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통
총체
보편
전반
일반담보
담보
일반심리학
d라이브러리
"
일반
"(으)로 총 6,528건 검색되었습니다.
NASA 극초음속기 음속 10배 돌파
과학동아
l
200412
초간의 단독비행에 성공한 뒤 1290km 떨어진 태평양 해상에 떨어졌다.X-43A의 램제트 엔진은
일반
제트엔진과 달리 회전날개가 없이 연소실에 공기를 직접 불어넣어 수소와 반응시키는 방식. 기체 안에 수소와 산소를 모두 탑재할 필요가 없어 안전하고 탑재중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게 NASA측 ... ...
기름기 많이 먹으면 머리 나빠진다
과학동아
l
200412
미국 사우스 캐롤라이나의대 안-샬롯테 그랜홀름 박사팀은 쥐를 대상으로 한쪽은
일반
사료를, 나머지는 고지방 사료를 8주간 먹였다. 그 뒤 이들을 물 속에 빠뜨려 땅으로 올라오는 발판을 찾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했다. 그 결과 고지방식을 한쪽이 실수가 잦아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것으로 ... ...
500층에 도전하는 초고층 빌딩
과학동아
l
200412
초고층 건물의 구조대나무처럼 내부가 비어 있는 튜브 구조(왼쪽)는 초고층 건물의 가장
일반
적인 형태다. ‘RC코어와 타워형 철골조’ 구조는 수평 무게를 견디기 위해 허리띠처럼 벨트 트러스를 설치했다. 타워팰리스 아파트에 적용된 구조다 ... ...
우주에서 보낸 '핼러윈 데이'의 메시지
과학동아
l
200412
전 한국에 상륙해 최근에는
일반
인들에게도 친숙해진 ‘핼러윈 데이’. 매년 10월 마지막날이 오면 서양에서는 호박 속을 파서 만든 등불을 밝히고 귀신, 마녀, 해적 등으로 분장한 채 가장 무도회를 펼친다.핼러윈 데이는 고대 켈트족의 삼하인 축제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2500여년 전 켈트족의 한 ... ...
가뭄·냉해 잘 견디는 감자와 고구마
과학동아
l
200411
삽입해 유전자조작 작물을 만들었다. 이어 이 작물을 가뭄, 냉해 등 이상기온 조건에서
일반
작물과 비교해 재배한 결과 감자는 환경 스트레스와 고온에, 고구마는 산화 스트레스와 저온에 모두 강한 내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개발된 작물은 농촌진흥청 고랭지 ... ...
3. 첨단 나노기술로 웰빙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11
수화젤은 흔히 먹는 두부나 도토리묵을 연상하면 된다. 그런데 여기에 쓰이는 수화젤은
일반
상식과는 반대되는 특이한 성질을 보인다. 즉 저온에서는 물 같은 액체이다가 온도가 올라가면 젤로 엉기는 것이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설탕처럼 물에 작 녹는 분자는 친수성이라고 부르는 반면 ... ...
2004 엽기 노벨상
과학동아
l
200411
글자인 ‘이그’ (Ig)를 노벨상과 합성한 말. 미 하버드대의 과학잡지(AIR)가 과학에 대한
일반
인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1991년 제정했다. 올해 시상식은 9월 30일 하바드대에서 열렸으며 배꼽 잡는 주제는 물론 세태를 비꼬는 내용도 담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04 노벨상 따라잡기 01. ... ...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과학동아
l
200411
탄생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 BT이나 NT 역시 현재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분야라
일반
인은 물론 과학자조차도 최신 연구결과를 제대로 따라가지 못하는게 현실이다. 그런데 이제 NBT라니….그러나 둘의 만남은 예상된 일이었다. 생명체의 기본단위인 세포 속에서 일어나는 활동의 거의 전부가 나노 ... ...
숨 못 쉬는 조산아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411
깨끗한 피가 들어와 몸을 순환한 다음 동맥으로 나간다. 태어난 후 곧바로 정맥과 동맥이
일반
성인처럼 바뀐다.태자의 제대동맥과 제대정맥을 체외순환 회로에 연결한다. 몸안의 혈액을 몸밖으로 빼냈다가 다시 몸안으로 넣는 과정을 체외순환이라고 한다. 그런 다음 태자를 곧바로 인공양수가 ... ...
그의 뇌와 그녀의 뇌는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11
다르다. 이런 해부학적 차이를 ‘성적 이형’(sexual dimorphism)이라고 한다. 남성의 뇌는
일반
적으로 여성의 뇌보다 15-20% 더 크다. 그러나 눈 바로 뒤에 있는 대뇌피질의 신경세포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오히려 11% 가량 더 많다. 이는 언어나 음악의 높낮이를 구별하는 능력과 관계가 있다. 3차원 공간을 ... ...
이전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