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질"(으)로 총 8,1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수학 산책 마이클 아티야의 수학 세계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섬세한 방정식을 캠브리지 대학의 폴 디랙이 발견했다. 디랙 방정식은 놀랍게도 반물질의 존재도 예측하기 때문에 당연히 20세기 과학의 가장 중요한 방정식 중 하나다.물론 아티야와 싱어가 처음 지표정리를 증명할 1963년 당시에는 디랙 방정식을 사용하지 않았다. 하지만 1970년대에 훨씬 섬세한 열 ...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염기서열을 분석해서 벌레가 먹고 죽게 되는 특정 부분만 빼내지. 그리고 그 유전물질을 일반 옥수수의 유전자에 넣어 발현시킨 뒤 키우는 거야. 그러면 해충에 강한 옥수수로 자란단다. 옥수수에 넣은 살충효과 단백질은 알칼리성인 곤충의 장내에서 활성화돼서 소화불량을 일으켜. 반면 산성인 ... ...
- INTRO 위성 요리사를 위한 7가지 레시피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태어날 때는 주위에 남은 가스와 먼지 물질이 가득하다. 비록 중력권 밖일지라도,이렇게 물질이 많은 구간을 지나는 소천체는 마찰력으로 에너지를 잃고 행성에 끌려들어간다. 가스나 먼지, 우습게 보면 안 된다.행성이 태어난 뒤 점점 커진다. 그에 따라 중력이 영향을 미치는 구간도 넓어진다. ... ...
- 화성 동토층에도 미생물이 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액체가 존재한다는 사실도 알게 됐다. 만일 이 액체가 엔셀라두스 남극에서 방출된 물질과 같은 성분이라면, 지표면에 물로 구성된 바다가 있다는 뜻이다. 언젠가 엔셀라두스를 탐사할 탐사선이 만들어진다면, 원자력 에너지를 이용해 얼음을 뚫고 들어가 바다 속을 탐험하는 잠수함이 될 것이다.2 ... ...
- 공부의 적❷ 스마트폰 공부를 잘하려면 스마트폰을 버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중독되냐고? 스마트폰에 집중하면 뇌에서 행복하고 만족한다고 느끼게 하는 신경화학물질인 도파민이 계속 분비돼. 이 도파민은 정확하게 판단하고 충동적인 생각이나 활동을 조절하는 뇌의 전두엽을 계속 자극하면서 전두엽의 기능을 떨어뜨리지. 전두엽이 제 기능을 못하게 되면서 뇌가 ...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밝혀졌다. 특히 남한 면적의 80%에 달하는 넓은 바다가 있으며, 여기 에 인, 황, 칼륨 같은 물질까지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도 알게 됐다. 모두 생명체를 구성하는 중요한 원소들이 다. 과학자들은 이런 환경이라면 미생물과 같은 생명체 가 살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110쪽 ... ...
- “볼펜부터 휴대전화까지, 화학이 없는 곳이 있던가요?”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등에서 백신 연구를 주도하고 있어요. 신약도 가능합니다. 단백질 계통 신약과 화학물질 계통 신약으로 나뉘는데, 우리 학부에는 단백질, 미생물, 효소를 연구하는 교수들이 다 계세요. 다만, 요즘은 백신이나 신약을 한 연구진이 단독으로 개발하지 않고 공동연구를 합니다. 신약의 경우 약 20개 ... ...
- 김주황의 악당예찬3 - 지구 자기장의 2800만 배 파워 매그니토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가진 ‘아이스맨’은 매그니토의 능력을 한 단계 더 올려줄지도 모른다. 일반적으로 물질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자성을 잃게 되는데, 아이스맨은 거꾸로 온도를 내려주기 때문이다. 뮤턴트를 위해 싸우는 악당 리더 매그니토와 아이스맨의 이야기. 5월이 기대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슈퍼 ... ...
- 태초에 빅뱅이 없었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있었다는 것인데, 그 자체가 바로 결함이라는 뜻이다. 상식적으로도 엄청난 양의 물질이 크기가 0인 공간에 갇힌다는 것은 상상하기 어렵다. 일반상대성이론과 우주론이 활발하게 전개되던 1900년대 초, 사람들을 가장 당혹스럽게 했던 것도 특이점이었다. 물론 빅뱅이론을 뒷받침하는 관측 결과가 ... ...
- 투명망토로 지진파 돌려보낸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둘러싸 빛이나 소리, 진동과 같은 ‘파동’의 흐름을 조작하는 게 핵심이다. 메타물질을 이용하면 에너지를 줄이거나 방향을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자블로 교수팀은 이 현상을 지진에 응용했다. 먼저 2012년부터 프랑스 그르노블 지역 인근 한 고산 지대에서 폭약을 이용해 인공 지진파를 일으켰다. ... ...
이전2762772782792802812822832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