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흥분
충격
격려
고무
유인
충동
선동
뉴스
"
자극
"(으)로 총 1,997건 검색되었습니다.
핵막 터져서 세포 죽는 원리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3.28
과정을 국내 연구팀이 최초로 영상에 담았다. 조용연 교수 제공 CREB3 단백질이 외부
자극
등으로 비정상적인 분절이 발생하면 핵막을 사이에 둔 압력의 균형이 깨져 핵막이 폭발하듯이 터지고 유전 물질이 유출되며 세포가 죽는다. 조 교수는 “생명 조절의 근원인 핵막의 온전성 유지 기전을 규명한 ... ...
美 플로리다주 "14세 미만 인스타·페북 등 SNS 접속 금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3.26
하다가 크게 다치거나 심지어 사망에 이르는 사고들이 발생했다. 필터링 없이 올라오는
자극
적인 게시물들이 어린이와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는 지적도 나왔다. HB 3 법안은 14세 미만은 소셜미디어 계정을 만들 수 없고 14~15세는 부모 동의가 있을 때 소셜미디어 사용이 ... ...
페트병 라벨 재활용 가능한 필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3.25
비닐로 분리수거 하면 쉽게 재활용된다. 스마트폰 액정보호 필름, 생활용 라벨테이프, 저
자극
성 의료용 점착 테이프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기존 상용 제품 대비 200% 이상 접착력이 높고 내구성이 좋은 비가교형 점착 소재 개발 연구를 진행 중이다. 또한 ... ...
머스크 '뉴럴링크' 뜬다는데...국내선 임상시도도 못해
동아사이언스
l
2024.03.25
로잔공대 연구팀도 지난해 5월 하반신이 마비된 환자의 뇌에 칩을 심어 척수에 전기
자극
을 줘 걷게 했다. 24일 과학계에 따르면 미래 기술로만 여겨졌던 BCI 기술의 실제 성과가 속속 나오자 뇌에 칩을 이식해 컴퓨터를 제어하는 것을 의미하는 '칩인류' 현실화는 물론 몸을 움직이는 데 어려움이 ... ...
[의학바이오게시판] 아주대 의대 교수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Top25 논문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4.03.19
박태준 아주대 의대 생화학교실 교수(왼쪽)와 김장희 병리학교실 교수. 아주대병원 제공. ■ 박태준 아주대 의대 생화학교실 교수와 김장희 ... 존재를 세계 최초로 확인하고 새로운 노화 억제 전략을 제시했다. 노인도 중간노화세포
자극
을 통해 세포 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는 점을 규명했다 ... ...
신변종 호흡기 바이러스 수십초만에 선별 바이오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3.18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해 현장 진단에 활용하기에는 제한이 있었다. 연구팀은 미세한
자극
에도 패턴을 나타내는 다채널 트랜지스터를 기반으로 여러 종의 호흡기 바이러스를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수용체의 신호를 간섭없이 그래핀에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싱 화합물을 개발했다. 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필요악' 스트레스 활용법도 중요하다
2024.03.16
최적화 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① 스트레스를 불러일으키는
자극
이나 상황을 무조건 피하기보다 만약에 나에게 도움이 되는 도전이라면 기꺼이 받아들일 것(유익한 스트레스 상황을 선택) ② 도움이 되는 스트레스라고 판단했다면 이 상황이 주는 불편한 감정에만 집중하기보다 ... ...
수중에서도 스스로 손상 복원하는 '전자 피부'
동아사이언스
l
2024.03.15
밝혔다. 연구팀은 해양 무척추동물이 피부의 수중 환경에서의 자가 치유 기능과 외부
자극
을 감지하는 메커니즘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연구팀은 폴리우레탄에 풍부한 소수성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하는 '탄소-불소기'와 물을 이용해 분해하는 '가수분해' 및 산과 알코올이 ... ...
'외상후스트레스장애' 고통 치유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5
일반화’를 일으키는 신경회로를 지도화했다. 공포의 일반화는 공포와 관련 없는
자극
이나 상황에서 공포반응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쥐 실험을 통해 스트레스가 어떻게 공포의 일반화를 유도하는지 발견했다. 쥐의 뇌간에 위치한 ‘배측봉선핵’이라는 부위에서 신경세포의 ... ...
"아동기에 약시 겪으면 성인기에 대사 질환 나타날 수도"
연합뉴스
l
2024.03.13
시력이 발달하는 시기에 주로 나타나는 약시는 일종의 발달 장애로 한쪽 눈이 제대로
자극
받지 못해 정상적으로 나타나야 할 시력이 제대로 발달하지 않은 것이다. 이 때문에 두 눈으로부터 뇌에 입력된 정보가 서로 매치되지 않아 뇌는 한쪽 눈을 우선시, 다른 쪽에서 입력된 정보를 무시하게 돼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