 사람들은 옷으로 온몸을 덮어 작열하는
태양
을 막는다. 그런데 이 옷은 마치 천을 둘러쓴 것처럼 헐렁하다. 땀이 쉽게 증발하게 하기 위함이다.사람이 진짜 견디기 어려운 곳은 따로 있다. 고온다습한 환경에서는 40℃가 채 안되더라도 몸이 땀으로 ... ...
뉴기니와 아즈텍의 엽기적 식인 풍습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뜨고 지는 주기를 반복하기 위해 인간 제물을
태양
신에게 바쳐야 했는데, 여기서는 특히
태양
이 떠오르면서 별들을 먹듯이 인간도 같은 인간을 먹어야 생명을 유지할 수 있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장례 의식에서는 가까운 친족 관계에 있는 고인의 영혼과 함께 한다는 믿음이나 그에 대한 애도 또는 ... ...
48시간 동안만 재생되는 일회용 dvd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약 111광년의 거리에 있는 최근성(最近星)의 하나 실시연성(實視連星)이며 84AU 떨어진
태양
의 반 정도의 질량을 가진 적색왜성으로 약 750년 주기로 공전하고 있다 백조자리 61번성은 1792년 당시부터 주목되었다 1976년 소련의 드브나 원자핵연구소의 유(Yu), 오가네시안 등이 발견해 보고한 초우라늄 ... ...
밀양 얼음골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반대로 이곳 산세는 상공을 지나는 더운 대기를 잘 받아들이지 못한다. 또한 낮 동안
태양
의 복사에너지로 데워진 공기가 얼음골에 머무르지 못하게 해준다. 따뜻한 공기가 가벼워 차가워진 얼음골로 들어오지 못할 뿐더러 이곳에서 생겨난 더운 공기도 금새 상승해버리기 때문이다.주변 산세와 ... ...
실험실에 떠오른 목성과 무지개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한쪽에서는 비가 오거나 공기 중에 물방울이 떠있으며, 다른 한쪽에는 햇빛이 날 때
태양
을 등지고 서면 반원형의 무지개를 볼 수 있다. 공기 중에 떠있는 수천-수만개의 작은 물방울은 프리즘 역할을 한다. 빛이 물방울을 통과한 후 여러가지 색깔로 분리돼 나타난 것이 바로 무지개다.검은 ... ...
이전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