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적
목표
상대
목적
과녁
타깃
타게트
스페셜
"
대상
"(으)로 총 282건 검색되었습니다.
“교육 선진화도 못하면서 바이오선진화 꿈도 꾸지마라”
동아사이언스
l
2012.08.28
게 밝혀졌다. 결국 뇌과학(신경과학)을 연구하는 사람에게도 줄기세포는 필수적인 연구
대상
이 됐다. 줄기세포 자체가 모든 세포의 시작이라는 점에서 이에 대한 관심은 신경과학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김 교수는 줄기세포가 분자생물학이나 유전공학처럼 생명공학 기본 학문으로 ... ...
“국내 바이오벤처, 산업화 연구의 ‘프로’가 돼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7.09
바이오니아 사장, 대표이사 1997 제7회 중소기업
대상
창업부분
대상
수상 2002년 벤처기업
대상
대통령 표창 수상 2001년 ~ 현재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 2005년 ~ 현재 대한화학회 이사 2006년 ~ 현재 KAIST 바이오시스템학과 겸임교수 2007년 ~ 현재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부회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 ...
생명공학 발전은 ‘네트워크’에서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12.03.07
신약을 개발할 때 자주 이용된다. 노바티스가 유명 학술지에 실린 56개의 표적 단백질을
대상
으로 재실험을 했더니 3분의 2 이상이 아무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양 단장은 이에 대해 “생명현상이란 것이 워낙 복잡하기 때문에 기초연구에서는 표적 단백질로 나타날 수 있지만 ... ...
“‘원숭이’가 우리를 살릴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1.24
시장은 또 있다. 바로 ‘환경독성’ 연구 분야다. 지금까지 ‘독성평가’는 사람을
대상
으로 이뤄졌다. 하지만 화학물질이 생태계에 미치는 독성도 평가를 마쳐야 한다. 인간에겐 해가 없다고 해도 식물, 조류, 어류 등 자연환경에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 안전성연은 올해부터 이 분야 연구를 시작할 ... ...
한국 바이오 기업이 주목해야할 미국 바이오 분야의 특징들
동아사이언스
l
2011.07.20
5억 달러로 라이센싱아웃(기술수출)이 결정됐다”며 “사인하기 전 날까지 협상
대상
을 오픈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학교수가 벤처를 차리고 직접 대표이사(CEO)까지 하려는 한국 관행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미국에서는 교수의 연구결과를 대학이 나서 라이센싱아웃 하고, 벤처를 차려도 ... ...
“연구자 홀로서기 지원하는 박사후연구원 정책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8
국립보건원(NIH)의 연구개발(R&D) 정책을 소개하고 싶습니다.” 박 회장은 박사후연구원을
대상
으로 하는 ‘NIH Pathway to Independence Award(K99/R00)’ 같은 제도가 한국에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제도는 박사후연구원이 지도교수(PI)를 통하지 않고 직접 신청한다는 게 특징이다. 연구자는 그동안의 연구 ... ...
“한국 바이오에는 ‘디벨롭먼트(Development)’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7
일 등을 함께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병수 박사=미국 벤처캐피털은 투자
대상
이 되는 기업과 함께 일을 한다고 보면 된다. 돈만 넣고 마냥 기다리는 게 아니다. 노하우와 네트워크를 동원해 자신이 투자한 회사를 지원한다. 기업 가치를 키우는 것이다. 회사와 함께 머리를 맞대 향후 ... ...
“연구성과 따른 장려금제도 등 재미과학자도 정부지원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15
회원이 많다”면서 “한국의 미래에 투자한다는 생각으로 정부가 재외 생명과학자들을
대상
으로 연구과제 지원이나 연구 성과에 따른 펠로십(장려금) 제도를 만들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보스턴=서영표 동아사이언스 기자 sypyo@donga ... ...
바이오협회가 BIO KOREA 참가 못하는 까닭
동아사이언스
l
2011.07.13
감탄만 한다. BIO에서 열리는 다양한 프로그램은 세계 시장 진출을 위해서 파악해야 할
대상
이다. 예를 들어 행사장 곳곳에서 열리는 바이오 관련 법률이나 제도를 주제로 한 패널 토의, 콘퍼런스 등은 한국사람 입장에선 당장 불필요해 보이지만 꼭 알아둬야 할 내용이다.” -협회의 역할이 ... ...
“R&D 정책, 이제는 전문가 집단이 맡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4.12
전문교육기관이다. 정부출연연구기관과 대학, 기업에서 활동 중인 R&D 인력 30만 명을
대상
으로 연구현장에서 필요한 관련 지식을 교육하는 곳이다. ●“출연연, 정책 싱크탱크 역할 크게 강화해야” 김 원장은 국가 생명공학(BT) 연구 정책을 장기간 꾸준히 고민하고 추진할 수 있는 전문가 집단이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