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스페셜
"
시작
"(으)로 총 525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재생에너지 기획②] 바다로부터 얻는 청정에너지, 조력․조류와 파력
동아사이언스
l
2014.07.28
기술은 현재 상용화까지 도달하지는 못했지만 2015년경에는 본격적으로 상용화가
시작
될 전망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진동수주형 용수 시험파력발전소 건설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점차 확대되는 해양에너지 개발 에너지를 둘러싼 환경 변화로 인해 해양에너지 개발은 점차 확대될 ... ...
고혈압만 조심? 여름, 저혈압도 조심!
KISTI
l
2014.07.25
뜨거운 목욕은 체내 수분을 증발시킨다. 태풍 너구리가 지나가고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
됐다. 더위에 입맛도 없어지고 열대야로 푹 자기도 어려운 상황. 이럴 땐 다이어트를 잠시 멈추고 틈틈이 간식을 챙겨먹자. 저혈압 환자 중에는 물을 자주 마시는 사람이 적은데 물을 많이 먹기 어렵다면 연한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①] 우주로부터의 선물, 태양광
동아사이언스
l
2014.07.22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웨이퍼 실리콘 기반 태양전지의 가격 안정성 부족에서
시작
됐다. 하지만 물질 활용도가 높아 좀 더 안정적으로 시장 공급이 가능한 2세대 박막 태양전지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조만간 성공적으로 시장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태양전지 시장은 유럽의 ... ...
[MATH] 반(半) - 자장면과 종이접기
KISTI
l
2014.07.21
우리는 종종 어떤 것을 반으로 나누는 것을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 하지만 자연수 중에서 1을 제외하고 가장 작은 수 2와 그것의 역수인 ‘ ... 많은 유물들이 발굴되어 일찍이 그와 같은 것을 뒷받침하고 있다. 자! 지금 종이접기를
시작
해 보자. 그럼 그것이 바로 수학을 공부하는 것이 된다 ... ...
아이디어가 실현되는 창구, 창조경제타운!
동아사이언스
l
2014.07.21
일이다. 태연이 벌써 세 시간이나 컴퓨터 앞에 앉아 있는데도 엄마아빠의 잔소리가
시작
되지 않는다. 심지어 짜증을 내는 기색도 없다. 태연 역시 슬슬 눈치를 보기는커녕, 간식을 컴퓨터 책상 앞으로 가져다 달라며 아빠에게 큰소리를 뻥뻥 친다. “얏호! 아빠, 드디어 전문가검토위원회에서 ... ...
촉매 하에 레고처럼 결합시켜 신약 개발한다
IBS
l
2014.07.09
분자활성 촉매반응 연구단은 2012년 12월 KAIST 화학과 장석복 교수가 단장으로 취임하면서
시작
됐다. 연구단은 새로운 촉매반응을 개발하고 그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것을 연구 주제로 설정했다. 특히, 반응성이 낮은 탄화수소의 탄소-수소 결합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효과적이고 선택적인 ... ...
진화로부터 탄생한 생명의 시계
IBS
l
2014.07.07
후손에게 그대로 전달될 가능성이 높다. 결국 세대를 거듭할수록 생식 후에 드러나기
시작
하는 불리한 형질들이 축적되어 생식 후 나이가 들수록 신체 기능이 저하되고 죽음에 이르는 노화 현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요컨대 노화는 진화의 결과가 아니라 '부산물'인 셈이다. 생체시계를 조절하는 ... ...
안전하게 우주 비행하기
KISTI
l
2014.07.02
것이다. 생활과 밀접한 천문학이 발전하면서 우주에 대한 호기심을 갖고 연구하기
시작
했다. 오랜 연구 끝에 1961년 4월 12일, 인류 최초의 우주 비행사 유리 가가린을 태운 보스토크 1호는 지구의 대기를 벗어났다. 우주 탐사에 대한 인류의 꿈이 이루어지는 순간이었다. 108분 동안 지구를 한 바퀴 돌고 ... ...
IBS의 비전을 아시나요?
IBS
l
2014.06.13
수 없는 한 부분이 되어 있고요." IBS도 많은 부분 비슷하다는 의견이다. IBS도 이제 막
시작
하는 기관이며 아직 사람들이 잘 모르는 기관이다. 선장이 부재 중인 거대 선박에 많은 우려의 시선을 보내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하지만 배 선임은 시대의 요청에 따라 설립된 IBS를 자신의 손으로 조금씩 ... ...
아토초 레이저로 원자ㆍ분자의 초고속 현상 밝힌다
IBS
l
2014.06.12
김 교수는 "나노구조체 근처 혹은 고체 내에서 전자가 어떻게 움직이는지에 대한 연구가
시작
되고 있다"며 "앞으로 아토초의 속도로 움직일 수 있는 전자소자를 개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또 상대론적 진동 거울을 이용해 아토초 펄스를 생성시키는 연구도 주목받고 있다. 김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