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d라이브러리
"
존재
"(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단백질 지도사업 이끈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단백질을 찾아 낸 것은 연구진이 10여 년간 축적한 기술 덕분이었다.[혈액 안에 소량으로
존재
하는 단백질을 찾으려면 우선 혈액 시료를 분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알부민’처럼 양이 많은 단백질을 제거한 뒤 남은 단백질 중에서 원하는 걸 찾는 것이다.]암이 발생한 환자의 간 조직에서 이 ... ...
화학 - 생명의 근원 ‘물’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지구의 생명은 바다에서 탄생한 것으로 본다. 외계 행성에서 생명체의 흔적을 찾을 때 먼저 물이
존재
하는지 살펴보는 것도 물이 생명체에 필수적인 물질이기 때문이다. 다음에서 설명하는 물의 특이한 성질을 참고해 실전 문제에 임해보자. ...
지구과학 - 쌍성의 별빛 관측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우주에는 태양과 같이 단독으로
존재
하는 별보다 두 별이 서로 마주보고 공전하는 쌍성의 형태로
존재
하는 별이 훨씬 많다. 이번 호에서는 쌍성의 별빛 관측으로부터 별의 질량과 광도 및 온도 정보를 얻는 과정을 학습한다. ...
수학 논문으로 꿈을 이룬다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지구 밖으로 행군하라(한비야 저)’ 의 일부라고 말했다. “그 책 중에 ‘씨앗이란
존재
만으로도 사람을 살게 하는 힘이다’ 라는 구절이 있어요. 앞뒤 내용을 조금 설명하자면, 사실 그 씨앗은 비가 오지 않는 척박한 땅에 심겨진 씨앗이에요. 결국 싹은 틔우지 못했죠. 애초에 씨앗을 싹 틔울 수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해양식물의 조직을 구성하는 원소는 질소와 인, 철이다. 이 중 철은 바다에 미량으로
존재
한다. 식물 조직은 철 원자 1개마다 탄소 원자 10만 개가 반응해 만들어진다. 바다에 철을 충분히 공급한다면 해양식물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엄청난 양의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 1994년부터 15년 동안 약 12번의 ... ...
과학자를 매료시킨 '상상의 동물학'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경이로움을 찬미하는 시인이 된 주인공. 작가의 자전적인 성격이 짙은 이 소설은 현실에
존재
하지 않는 대상에 대한 동경과 환상으로 가득하다.200년 전 독일 청년을 시인의 길로 이끈 건 신비로운 식물에 대한 환상이었지만, 신비로운 동물에 대한 상상력은 20세기의 동물학자를 화가로 만들었다. ... ...
집게냐 손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달린 그런 기계 말입니다.하지만 아무리 업그레이드를 해도 집게가 가진 한계는
존재
합니다. 정해진 크기의 물건을 정해진 위치에서, 정해진 힘으로 집어 옮기는 일은 완벽하게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물건의 크기나 형태, 재질과 상관없이 잡을 수 있는 만능 로봇손을 만드는 것은 현재의 ... ...
통합과학 논술 - 수분 포텐셜이 일어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다시 체내로 흡수한다. 수분의 이동은 수분 포텐셜의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자연계에
존재
하는 모든 생물체 내에서 물분자는 수동 확산에 의해서만 이동할 수 있고 능동 수송은 되지 않는다. 그리고 물분자의 효율적인 확산을 위해 아쿠아포린이라는 막단백질이 있다. 근위세뇨관과 원위세뇨관 ... ...
Facebook, for social lives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네트워크를 봤다면, 저커버그는 사람들의 네트워크를 발견했다. IT는 그에게 투명한
존재
였던 것이다.페이스북은 사진공유 서비스에서 경쟁을 시작했다. 그러나 그 기능은 매우 미비했다. 사진 해상도는 낮았으며, 편집 기능은 제한적이었다. 그것은 마치 총싸움에 칼을 들고 뛰어든 것과 같았다. ... ...
Part3. 모노폴_극이 하나뿐인 자석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모노폴은 아니다.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이지만 여전히 한 결정 안에 N극과 S극이 쌍으로
존재
하기 때문이다. 아직 모노폴 추적은 끝나지 않았다. 그렇다면 이제는 어디에서 진짜 모노폴을 찾아야 할까. 물리학자들은 우주 어딘가에 있을지 짐작도 하기 어려운 모노폴을 찾는 대신 이를 직접 ... ...
이전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