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척
진전
전진
과정
진출
진보
순서
d라이브러리
"
진행
"(으)로 총 8,613건 검색되었습니다.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세계여행 가장 싸게 하는 이동 경로는? 외판원 문제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도시 n개를 단 한 번만 방문하고 출발점으로 돌아 오려고 한다. 한 도시에서 다른 도시 사이의 거리가 모두 정해져 있을 때 최소 비용이 드는 이동 경로는 무엇일까?’ 문제만 봐서는 안 어려워 보이지만 ‘최소 비용’이라는 말 때문에 외판원 문제를 해결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아주 좋은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우리집 라돈 프로젝트, 실내 공기를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어떻게
진행
됐을까?우리집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라돈 프로젝트는 지난 3월부터
진행
됐어요. 30가정을 선발하는데 100가정이 지원할 만큼 관심이 뜨거웠지요.자연방사성 물질 라돈은 토양으로부터 실내로 들어와요. 공기 중을 떠돌다 숨을 쉴 때 폐로 들어가 폐암을 일으키지요. 라돈은 ... ...
[과학뉴스] 지진 규모 예측할 단서 찾았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발생할지는 예측하기 어렵지만, 특정 지점에서 단층이 파열되는 현상을 포착하면 이후
진행
양상에 대해서는 예측할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이번 연구에서 맨-앤드린 메이어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지진연구소 연구원팀은 100개 이상의 지진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에너지가 방출되는 속도를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에글리 교수는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미탈리포프 연구팀은 유전자 교정을
진행
한 6개 배아줄기세포주 중 2개에서만 부계 유전자가 존재함을 보였다”며 “연구팀이 처녀생식의 가능성을 배제하고 데이터를 해석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에 대한 미탈리포프 ... ...
Part 4. 아쿠아 맨의 삼지창 초속 100m 초공동 어뢰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초공동 어뢰는 초기 속도가 초속 70~100m로 빠르기 때문에 해류 같은 장애물을 만나면
진행
경로가 급변하는 문제도 심각하다. 도로의 속도 방지턱을 넘을 때 빠르게 넘으면 느리게 넘을 때보다 더 심하게 덜컹거리는 것과 같은 이치다. 환기법을 적용하면 초반에 어뢰의 자세를 제어하는 데 도움이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대부분 LMB에서 나왔다. 그리고 더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한 개선 작업은 여전히 현재
진행
형이다. 헨더슨 박사는 70을 넘은 나이에도 여전히 쉬지 않고 일하면서 이 개선 작업에 참여하고 있다. 필자는 매일 복도를 열심히 뛰어다니는 그의 모습을 본다. 헨더슨 박사의 노벨상 수상 발표일 저녁 ... ...
[Career] 에너지 정책의 충분조건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수립의 충분조건허 교수는 에너지 사용 시 소비자의 반응을 조사하고 분석하는 연구도
진행
하고 있다. 허 교수는 “에너지 효율도 중요하지만, 소비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 제품을 생산하는 일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허 교수팀은 이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소비자가 어느 ... ...
[게임카페] 뒤섞인 사진 조각을 맞춰라! 슬라이딩 퍼즐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
Part 5. 숲 속의 다람쥐는 언제쯤 돌아올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토양이 얼마나 쓸려 나가는지 측정하는 틀. 토양이 많이 쓸려나갈 경우 인공 복원을
진행
한다.인공 복원은 한 종의 나무만 심기 때문에 돌아와 살 수 있는 동물의 종도 다양하지 않아요. 반면 자연 복원은 그 환경에만 맞으면 어떤 식물도 들어와 살 수 있어요. 그럼 자연스럽게 동물들도 다양한 종이 ... ...
Intro. [프리미엄 리포트] 2017 노벨과학상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수상에 실패(?)했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현재 특허권을 둘러싸고 법적 분쟁이
진행
중이다.특허권 분쟁은 기술 발명의 우선권에도 초점이 맞춰져 있어 최초 발견을 중시하는 노벨상 심사 기준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4년 연속 노벨상 수상자가 나올지 관심을 모았던 일본은 3년 연속 수상에서 ... ...
이전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