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선
전기선
전신선
전신줄
뉴스
"
전기줄
"(으)로 총 611건 검색되었습니다.
망막색소변성증 환자의 희망 '인공망막 장치' 성능 끌어올릴 실마리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0.07.16
일관성 없는 신경 신호 과정을 보여주는 변성 망막. K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시세포가 유전자 변이로 죽어가는 질환인 망막색소변성증 환자에게 필요한 인공 망막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마리를 규명했다. 선천적이지 않고 뒤늦은 나이에 실명할 위기로 고통에 겪는 환자들을 치료할 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전자기학의 완성
2020.07.09
엑스맨의 대표적인 히어로 '매그니토'. 전자기력을 이용해 금속성분을 조종한다. 마블코믹스 제공 19세기의 시작과 함께 등장한 전지가 그 시대의 과학을 어떻게 바꿔 놓았을지 그리고 20세기 과학의 화려한 등장에 얼마나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을지, 갈바니나 볼타는 짐작도 못했을 것이다. 볼타전 ... ...
'빛으로 켜고 배아교정 영향도 찾았다' 진화하는 유전자가위
동아사이언스
l
2020.07.06
미국 존스홉킨스병원 연구진이 특정 빛에 활성화하는 크리스퍼유전자가위를 개발했다. 존스홉킨스대 제공. 유전자 가위는 유전자(DNA)에서 돌연변이 염기를 찾아내 잘라내고 정상 DNA를 붙여 교정하는 기술이다. 돌연변이가 생겨 시력을 잃거나 퇴행성뇌질환, 혈액 질환 등 유전질환을 앓는 환자를 ... ...
“UAE는 화성 탐사 통해 산유국이라는 미래 대신 지식기반 경제로 나아갈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7.03
아말 탐사선 상상도. UAE MBRSC 제공. “아랍에미리트(UAE) 정부가 2014년 화성 탐사 프로젝트를 발표하자 금융, 국제관계 등을 전공하던 학생들이 과학기술과 공학, 수학 분야로 전공을 바꿨습니다. 언젠가 끝날 석유 시대 이후를 대비한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해 청년들에게 꿈과 영감을 주고 싶었습니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열역학과 엔트로피
2020.06.25
산업혁명으로 전성기를 누린 영국 빅토리아 시대의 상징물 타워브릿지. 위키피디아 제공 19세기 영국의 빅토리아 전성기를 이끈 원동력 중의 하나를 꼽으라면 이전 18세기의 산업혁명을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산업혁명 하면 거의 모든 사람들이 반사적으로 증기기관과 제임스 와트를 떠올린다. 과 ... ...
지자체·사업자 나름 명분 있지만…서귀포 전기버스 운행중단 앞두고 팽팽한 신경전
동아사이언스
l
2020.06.24
2016년 원희룡 제주도지사(오른쪽)와 주형환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서귀포에 처음 도입되던 전기버스에 탄 채 의견을 나누는 모습이다. 제주도 제공 제주 서귀포시 전기 시내버스가 이달 29일부터 충전서비스 중단으로 운행을 멈출 위기에 놓인 가운데 충전 요금을 둘러싼 제주도와 충전서비 ... ...
업계가 주목하는 차세대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어디까지 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6.22
전고체 배터리는 전기차와 같은 미래 산업을 이끌 핵심 부품으로 꼽힌다. LG화학 제공 지난달 13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정의선 현대차 수석부회장이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는 ‘전고체 배터리’ 기술 현황을 공유한 일이 알려지며 화제가 됐다. 전고체 배터리는 배터리 양극과 음극 간 이온 ... ...
1억1000만년 전 한반도에선 두발로 걷는 악어가 살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2
김경수 진주교대 교수-임종덕 국립문화재연 박사팀 발자국 세계 첫 발견 "중생대 최상위 포식자...공룡과 경쟁했을 것" 김경수 진주교대 교수와 배슬미 연구원, 마틴 로클리 미국 콜로라도대 교수, 임종덕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장팀이 경남 사천 자혜리에서 세계 최초로 두 발로 걸은 원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화학의 정점 주기율표의 성립
2020.06.11
주기율표 113번 원소 '니호니움(nihonium·원소 기호 Nh)' 발견의 주역인 규슈대 모리타 고스케 교수가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6.6.9. 연합뉴스 제공 19세기의 시작과 함께 기억할만한 사건은 전지의 발명이다. 이탈리아 파비아대의 알렉산드로 볼타(1745~1827)는 전기를 연구하던 도중 전지를 발명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되살아나는 항균‧살균 열기
2020.06.10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눈에 보이지 않는 미생물을 완전히 죽여 없애버리겠다는 항균‧살균의 광풍이 되살아나고 있다. 가습기 살균제의 아픔은 기억에서 완전히 지워져 버린 모양이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를 핑계로 바이러스를 말끔하게 제거해준다는 제품이 지천으로 쏟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