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지
마부츠
Western
western
weston
뉴스
"
웨스턴
"(으)로 총 373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성철 총장 美 노스
웨스턴
대 '올해의 자랑스러운 동문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1.09
KAIST 제공 신성철 KAIST 총장(사진)이 미국 노스
웨스턴
대 재료과학 분야 ‘올해의 자랑스러운 동문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KAIST는 9일 신총장이 노스
웨스턴
대 동문상 선정위 ... KAIST에서 총장으로 선출돼 재직 중이다. 이번 동문상의 시상식은 오는 5월 16일 노스
웨스턴
대에서 열린다. ... ...
몸 상태 읽고 곧바로 치료하는 '올인원 칩' 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3
재료과학공학부 박사과정생이 공동 1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존 로저스 미국 노스
웨스턴
대 재료과학 및 공학부 교수와 로버트 게루오 워싱턴대 마취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과민성 방광을 치료할 수 있는 소형 이식장치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핀셋으로 집은 부분이 신경에 연결돼 방광이 ... ...
알루미늄 전지 상용화 난제 ‘양극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10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와 김동준·유동주 연구원팀은 프레이저 스토다트 미국 노스
웨스턴
대 교수팀과 함께 알루미늄을 이용한 이차전지를 만들 때 필요한 재료 물질을 새롭게 발굴해 에너지 분야 국제학술지 ‘네이처 에너지’ 3일자에 발표했다. 알루미늄은 가격이 싸고 전기를 발생시키는 ... ...
[영상]한반도 태풍·국지성 폭우 감시할 ‘천리안 2A호’발사 성공
2018.12.05
중간 단계의 전이궤도인 타원궤도(251~3만5822㎞)에 진입했다. 이어 약 5분 뒤에는 호주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주 동가라의 지상국과 첫 교신에도 성공했다. 발사 1시간 뒤에는 전력 공급을 위한 태양전지판을 전개했다. 천리안 2A호는 2주 뒤 상공 3만6000㎞ 정지궤도에 도달하게 된다. 위성의 운용 ... ...
韓 독자개발 첫 정지궤도위성 ‘천리안 2A호’ 5일 발사
2018.12.04
발사 성공 조건으로 지상국과의 첫 교신을 꼽았다. 천리안 2A호는 발사 후 40분경 호주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주 동가라의 지상국과 첫 교신을 시도한다. 이때 천리안 2A호가 정상적으로 목표 전이궤도인 타원궤도(고도 250~3만6000㎞)에 안착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발사 후 59분 뒤 태양전지판이 ... ...
한반도 상공서 24시간 태풍 추적할 ‘천리안 2A호’ 5일 새벽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18.12.02
3.5t이다. 천리안 2A호는 발사 후 34분경 발사체에서 분리되고, 이어 발사 후 40분경 호주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주 동가라의 지상국과 첫 교신을 시도한다. 항우연 관계자는 “이때 천리안 2A호가 정상적으로 목표 전이궤도인 타원궤도(고도 250~3만6000㎞)에 안착했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2021년 ‘알파고’한계 뛰어넘을 뇌 닮은 AI칩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5
청각, 후각 등 다양한 패턴의 데이터를 동시다발적으로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 자료:
웨스턴
디지털 가상의 인공신경망(소프트웨어)인 딥러닝은 하나의 사건을 인식하려 해도 알고리즘의 각 명령어를 하나씩 처리하는 수많은 연산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방대한 양의 사전 학습 ... ...
여성 과학자로 사는 건 ‘산넘어 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1.11
있는 과학자에 대한 고정관념을 알아보기 위해 처음 시작했습니다. 올초 미국 노스
웨스턴
대의 심리학 박사과정 연구원인 데이비드 밀러는 지난 50년간 2만여 명의 아이들이 그린 과학자의 그림을 분석했어요. 그 결과, 과학자에 대한 고정관념이 크게 바뀌었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196 ... ...
치료후 몸 속에서 '스르륵'…저절로 녹는 전자약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21
스스로 분해돼 사라지는 영화 속 전자약이 실제로 나올 전망이다. 구자현 미국 노스
웨스턴
대 연구원과 강승균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팀은 말초신경 손상을 전기 자극을 통해 치료할 수 있는 생분해성 무선 전자약을 개발해 의약학 분야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디슨’ 8일자에 발표했다.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겸손은 여섯번째 성격이다
2018.10.21
만들어진 것이라서, 다른 문화에서는 다를 수도 있다는 의문이 들었죠. 그래서 캐나다
웨스턴
온타리오 대학의 마이클 애쉬톤과 성균관 대학교의 한덕웅, 이기범 선생님은 한국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고, 이에 대한 요인 분석을 했습니다. 그런데 아주 흥미로운 결과가 나왔습니다.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