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기
파악
쥐기
스페셜
"
포착
"(으)로 총 308건 검색되었습니다.
50년 전 달에서 온 크리스마스 선물
동아사이언스
l
2018.12.25
50년 전 12월 24일, 미항공우주국(NASA) 소속 아폴로 8호 우주비행사 윌리엄 앤더스가 찍은 '지구돋이'. -NASA 제공 ‘지구돋이(Earth rise)’. 미항공우주국(NASA) ... 우주비행사들은 볼 수 있었다. 윌리엄 앤더스가 찍은 다른 사진. 지구가 떠오르는 장면을 잘
포착
했지만 멋있지는 않다. -NASA 제공 ... ...
[표지로 읽는 과학] 2018년을 빛낸 획기적 연구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18.12.22
있다. 세포 속 RNA 전사체들은 유전적 기법으로 표시해 초기 수정란(배아)의 발달 과정을
포착
한 것이다. 세포 속 핵에는 염색체와 히스톤 단백질이 뒤섞여 뭉친 상태로 존재한다. 생명 현상이 진행되려면 히스톤 단백질의 특정부위에 아세틸기가 붙어 염색체가 풀려야한다. 염색체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결정하고 그 결과 수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얘기다. 수정이 일어나려는 찰라를
포착
한 사진이다. 정자 꼬리 표면에 분포한 후각수용체가 활성화돼야 정자가 활발히 움직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위키피디아 제공 버터의 풍미를 아는 혈액세포 피에는 다양한 종류의 혈액세포가 있는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잃어버린 물질을 찾아서
2018.07.03
멀리 떨어져 있고 필라멘트 영역조차 물질의 농도가 희박해 여기서 나오는 신호를 직접
포착
할 수 없다. 따라서 가시 물질 가운데 상당 부분이 은하간공간의 필라멘트에 있을 것임에도, 볼 수 없기 때문에 최근까지도 그 존재는 추측에 그쳤다. 이탈리아 국립천체물리학연구소가 주축이 된 다국적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호킹의 말로 되돌아본 그의 삶
과학동아
l
2018.04.11
1969년 당시 미국 메릴랜드대 조지프 웨버는 알루미늄관을 안테나로 사용해 중력파를
포착
했다고 주장했다. 호킹은 웨버의 놀라운 주장을 검증하기 위해 지도학생과 함께 중력파 분출 탐지의 이론을 논문으로 쓰기도 했다. 그는 더 민감한 탐지기를 설계해야한다고 제안하며 실험 장소를 물색하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투(문신)가 지워지지 않는 이유
2018.03.27
즉 혈관 속을 돌던 단핵세포(monocyte)가 주변 조직에서 대식세포가 부족하다는 신호를
포착
하면 혈관을 빠져나와 대식세포로 분화해 빈자리를 메우는 것이다. 한 달이면 표피가 싹 바뀜에도 늘 같은 피부로 보이는 것처럼, 진피에서 이런 다이내믹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에도 문신은 그대로인 ... ...
태초 특이점,블랙홀 이론...스티븐 호킹이 남긴 학문적 업적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연구는 블랙홀이다. 호킹은 특이점을 수학적으로 증명했으나 여전히 빅뱅의 순간을
포착
할 수는 없었다. 그래서 자연히 우주에 존재하는 블랙홀로 그의 관심이 옮겨 갔다. 특이점의 상황이 블랙홀에 중심에서 벌어질 것으로 예측됐기 때문이다.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
2017.12.12
당겨졌다. 그러나 21세기 들어 이런 상승세가 꺾였음을 보여주는 징후들이 곳곳에서
포착
되고 있다. 학술지 ‘생리학의 경계’ 10월호에는 ‘우리는 호모사피엔스의 한계에 도달했나?’라는 제목의 리뷰논문이 실렸다. 스포츠바이오의학역학연구소 등 프랑스 여러 기관의 공동연구자들은 21세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
2017.10.17
약물 치료를 받았을 때 부작용에 대한 노세보 효과가 더 큰 이유를 설명하는 뇌의 활동을
포착
했다. 이에 따르면 전두엽의 rACC와 뇌간의 PAG, 척수가 관여해 통증이 증폭된다. - 사이언스 제공 ● 비싼 약일수록 노세보 효과도 커 약물의 가격도 심리적 효과가 있다. 복용하는 약이 비쌀수록 약효가 더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
2016.12.29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형광색소인 퀸2(quin-2)를 합성해 세포 내 칼슘신호 전달 과정을
포착
하는데 성공했다. 1982년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생리학과에 자리를 잡은 첸은 1985년 퀸2보다 성능이 훨씬 뛰어난 푸라2를 만들었다. 1989년 센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약학과로 자리를 옮긴 첸은 외부에서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