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위
돌
암벽
암반
바위 너럭
뉴스
"
암석
"(으)로 총 54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 충돌위협 소행성 '베누' 대기권 진입할 땐 잘게 깨질 듯
동아사이언스
l
2020.10.09
소행성 '베누'의 3차원(3D) 지도 모습이다. 베누 표면은 다양한 색을 띠는데 태양풍에 풍화가 덜 됐을수록 붉은색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지구와 충돌 가능성이 있는 소행성 ‘베누’가 지구 대기권을 통과할 정도로 단단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 ...
달은 거대한 충돌로 생겨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1
지구에 돌아올 때마다 월석 샘플을 가져오게 했다. 그리고 월석의 성분을 분석해 지구의
암석
성분과 비교했다. 웨인 버클리 NASA 존슨우주센터 박사는 미국 뉴멕시코대, 컬럼비아대 등 연구진과 공동으로 50년 전 아폴로가 가져온 월석에서 이번에는 염소(Cl) 원자를 분석했다. 염소 원자는 ... ...
2024년 재개한 유인 달 탐사에선 첫 발은 '우먼 퍼스트'
동아사이언스
l
2020.09.22
계획의 가장 큰 차이점에 대해 그는 “아폴로 임무는 인간이 처음 달에 간 만큼
암석
을 채취하는 등 물리적 탐사에 치중했고, 당시에는 달에 대해 밝혀진 게 거의 없었다”며 “지금은 달 남극에 얼음이 존재할 가능성을 알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아르테미스 계획의 궁극적인 목적도 단순한 달 탐사 ... ...
달에 사람을 보내기 전 꼭 확인할 10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20.09.11
진행하고 있다. 사진은 달 착륙선 상상도다. NASA 제공 ‘레골리스(regolith·달 표면의
암석
부스러기와 먼지로 된 퍼석퍼석한 물질)의 특성을 확인할 것, 레이저반사경을 탑재할 것, 태양풍에 의한 지자기 변화 이미지를 촬영할 것’.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상업 달 탑재체 서비스(CLPS)’에 참여하는 ... ...
소행성 베누, 표면은 살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0
지구에서 약 2억 9000만 km 떨어진 곳에 있다. 오시리스-렉스는 다음달 20일 베누 표면에서
암석
을 채취하는 임무에 나선다. 베누에 약 5초간 내려앉은 후 질소를 쏘고 여기서 튀어나오는 먼지와 자갈을 채집할 예정이다. 채집을 마치면 오시리스-렉스는 다시 지구로 복귀하는 길에 나선다. 2023년까지 ... ...
지구의 풍부한 물, 태초부터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8
설에 힘을 실어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로레트 피아니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소(CNRS)
암석
및 지구화학연구센터(CRPG) 연구원팀은 태양계 가까운 곳에서 만들어진 지구와 비슷한 성분의 콘드라이트 운석을 분석한 결과 물이 생겨나는 데 필요한 수소가 풍부했다는 연구결과를 이달 28일 국제학술지 ... ...
박테리아 1mm 크기로 뭉치면 지구-화성 여행도 가능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6
최대 8년까지 살아남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 박테리아가 방사능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암석
속에서는 우주에서도 장기간 살아남을 수 있음은 밝혀졌으나 박테리아 자체만으로 살아남을 수 있음을 보인 것은 처음이다. 야마기시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데이노코쿠스가 지구에서 화성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40억년간 '진흙'이 바꾼 지구의 풍경
동아사이언스
l
2020.08.23
퇴적돼 쌓일 수 있는 여건을 제공했다. 쌓인 진흙은 압력에 의해 단단하게 굳어
암석
이 됐고 오늘날 지질학자들에게 지구의 지질학 역사와 고생물 역사를 알려주는 원천이 됐다. 하지만 진흙은 인류의 번성과 더불어 다시 한번 변혁을 맞고 있다. 약 5000년 전부터 가속화된 산림 파괴와 개간으로 육지 ... ...
12일 밤 시간당 110개 별똥별 쏟아지는 우주쇼…관측 전망 '흐림'
동아사이언스
l
2020.08.05
지구로 떨어지는 현상이다. 혜성은 태양에 가장 가까운 근일점을 지나며
암석
과 먼지같은 부스러기를 궤도에 남긴다. 소행성도 쪼개지면서 태양계에 부스러기를 남길 수 있다. 지구가 공전하다가 이런 부스러기 흐름을 관통할 때 유성체가 지구 중력에 이끌려 대기권으로 비처럼 떨어지는 것이 ... ...
벼락이 사막에 떨어지면
팝뉴스
l
2020.07.31
주립 대학교의 폴 번 교수(행성 과학)이다. 뜨거운 열이 튜브 모양의 유리질
암석
을 만드는데 플구라이트(fulgurite) 또는 섬전암(閃電岩)이라 부른다. 벼락은 사막에 작은 예술 작품을 만들어내고 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