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스페셜
"
지점
"(으)로 총 391건 검색되었습니다.
외계행성탐색 망원경이 찍은 인터스텔라 혜성 '보리소프' 모습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1.20
지난달 8일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근일점을, 20일 후인 28일에는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근
지점
을 통과했다. 보리소프 혜성이 이동하는 모습을 촬영한 영상이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보리소프는 태양계 밖에서 날아온 두 번째 ‘성간천체’다. 지난해 8월 우크라이나 출신 아마추어 천문가 게나디 ... ...
[함께 봐요 CES] 유레카 파크에서 만난 유레카! 포스텍
동아사이언스
l
2020.01.08
위의 모든 활동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어야 한다”며 “트래픽 레이더는 300m 떨어진
지점
까지 모니터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비트센싱은 세종시와 판교제2테크노밸리의 경기도자율주행센터에 트래픽 레이더를 설치해 테스트 중이다. 포스텍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모건스탠리와 ... ...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지금 결정 못하면 월성 2~4호기 모두 운영중단 사태"
동아사이언스
l
2020.01.08
처분방식인 심층처분방식을 한국적인 환경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다. 지하 500m
지점
에 사용후핵연료를 묻어야 하는데, 이미 시도 중인 스웨덴이나 핀란드의 방식을 도입하면 6㎢ 면적의 처분장이 필요하다. 김 회장은 “스웨덴은 인구밀도가 1㎢ 당 10명 이하니 가능하지만, 500명인 한국에서는 ... ...
인공위성 강국을 여는 24명의 엔지니어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기상, 지질 현상을 하나의 영상에서 구별할 수 있게 한다. 지상에서 0.5km 떨어진 두
지점
을 구분해 볼 수 있는 정밀도를 지니고 있다. 한반도 및 주변 지역만 24시간 관측하는 정지궤도 위성으로, 2분마다 한 번씩 촬영이 가능해 태풍의 이동 등을 실시간 관찰할 수 있다. 이번에 진보장을 받은 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연구비 공황을 극복하는 방법 '기본연구비'
2019.12.19
연구효율성 사이에는 역상관관계가 있다. 즉, 연구비가 일정한 규모를 넘어서면, 그
지점
에서 더 투입되는 연구비는 연구의 생산성에 아무런 효과를 낼 수 없다는 뜻이다. 마지막으로 연구비의 마태효과는 신진 과학자들이 학계를 떠나게 만든다. 이런 엑소더스가 가속화되고 있고, 그 효과는 ... ...
가장 정교한 남극 빙하 밑 지형도 새로 그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3
높였다. 얼음투과레이더는 비행기 등에서 전파를 쏘면 전파가 얼음과 땅이 만나는
지점
에서 반사되는 것을 이용해 얼음의 두께와 땅의 높이를 관측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빙하가 빠르게 흘러내리면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연구팀은 질량보존분석법을 활용해 빙하의 움직임 정보를 얻고 ... ...
한국 철마, 북한 거쳐 시베리아까지 달린다…'동북아 공동화차' 첫 시연
동아사이언스
l
2019.12.05
바퀴에 달린 스프링이 길이를 바꾸며 바퀴 사이 폭을 조절한다. 궤간의 차이가 발생하는
지점
에서도 궤간을 따라 폭을 바꾸며 멈추지 않고 시속 10~30㎞를 유지하며 운행할 수 있다. 나희승 철도연 원장이 주도해 2014년 개발됐다. 올해 국제기준인 반복시험 500회를 마쳤고 철도 관련 국제공인기관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소리로 소음 잡는다…노이즈캔슬링 시대
2019.11.26
격리되는 듯한 착각이 든다. 이제 지하철에서도 스마트폰 볼륨 표시선의 3분의 1
지점
까지만 높여도 듣는 데 문제가 없었다. 이론적으로 그럴 거라고 예상했지만 막상 체험해보니 이를 구현한 기술이 대단하다는 감탄이 절로 나온다. 그런데 이상한 현상을 발견했다. 분명 소음이 아득하게 들릴 ... ...
전문연구요원 제도 개선안에 중소기업계 "환영" 학생들 "아쉽지만 납득"
2019.11.21
오히려 배정 인원이 늘어난 만큼 일제히 환영하는 분위기다. 학생들도 일부 아쉬운
지점
이 있으나 대체적으로 납득할 만한 개선안이라는 의견을 냈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전문연구요원제도 확대 방침에 환영한다”는 입장을 냈다. 마창환 산기협 상임부회장은 ... ...
미래 공장은 무엇으로 구성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11.13
물품을 조달하고 서비스를 받아야 하는 인구가 늘고 도시 중심이 확장되면서 소비
지점
에 가까운 분산 제조가 가장 적합한 모델로 떠오르고 있다. 대형 공장 모델이 아닌 분산형 제조 모델이다. 차량이 필요한 소비자와 운송서비스를 공급하는 차량 운전자를 연결하는 우버처럼 소비자가 원하는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