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과 과학은 영원한 찰떡궁합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쭉 뻗어나간다. 포물선의 기하학 원리를 이용해 사방으로 퍼지지 않고 직선으로 나가는
빛
줄기를 만드는 것이다. 호흡이 척척 맞는 찰떡궁합으로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수학과 과학. 이 둘의 밀접한 관계는 수백 년 전부터 시작되었지만 앞으로 언제까지나 계속될 것이다. 영원한 미스터리인 자연과 ... ...
허블, 새로운 눈으로 우주를 담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것이라는 추측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는 이유다. 글 이영혜 기자 yhlee@donga.com 우주의
빛
을 낚는 고해상도 카메라허블우주망원경은 발사된 이래 5번의 수리작업을 거쳤다. 핵심 부품인 카메라와 광학장치 교체가 주 목적이었다. 허블우주망원경은 발사 당시 광시야행성카메라(WFPC)를 장착했지만 ... ...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있었다. 머리카락 두께의 50분의 1 정도를 잘못 가공한 것이다. 결국 반사경의 초점에
빛
이 모이지 않아 또렷한 상이 맺히지 않았다. 반사경의 정밀도는 허블우주망원경의 한계를 결정하는 핵심요인이기 때문이다.“반사경을 깎는 장치에 프로그래밍 오류가 있었어요. 음수부호가 들어갈 부분에 ... ...
빅뱅 직후 우주에는 쿼크가 흘렀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충돌한다. 중이온가속기 앞에 ‘상대론적’이란 수식어가 붙은 이유는 물체(중이온)를
빛
에 가까운 속도로 가속시킬 경우 상대론적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즉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매우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는 진행 방향으로 길이 수축이 일어난다. 따라서 입자의 부피가 줄어 ... ...
화성 대기 사라지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상호작용하는 독특한 물질의 소용돌이(CIRs)들이 있다.태양풍은 헬멧 모양의 코로나
빛
(광휘)에서 나오는 느린 태양풍과 코로나 구멍에서 직접 나오는 빠른 태양풍으로 이뤄진다. 이들은 상호작용하기도 하고 서로 부딪히기도 하면서 다양한 기류를 형성한다. 빨리 움직이는 기류가 천천히 움직이는 ... ...
부끄러울 때 쥐구멍에 숨고 싶은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실제로 우울증에 걸린 환자들 중에는 옷장 속으로 들어가는 일이 있다. 이들은 밝은
빛
도 외부 자극으로 여기고 머리를 감싸고 웅크린 자세를 취한다.전문가들은 이를 ‘일종의 정신적으로 퇴행된 상태’로 본다. 양 원장은 “웅크린 자세가 엄마 자궁 속에 머물렀을 때의 편안한 기억을 떠올리게 ... ...
썩어도 특별한 맛 참돔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박혀 있는 청록색의 반점 역시 피부 색소 덕분이다. 피부에 있는 청록색 색소 층이
빛
을 반사해 색을 띤다. 전문가들은 참돔이 청록색 반점으로 서로를 알아볼 수 있다고 추측하고 있다 ... ...
이중 암호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사용되는데 이건 초록색을 띠지. 산화코발트 속의 불순물을 초산으로 녹인 것은 붉은
빛
을 띠고. 이와 같은 색은 그것을 쓴 원료의 열이 식으면 시간의 차이는 있지만 모두 사라져버리고 거기에 열을 가하면 다시 나타나지. - 애드가 앨런 포의 ‘황금벌레’ 중에서 미국 남부의 설리반 섬에서 조개나 ... ...
아폴로 박사 조경철을 그리며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다녔는데 산을 파는 공사를 반대하던 어르신들에게 ‘천문대는 말뚝을 박는 곳이 아니라
빛
을 모으는 곳’이라며 설득하시던 모습이 아직도 눈에 선하다”고 말했다.또 “조 박사는 2035년 개기일식이 일어나는데 평양에서만 보일 것 같아 안타깝다는 말씀을 자주 하셨다. 자신이 죽으면 굴착기로 ... ...
전자의 또 다른 얼굴 ‘스핀’으로 정보 쌓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장비가 부족해서였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기초 학문을 기반으로 아이디어를 강화시킨 게
빛
을 본 것 같아요.” 김 교수는 열악한 연구 환경이 오히려 전화위복의 계기가 됐다고 회상했다. 하나의 학문적인 아이디어를 실험으로 증명하고, 그것을 실제 기술로 만들어가는 전체 과정의 좋은 예시가 ... ...
이전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