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센터
쎈타
쎈터
지점
시설[지구]
상점가
뉴스
"
중심부
"(으)로 총 313건 검색되었습니다.
거대 블랙홀 기원 밝혀질까
2015.11.25
이용해 이 블랙홀을 계속 관측하고 있다. 김 선임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과가 은하
중심부
에 있다고 알려진 거대 질량 블랙홀의 형성 과정을 규명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 블랙홀의 기원을 알아내기 위해 연구를 계속 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천문학 ... ...
은하수 아니고요, 뇌 속이랍니다
2015.11.22
BRIC), 네이버, 한국저작권위원회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 오리온
중심부
오리온자리에서 가장 화려한 삼태성에서 오리온성운(오른쪽 아래) 부근을 광시야로 담아냈다. 오리온성운은 새로운 별이 태어나는 곳인 만큼 별의 재료인 분자구름도 잘 보인다. 강원도 철원 수피령에서 촬영한 작품. ... ...
적색거성 중심의 자기장은 지구의 1000만 배
2015.10.23
우주지진학 기술과 슈퍼컴퓨터를 활용해 수리 모델을 만들어 적색거성 수십 개의
중심부
자기장을 계산했다. 우주지진학은 별의 진동 패턴을 분석해 내부 구조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다. 그 결과 연구팀은 중심에 아주 강한 자기장이 존재할 때 별의 진동이 감소한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또 ... ...
‘제2의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거면 막을 수 있다
2015.09.08
쓰나미로 원전 내 원자로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펌프의 전력이 끊어지면서 노심(원자로
중심부
)이 녹아내리고 방사성 물질이 외부로 퍼져나가며 발생했다. 이후 정전 상황에서 원자로를 냉각시키는 방법은 원자력 학계의 중요한 화두였다. 방인철 울산과학기술원(UNIST) 기계 및 원자력공학부 ... ...
은하수 저편에서 ‘유령입자’ 샘솟는다
2015.08.20
갖고 있다. 중성미자가 생성되는 곳은 태양과 같은 항성부터 블랙홀과 초신성, 은하
중심부
등으로 다양하다. 이 가운데 블랙홀 같은 거대 천체 활동에 의해 생긴 중성미자는 특별히 고에너지 중성미자라고 부른다. 이들은 우주를 구성하는 물질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 ...
혈관과 뼈 동시에 3D프린터로 출력
2015.07.21
신경과 혈관이 많이 분포한 치아 뿌리 부분에서 추출한 줄기세포다. 특히 조직을 만들 때
중심부
에 집중적으로 혈관 생성을 돕는 성장인자를 투입했다. 3D프린터로 혈관과 뼈를 동시에 프린팅한 기술은 ‘재료화학저널B’ 21일자 속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제공 3D프린터로 ... ...
우리은하, 좀비 별 발견… “우리 기존 지식 뒤바꿀 수 있다”
동아닷컴
l
2015.05.04
이번 발견에 성공한 미 하버포드 대학의 연구진들은 “누스타의 이미지에서 우리은하
중심부
를 이루는 새로운 구성요소를 볼 수 있었다”라고 소개했다. 이어 “이 모든 가능성들은 별의 진화와 쌍성의 체계, 은하 중심에서 나오는 우주선에 관한 우리의 기존 지식을 뒤바꿀 수 있는 중요한 ... ...
남쪽바다에 뜬 은하수 파노라마
과학동아
l
2015.04.29
부문이 신설돼 공모전이 더 다양해졌다. ● 사진 부문 대상 | 장승혁 | 오리온
중심부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오리온자리에서 가장 화려한 오리온성운 부근을 광시야로 촬영했다. 오른쪽 아래 화려한 색으로 보이는 곳이 오리온성운이다. 오리온성운은 새로운 별이 태어나는 곳으로 잘 알려져 ... ...
밤하늘을 수놓은 별들의 향연
2015.04.27
공동 개최한 ‘제23회 천체사진공모전’ 결과가 26일 발표됐다. 대상은 오리온자리
중심부
를 촬영한 장승혁 씨가 차지했다. 장 씨의 작품은 2014년 10월 28일에 강원도 철원 수피령에서 촬영한 사진으로 ‘오리온성운’과 ‘말머리성운’을 한 화면에 섬세하게 표현한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 3월 ... ...
사진으로 돌아보는 허블 우주망원경 25년의 기록
2015.04.23
첫 해인 1990년에 찍은 1.3광년 떨어진 초신성의
중심부
(왼쪽). 1991년 촬영한 은하 NGC4261
중심부
에는 거대질량 블랙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오른쪽). - NASA/ESA 제공 허블 우주망원경이 보내온 사진들은 지구에서는 찍을 수 없을만큼 선명했지만 기대에는 못 미쳤다. 주 거울의 초점이 잘 맞지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