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환기
싸이클
순환
자전거
주파수
사이클
과하기
d라이브러리
"
주기
"(으)로 총 3,896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인구 반 이상이 심령 현상 경험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현상이다. 시끄러운 소리를 내는 장난꾸러기 유령인 폴터가이스트(poltergeist), 특정장소에
주기
적으로 유령이 출몰하는 현상(haunting) 등의 연구도 포함된다. 초기의 심령연구가들은 유령을 사람이 죽은 뒤에도 영혼이 살아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초심리학의 연구대상에 ... ...
물리학의 한계에 도전하는 반도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반도체는 컴퓨터 혁명을 주도하고 있는 '신의 손'마이다스다. 또 산업을 움직이는 두뇌이기도 하다. 반도체는 크게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비메모 ... 것이다. 제자들이 대기업 사원이나 학자가 되기보다는 특허를 바탕으로 벤처기업을 일궈
주기
를 바라는 강상원 교수의 바람이 담겨있다 ... ...
② 수소 발견 이야기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부분적으로 인정을 받게됐다.돌턴의 원자량비나 프라우트의 원자가설, 그리고 모즐리의
주기
율표까지 물질의 근본을 규명하려는 화학의 논의에는 항상 수소가 중심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점은 더 이상 나눌 수 없다는 기본 입자라고 여겨졌던 원자가 깨져 원자 이하의 세계가 알려질 때도 ... ...
1999년 인류 종말은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그러나 점성술에서는 모르지만 천문학적으로는 전혀 특이한 일이 아니다. 행성들의 공전
주기
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어느 순간에는 각각의 행성들이 놓여있는 모양이 십자가 모양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나 행성들의 공전은 우주공간에서 보면 매우 느리기 때문에 이러한 배치가 어느 날 ... ...
겨울 대삼각형과 오리온의 사냥개들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지금은 시리우스B로 불리는 이 별은 가장 잘 알려진 백색왜성으로 시리우스를 50년
주기
로 돌고 있다. 이 백색왜성은 쌍안경으로도 충분히 볼 수 있는 밝기이나 시리우스의 광채에 가려져 보기가 어렵다. 현재는 시리우스와 약 4.5초 떨어져 있지만 2020년에는 11초 이상 떨어져 작은 망원경으로도 쉽게 ... ...
알코올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식욕이 증가하고 행복감을 느끼며 자신감이 생긴다. 평소하지 못하던 말을 할 용기를
주기
도 한다. 이 때의 혈중 알코올 농도가 대략 0.03-0.05% 정도다. 알코올 농도 0.05%는 대략 체중 70kg의 남자가 소주 3분의 1병(120mL)또는 맥주 2캔(600mL)을 30분 이내에 마신 정도의 양인데, 우리나라에서 음주단속의 ... ...
산과 염기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나무를 태운 재를 뿌려 주는 것도 잿물로 흙을 중화시키고, 필요한 알칼리 이온을 공급해
주기
위해서다. 역시 염기성인 암모니아나 석회를 뿌려주는 것도 같은 이유다. 간단한 화학 상식으로 환경도 보호하고, 자원을 아끼며, 생활에 도움을 얻을 수 있는 예들이다.유적 갉아먹는 산성비석회석으로 ... ...
멘델레예프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869년 '원소
주기
율표'를 만들어 근대 화학의 수준을 한단계 높인 과학자 멘델레프. 그가 위대한 화학자로 성장할 수 있었던 최초의 계기는 '죽음을 불사'하고 아들의 교육에 열을 올린 어머니의 노력이었다.멘델레프는 러시아 시베리아에서 16형제의 막내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여자가 ... ...
밤하늘의 등대 변광성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먼 은하까지의 거리를 알려고 한다면, 그 은하 안에 있는 세페이드형 변광성을 찾아내
주기
를 구하고, 겉보기 등급을 측정함으로써 그 별이 속해 있는 은하까지의 거리를 잴 수 있는 것이다. 이렇듯 변광성은 우주의 깊이를 알려주는 거리측정자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 ...
④ 동물들의 잠버릇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깊은 동면 상 태에서조차 뇌가 완전히 활동을 정지한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뇌가
주기
적으로 활동을 하면서 이 동면 상태를 능동적으로 조절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겨울잠을 자던 동물은 때가 되면 깨어 날 수 있다. 뇌의 활동에 의해 체온이 조절된다는 이 점이 바로 포유류나 조류가 곤충과 ... ...
이전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